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102B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102B1
KR100401102B1 KR10-2001-0020348A KR20010020348A KR100401102B1 KR 100401102 B1 KR100401102 B1 KR 100401102B1 KR 20010020348 A KR20010020348 A KR 20010020348A KR 100401102 B1 KR100401102 B1 KR 10040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ok piece
rear cover
upp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898A (ko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4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커버 그리고 리어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며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리어커버에 결합되어 각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테두리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을 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프린트 회로기판과; 상기 리어커버의 측면에 돌출되며 일단에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촉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슬리이드홈을 관통하여 프린트 회로기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상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일측에 마련되며 프린트 회로기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및 돌기가 형성되는 하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지지리브와 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프린트 회로기판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 또는 돌기측에 형성되는 소정각도를 갖는 안내 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 요크(Deflection Yok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판의 조립시 발생하는 조립충격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이 편향요크이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는(4)는 음극선관(1)의 RGB 전자총부(3)에 위치되어 전자총(3a)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이러한 편향요크(4)는 크게 상,하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정도 있게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측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a)와, 리어커버(11b) 및 이 리어커버(11b)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수직 편향코일(16)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성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12)에 장착되어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거하여 자계가 발생되어 브라운관(CRT)의 전자총(3a)에서 방사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을 소정각도 편향시켜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보인 바와 같은 편향요크는 코일의 권선구조에 따라 도 2 및 도 3과 같은 세드-세들(Saddle-Saddle)형 편향요크 및 도 4 및 도 5와 같은 세들-토로이달(Saddle-Toroidal)형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세들-세들형 편향요크는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10;Coil Separator)의 스크린부의 내주면 상/하측에 세들형의 수평 편향코일(15)이 설치되고 외주면의 좌/우측에 세들형의 수직 편향코일(16)이 설치된다.
수직 편향코일(16)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a)의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된다.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연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16)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프리코일(미도시)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는 일반적인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10;Coil Separator)의 스크린부(11a)의 내주면 상/하측에 수평 편향코일(15)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며,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을 따라서 토로이달형의 수직 편향코일(16)이 권선된다.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연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16)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프리코일(미도시)이 추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세들-세들형 및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에는 전술한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린트 회로기판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에 다른 편향요크에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커버(11b) 측면에는 편향코일 및 각종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프린트 회로기판(1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소정 위치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110)과 대응되는 리어커버(11b) 상에는 프린트 회로기판(100)을 유동없이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후크편(20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후크편(200)은 관통홀(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일측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삼각편상 즉, 선단에서 후단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후크편(200)은 상호간의 간격이 프린트 회로기판(100)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홀(110)이 갖는 간격보다 미세하게나마 넓게 성형됨으로써 탄력적으로 관통홀(110)에 끼움된 뒤 돌기(210)의 수직하는 일면 즉, 걸림턱이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편(200)은 관통홀(110)을 관통한 돌기(210)가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타측면을 가압하도록 지지리브(220)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리브(2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재형으로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타측면을 폭넓게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의 후크편(200)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210)와 지지리브(220)는 프린트 회로기판(10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프린트 회로기판(1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향요크는 프린트 회로기판(100)이 리어커버(11b)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된 후크편(200)에 의해 걸림 고정되면서, 동시에 후크편(200)에 연장 형성된 지지리브(220)에 지지됨으로써 코일 세퍼레이터(10)상에 즉, 리어커버(11b)상에 위치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있어서, 프린트 회로기판(100)과 리어커버(11b) 간의 조립구조가 단순히 한쌍의 후크편(200)과 관통홀(11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기판(100)을 리어커버(11b)상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프린트 회로기판(100)을 후크편(200)에 강제 끼움시켜야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프린트 회로기판(100)에 가하는 조립력에 의해 프린트 회로기판(100)이 파손되거나 또는 후크편(200)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100)과 리어커버(11b)는 한쌍의 관통홀(110)과 후크편(200)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이들 즉, 관통홀(110)과 후크편(200)의 성형산포 또는 조립산포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100)이 리어커버(11b)상에 안정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프린트 회로기판(100)이 리어커버(11b)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프린트 회로기판을 리어커버상에 고정시킬 때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조립력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을 저감시키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세들-세들형 편향요크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일반적인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리어커버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편향요크에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세퍼레이터 11: 스크린부
