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847A - 조 크러셔 - Google Patents

조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847A
KR20030008847A KR1020010043846A KR20010043846A KR20030008847A KR 20030008847 A KR20030008847 A KR 20030008847A KR 1020010043846 A KR1020010043846 A KR 1020010043846A KR 20010043846 A KR20010043846 A KR 20010043846A KR 20030008847 A KR20030008847 A KR 2003000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aft
movable
jaw crush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918B1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01-004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9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조 크러셔를 구성하는 가동조를 구동하는 구동기구에 레버형 배력기구를 사용하여 큰 힘을 발휘하면서도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가볍고 크기가 작도록 구성된 조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측판조립체와, 이 측판조립체에 고정 결합된 고정조 조립체와, 고정조 조립체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된 가동조 조립체와, 측판조립체 결합부재들로 이루어진 조 크러셔에서, 상기 가동조를 레버형 배력장치와 레버형 배력장치를 구동하는 편심회전축 조립체, 또는 유압장치와 레버형 배력장치의 움직임을 가동조에 전달하는 전동장치와, 움직이는 부품사이의 유격을 없애는 긴장장치로 구성된 조 크러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 크러셔{JAW CRUSHER}
본 발명은 암석이나 광물의 일차 파쇄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 크러셔는 싱글토글(single toggle)형 크러셔와 더블토글 (double toggle)형 크러셔 그리고 다지(dodge)형 크러셔로 대별할 수 있다.
이중에서 다지형 크러셔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비교적 소형 크러셔가 사용되는 용도(예를 들면 이동식 쇄석 플랜트)에는 싱글토글형 크러셔가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대용량이 요구되는 곳에는 더블토글형 크러셔가 많이 사용된다.
싱글토글형 크러셔는 도 25에서와 같이 구조는 간단한 편이나 편심축 및 편심축 지지베어링이 파쇄시킬 원석이 투입되는 크러셔 상부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큰 원석을 파쇄하는 강한 힘을 베어링이 직접 받게 되므로, 강한 암석을 파쇄해야 될 때는 베어링의 수명이 많이 단축되고 가동조가 움직이는 궤적이 크러셔 상부에서는 원형이고 하부에서는 파쇄물에 대하여 위쪽으로 사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조 라이너의 마모가 심하다.
더블토글형 크러셔는 가동조가 크러셔 상부에 위치한 대형 핀(pin)과 부싱 (bushing)에 의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고, 또한 뒤쪽에 있는 더블토글에 의하여 앞뒤로 구동되게 되어있다.
더블토글은 상부에 있는 편심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트만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더블토글형 크러셔에서는 큰 원석을 파쇄하는 강한 힘을 대형 핀과 부싱이받아주고, 또 더블토글 자체가 힘을 증가시키는 배력장치이므로, 암석 파쇄시 편심축 베어링에 부하되는 힘이 싱글토글형의 경우보다 많이 작아서 베어링의 수명이 길며, 가동조의 운동궤적이 거의 직선이므로 파쇄물과의 마찰이 적어서 조 라이너의 수명이 싱글토글형보다 4~5배 긴 장점이 있다.
그러나 더블토글은 길이가 길고 파쇄간격 조정기구가 또 그 뒤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크러셔의 길이와 중량이 싱글토글형에 비해서 몹시 크고, 제작비도 50%정도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더블토글형 조 크러셔는 대체적으로 대용량의 정치식 쇄석플랜트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싱글토글형 조 크러셔가 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구조의 간편성 때문에 사용영역을 점차 대형쪽으로 확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자는 더블토글형 크러셔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리면서 싱글토글형 크러셔의 경량성, 제작 간편성 등을 갖고있는 조 크러셔를 개발하기 위해서 노력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서는, 더블토글 조 크러셔에서의 고정조와 가동조의 구조를 대체적으로 활용하되 가동조를 구동하는 더블토글형 배력구조를 지렛대(lever)형 배력구조로 대체함으로서, 더블토글형 조 크러셔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싱글토글형 조 크러셔에 못지 않은 경량성과 간편성을 갖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백 내지 수천톤에 이르는 강한 힘을 받으면서도 운동범위가 극히 좁고 운동속도가 극히 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윤활하기가 곤란한 곳에 사용 가능한 특수한 베어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싱글토글형 조 크러셔의 단점인 베어링부위의 취약성과, 복잡한 운동궤적으로 인한 심한 마모 및 진동, 그리고 종래의 더블토글형 조 크러셔의 단점인 크고 무거운 몸체와 고가의 제작비를 모두 개선하여, 작고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크고 마모와 진동의 작은 조 크러셔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백 내지 수천 톤에 이르는 강한 힘을 받으면서도 운동범위가 극히 좁고, 운동속도가 극히 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윤활하기가 곤란한 곳에 사용 가능한 특수한 베어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많은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를 일부 절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 제공된 가동조 축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가동조가 고정조로부터 가장 멀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 제공된 가동조 축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가동조가 고정조로부터 가장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을 고정조 쪽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에 제공된 편심축 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편심축의 부분절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 제공된 배력장치인 레버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 크러셔를 구성하는 레버에 제공된 조정철판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 크러셔를 구성하는 레버에 제공된 토글판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이동식 조 크러셔 플랜트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조 크러셔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제공된 가동조 전동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전동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조 크러셔의 부분절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조 크러셔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제공된 유압실린더의 확대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제공된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20은 도 19의 타이밍 밸브와 구동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제공된 폴로워 구동캠 및 폴로워의 부분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콘트롤밸브의 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콘트롤밸브에 적용된 스위치와 레버캠의 작동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적용된 유압실린더 구동용 솔레노이드밸브의 단면도.
