KR20030010358A -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358A
KR20030010358A KR1020010045265A KR20010045265A KR20030010358A KR 20030010358 A KR20030010358 A KR 20030010358A KR 1020010045265 A KR1020010045265 A KR 1020010045265A KR 20010045265 A KR20010045265 A KR 20010045265A KR 20030010358 A KR20030010358 A KR 2003001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eparator
coil
deflection yoke
deflection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0358A/ko
Publication of KR2003001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을 향하여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며 그 반대편에는 리어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원추 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 편향코일;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 편향코일;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써, 편향요크와 음극선관의 고정시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장력을 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Deflection york}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커버와 음극선관이 인접하는 부분을 개선한 것으로서, 편향요크와 음극선관(CRT)의 고정시 중심을 잡아주며 장력(Tension)을 줄 수 있는 리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새들-트로이달(saddle troidal type), 새들-새들형등 여러 가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편향요크(10)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의 권선 구조에 따라 새들-새들(Saddle-Saddle)형 편향요크 및 새들-토로이달(Saddle-Troidal)형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2)내에 설치된 RGB전자총(3)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좌/우측 및 상/하측 방향으로 편향시켜 그 음극선관의 형광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충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11)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14)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 편향코일(16)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 편향코일(15)을 포함한다.
도 2 는 일반적인 코일 세퍼레이터(11)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를 음극선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는 상기 음극선관을 향하여결합되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12)와 그 반대편에 형성된 리어 커버(rear cover:13)로 구성되는데 종래 구조의 경우 음극선관 측에 결합되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상면은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편향요크(10)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2)에 장착되어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계가 발생되어 상기 음극선관(1)의 전자총(3)에서 방사되는 전자빔 즉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을 편향시켜 스크린 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상기 편향요크(10)를 음극선관(1)의 네크부(2)에 장착할 때 그 중심이 일치하지 않거나 장착 후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 즉 축 균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 화면상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편향요크와 음극선관 사이에 중심을 잡아주기 위해 웨지 형상의 부품인 쿠사비(19)를 방사상 등 간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쿠사비를 원하는 부위에 조립자가 각각 끼워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인해, 조립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간과할 경우,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음극선에 장착되는 프론트 커버의 지지구조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외측면에 리브를 설치하여 편향요크와 음극선관의 고정시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장력(Tension)을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코일 세퍼레이터의 측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코일 세퍼레이터를 음극선관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세퍼레이터를 음극선관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극선관 2 : 네크부
3 : RGB전자총 10 : 편향요크
11 : 코일 세퍼레이터 12 : 프론트 커버
13 : 리어 커버 14 : 페라이트 코어
15 : 수평 편향 코일 16 : 수직 편향 코일
20 : 리브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을 향하여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고 그 반대편에 리어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원추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 편향 코일;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 편향 코일;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편향요크가 음극선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1)을 향하여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2)의 전면에 돌출된 리브(20)를 구비하고 그 반대편에 리어 커버(13)가 일체로 형성된 원추형상의 코일 세퍼레이터(11)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14)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 편향 코일(16);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 편향 코일(15);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프론트 커버(12) 전면에 돌출된 리브(20)는 방사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갯수는 4개인 것을 바람직 스러운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는 상기 돌출된 리브가 사출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구성에 의한 코일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돌출된 일체형 리브(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편향요크(10)와 음극선관(1)을 조립할 때에 상기 편향요크(10) 및 음극선관(1) 사이에 장력(Tension)을 제공하여 조립 중심이 원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화면상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브(20)는 음극선관(1)의 네크 부위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하는 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의 구조에서 웨지 형상의 쿠사비를 각각 사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중심을 맞추는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코일 세퍼레이터 프론트 커버 전면의 돌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이를 음극선과 조립할 때에 조립 시간을 단축시켜 주며, 이로인해 생산 원가절감과 제품자체의 신뢰성 향상이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극선관을 향하여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며 그 반대편에 리어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원추 형상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함께 위치되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 편향코일;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프론트 커버 전면에 돌출된 리브는 방사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프론트 커버 전면에 돌출된 리브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10045265A 2001-07-26 2001-07-26 편향 요크 KR20030010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65A KR20030010358A (ko) 2001-07-26 2001-07-26 편향 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65A KR20030010358A (ko) 2001-07-26 2001-07-26 편향 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358A true KR20030010358A (ko) 2003-02-05

Family

ID=2771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265A KR20030010358A (ko) 2001-07-26 2001-07-26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035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0458A (ja) * 1990-02-02 1991-10-14 Sony Corp 偏向ヨークの取付け装置
KR19980067804A (ko) * 1997-02-12 1998-10-15 손욱 음극선관
KR20000007030U (ko) * 1998-09-25 2000-04-25 권호택 편향요크의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JP2001167717A (ja) * 1999-12-07 2001-06-22 Sony Corp 偏向ヨーク固定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0458A (ja) * 1990-02-02 1991-10-14 Sony Corp 偏向ヨークの取付け装置
KR19980067804A (ko) * 1997-02-12 1998-10-15 손욱 음극선관
KR20000007030U (ko) * 1998-09-25 2000-04-25 권호택 편향요크의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JP2001167717A (ja) * 1999-12-07 2001-06-22 Sony Corp 偏向ヨーク固定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ko) 편향요크
KR20030010358A (ko) 편향 요크
KR100410963B1 (ko) 편향 요크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US6373183B1 (en) Funnel having vertically long neck portion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KR200312968Y1 (ko) 편향요크의 러버 마그네트 삽입구조
KR100439508B1 (ko) 편향 요크
KR100410960B1 (ko) 편향요크
KR100422038B1 (ko) 편향요크
KR200250975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422042B1 (ko) 편향요크
KR100467831B1 (ko) 편향요크
KR200258837Y1 (ko) 편향요크의수직편향코일
KR100356290B1 (ko) 편향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
KR100396501B1 (ko) 편향요크
KR100356291B1 (ko) 편향요크
KR20030010382A (ko) 편향요크
KR20030010379A (ko) 편향요크
KR20010109417A (ko) 페라이트 코어의 코어클램프
KR20030003524A (ko) 편향요크
KR20030010902A (ko) 편향 요크
KR20030054099A (ko) 편향요크
KR20040009386A (ko) 편향 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
KR20030095117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