12 : 리어커버 13 : 네크부
15 : 수평 편향코일 16 : 수직 편향코일
30 : 프린트 회로기판 31 : 삽입홈
32 : 관통홀 41,45 : 상,하후크편
41, 46 : 지지리브 50 : 안내 경사면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커버 그리고 리어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며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리어커버에 결합되어 각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테두리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을 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프린트 회로기판과; 상기 리어커버의 측면에 돌출되며 일단에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촉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슬리이드홈을 관통하여 프린트 회로기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상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일측에 마련되며 프린트 회로기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및 돌기가 형성되는 하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지지리브와 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프린트 회로기판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 또는 돌기측에 형성되는 소정각도를 갖는 안내 경사면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후크편의 지지리브와 마주보는 돌기측에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후크편의 돌기와 마주보는 지지리브측에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내 경사면은 5~60도의 각도 내에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일반적인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RGB 전자총부(3)에 위치되어 전자총(3a)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는 것으로서, 코일의 권선구조에 따라 도 2 및 도 3과 같은 세드-세들(Saddle-Saddle)형 편향요크와, 도 4 및 도 5와 같은 세들-토로이달(Saddle-Toroidal)형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12)내에 설치된 적색(R), 녹색(G), 청색(B) 전자총(3a)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좌,우측 및 상,하측 방향으로 편향시켜 그 음극선관의 형광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충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세들-세들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10;Coil Separator)의 스크린부(11a)의 내주면 상/하측에 세들형의 수평 편향코일(15)이 설치되고 외주면의 좌/우측에 세들형의 수직 편향코일(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 편향코일(16)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a)의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된다.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연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16)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프리코일(미도시)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는 일반적인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10;Coil Separator)의 스크린부(11a)의 내주면 상,하측에 수평 편향코일(15)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며,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을 따라서 토로이달형의 수직 편향코일(16)이 권선된다.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연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16)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프리코일(미도시)이 추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세들-세들형 및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에는 전술한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린트 회로기판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한편, 도 8내지 도 1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커버(11b) 측면에는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 그리고 각종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프린트 회로기판(30)이 결합되며, 이 프린트 회로기판(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커버(11b)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슬라이드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홈(3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종의 슬릿(slit)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상부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은 슬라이드홈(31)의 하측으로 한쌍의 관통홀(32)이 형성된다.
이러한,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1) 및 관통홀(32)에 대응되는 리어커버(11b) 상에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하기 위한 상후크편(40) 및 하후크편(45)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상후크편(40)은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슬라이드홈(31)에 대응되는 리어커버(11b)의 측면에 형성되며, 한쌍의 슬라이드홈(31)에 각각 끼움될 수 있도록 상후크편(40) 역시 한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상후크편(40)은 슬라이드홈(31)을 관통한 상태에서 걸림 작용될 수 있도록 끝단부에는 삼각편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이 돌기와 일정간격을 둔 소정위치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지지리브(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상후크편(40)은 상호간의 간격이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홈(31)이 갖는 간격보다 미세하게나마 넓게 형성됨으로써 탄력적으로 슬라이드홈(31)에 끼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후크편(40)에 형성된 지지리브(41)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의 내측과 인접되는 위치에 폭넓게 접촉됨으로써 돌기와 함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평행하는 판재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리브(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상후크편(40)의 일단에서 상호 대응되는 수평방향으로 판재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프린트 회로기판(30)의 타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후크편(40)은 끝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슬라이드홈(31)을 관통하게 되면 이 돌기의 일측면이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일면에 접촉되고, 이때 상기 돌기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리브(41)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의 타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은 슬라이드홈(31)을 중심으로 그 양측면이 상후크편(40)의 돌기와 지지리브(41)가 접촉됨으로써 상후크편(4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상후크편(4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후크편(45)은 상후크편(40)과 마찬가지로 끝단부에는 삼각편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와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리브(46)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하후크편(45)은 상호간의 간격이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홀(32)이 갖는 간격보다 미세하게나마 넓게 형성됨으로써 탄력적으로 관통홀(32)에 끼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후크편(45)에 형성된 지지리브(46)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의 내측과 인접되는 위치에 폭넓게 접촉됨으로써 돌기와 함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평행하는 판재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리브(46)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하후크편(45)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었으나, 이에 제안하지 않고 돌기와 함께 프린트 회로기판(30)의 타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하후크편(45)은 돌기가 프린트 회로기판(30)의 관통홀(32)을 관통하게 되면, 돌기의 일면이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일면에 접촉되고, 지지리브(46)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의 타면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은 관통홀(32)을 중심으로 그 양측면이 하후크편(45)의 돌기와 지지리브(46)가 접촉됨으로써 하후크편(45)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후크편(40)과 하후크편(45)은 프린트 회로기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1) 및 관통홀(32)에 각각 끼움됨으로써 프린트 회로기판(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상후크편(40)은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의 일측에 대략 5~60도의 경사각을 갖는 안내 경사면(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후크편(40)의 돌기 일측에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5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기판(30)을 일정각도 기울인 상태로 상후크편의 돌기와 지지리브(41) 사이의 틈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안내 경사면(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후크편(40)의 돌기에 제한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후크편(40)의 돌기에 마주보는 지지리브(4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트 회로기판(30)을 리어커버(11b)상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10에 도시된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상측부분 즉, 한쌍의 슬라이드홈(31)을 리어커버(11b)의 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상후크편(40)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상후크편(40)의 돌기에는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안내 경사면(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후크편(40)의 돌기와 지지리브(41) 사이에 끼워지는 프린트 회로기판(30)은 진입되는 각도 즉, 조립하기 위해 기울인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홈(31)이 상후크편(40)의 일단을 따라 무리없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의 슬라이드홈(31)이 상후크편(40)의 돌기와 지지리브(41) 사이에 어느 정도 걸림된 상태가 되면, 이 걸림된 부분을 중심으로 즉, 상후크편(40)과 슬라이드홈(31)을 중심으로 프린트 회로기판(30)의 하측을 하후크편(45)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30)의 관통홀(32)이 하후크편(45)측으로 근접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하후크편(45)은 프린트 회로기판(30)의 경사면을 따라 미세하게 탄력적인 변위를 일으키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결과적으로 하후크편(45)은 관통홀(32)에 끼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홈(31) 역시 상후크편(40)에 완전하게 끼움 고정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프린트 회로기판을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에서 안내 경사면이 형성된 상후크편에 슬라이드홈을 진입시킨 뒤, 관통홀을 하후크편에 고정시키므로 조립시 발생하는 충격력 및 외력이 감소됨에 따라 프린트 회로기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린트 회로기판의 조립 작업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과정에서의 프린트 회로기판 및 후크편의 파손에 따른 품질불량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커버 그리고 리어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외주면에 마련되며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리어커버에 결합되어 각 전자부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테두리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을 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프린트 회로기판과;
    상기 리어커버의 측면에 돌출되며 일단에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촉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슬라이드홈을 관통하여 프린트 회로기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상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일측에 마련되며 프린트 회로기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및 돌기가 형성되는 하후크편과;
    상기 상후크편의 지지리브와 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프린트 회로기판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 또는 돌기측에 형성되는 소정각도를 갖는 안내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경사면은 대략 5~60도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후크편의 지지리브와 마주보는 돌기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후크편의 돌기와 마주보는 지지리브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4. 삭제
KR10-2001-0020348A 2000-12-09 2001-04-17 편향요크 KR10040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925 2000-12-09
KR20000074925 2000-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98A KR20020046898A (ko) 2002-06-21
KR100401102B1 true KR100401102B1 (ko) 2003-10-10

Family

ID=1970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348A KR100401102B1 (ko) 2000-12-09 2001-04-17 편향요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04118B1 (ko)
KR (1) KR100401102B1 (ko)
CN (1) CN1170301C (ko)
MY (1) MY1248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29B1 (ko) * 2002-04-16 2004-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439508B1 (ko) * 2002-05-08 2004-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 요크
KR20040010112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편향코일 고정구조를 갖는 편향 요크
US7209345B2 (en) * 2003-10-16 2007-04-24 Richco Inc. Cathode ray tube clamp
US6985367B1 (en) 2004-10-12 2006-01-10 Lear Corporation Circuit board retainer and support apparatus
US7583517B2 (en) * 2006-07-06 2009-09-01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card to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hassis
CN101235868B (zh) * 2007-12-10 2010-06-16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开放式的缓冲垫装置及缓冲垫
TWI384933B (zh) * 2010-10-05 2013-02-01 Inventec Corp 電路板固定結構
TWI489704B (zh) * 2012-03-30 2015-06-21 Wistron Corp 電子裝置及其鎖附裝置
JP2016130756A (ja) * 2015-01-13 2016-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23B2 (ja) * 1976-06-01 1984-02-01 ソニー株式会社 偏向ヨ−ク
ATE137060T1 (de) * 1990-11-30 1996-05-15 Thomson Tubes & Displays Ablenkungsjochhalterung
JPH0660826A (ja) * 1992-08-06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KR0141449B1 (ko) * 1994-12-02 1998-08-17 김광호 전자제품의 음극선관용 pcb 결합장치
FR2751786B1 (fr) * 1996-07-25 1998-10-16 Thomson Tubes & Displays Dispositif de fixation d'un deviateur sur le col d'un tube a rayons cathodiques
KR100340755B1 (ko) * 1998-09-30 2002-06-15 이형도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9135A (zh) 2002-07-17
US20020070657A1 (en) 2002-06-13
KR20020046898A (ko) 2002-06-21
CN1170301C (zh) 2004-10-06
US6404118B1 (en) 2002-06-11
MY124871A (en)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ko) 편향요크
KR100422042B1 (ko) 편향요크
KR100396501B1 (ko) 편향요크
KR100451929B1 (ko) 편향요크
KR100479448B1 (ko) 편향요크
KR100370655B1 (ko) 편향요크
KR0140573Y1 (ko) 편향요크의 리드와이어 고정구조
KR100483615B1 (ko) 밴트리스 타입의 편향 요크
KR100410960B1 (ko) 편향요크
KR100410965B1 (ko) 편향요크
KR100431264B1 (ko) 편향요크
KR100405212B1 (ko)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편향요크
KR20010109417A (ko) 페라이트 코어의 코어클램프
KR20010107256A (ko) 편향요크
KR20040060150A (ko) 편향요크
KR20030010379A (ko) 편향요크
KR20040057282A (ko) 편향요크
KR20030002380A (ko) 편향요크
KR20020045659A (ko) 편향요크
KR20030009998A (ko) 편향요크
KR20020049514A (ko) 편향요크
KR20060000665A (ko) 편향 요크
KR20020040372A (ko) 편향요크
KR20030049347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