도 2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 크러셔를 일부분 절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 크러셔의 한 실시예에 의한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조 크러셔의 파쇄실은 고정조판(1)과 가동조판(2) 그리고 삼각판(cheek plate)(3)으로 둘러싸여서 만들어져 있고, 고정조판(1)은 고정조조립체(4)에 끼워져 있고, 가동조판(2)는 가동조조립체(5)위에 쐐기(6)와 쐐기볼트(7)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삼각판(3)은 측판조립체(8)상에 부착된 사선방향의 도시되지 않은 부착홈과, 고정조판(1)의 옆쪽에 형성된 홈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조판(1)이 파쇄실 내부쪽으로 벗겨지는 것을 막으면서 자신도 지지되어 있다.
가동조(5)의 윗부분에 가동조축(9)이 고착되어 있어서 가동조(5) 전체는 가동조축(9)에 매달려 있다.
크러셔의 좌우 양측에 각 1장씩 있는 측판(8)의 왼쪽부분은 고정조(4)와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 그 반대쪽에서는 측판 연결파이프(11)와 보강판(12)에 의해서 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조 크러셔의 기본 골격이 되고 있다.
여기까지의 구조는 통상적인 더블토글 조 크러셔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가동조축(9)는 측판(8)의 상부에 설치된 가동조축 지지판(10)에 고착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축수(bearing)에 의해서 요동 자재하게 지지되어있다.(도 2, 도 3 참조)
가동조(5) 하부에는 가동조판(2)이 부착된 반대쪽에 가동조 토글시트(13)이 부착되어 있고, 홈 부분에 토글판(14)의 일단이 끼워져 있다.
토글판(14)의 다른 쪽 끝부분은 레버(15)의 하부에 형성된 조정실(16) 속에 들어있는 조정블럭(17)에 끼워져 있다. 조정블럭(17)은 뒤쪽에서 조정철판(18)들과 조정실 뒷벽(19)에 의해서 암석의 파쇄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정철판(18)의 두께와 수를 조절해서 조 크러셔 파쇄실의 출구(34)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레버(15)의 중심부에는 레버축(20)이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레버축수(도 6참조)(24)에 의해서 요동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15)의 상부는 쐐기 모양으로 점차 작아지며, 상단 부근에서 편심롤러 (21)와 접촉되어 있어서 편심롤러(21)의 편심운동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도 2는 가동조축(9)이 가동조축 지지판(10)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조축수 (104)속에 들어 있어서 지지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가동축수(104) 옆부분을 막는 가동조축수 옆판(105)은 도시의 편의상 제거된 상태이다.
가동조축(9)이 가동조축수(104)속에 들어가는 부분은 마모와 변형을 막기 위하여 파이프모양의 열처리된 경질의 가동조축라이닝(901)이 씌워져 있으며, 레버축(20)도 가동조축(9)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가동조축수(104)의 내부도 마모와 변형을 막기 위하여 열처리 된 경질의 가동조축수 라이닝판(103)이 가동조축수 몸체(101)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부호 (102)는 가동조 축수 몸체(101)와 가동조축지지판(10)에 수직으로 부착된 보강판이다.
이제, 도 2와 도 3을 보면서 가동조축과 가동조축수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도 2는 가동조(5)가 고정조(4)로부터 가장 멀어져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는 가동조(5)가 암석을 파쇄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동조축(9)은 가동조 축수(104)의 밑바닥에 닿아서 가동조(5)의 무게만을 주로 지탱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텐션로드(22)를 통해서 가동조(5)를 뒤쪽(레버쪽)으로 당기고 있는 스프링(23)에 의해서 가동조(5)는 뒤쪽으로 당겨져서 가동조축(9)는 뒤쪽의 가동조 축수 라이닝(103)에 닿아 있다.
이제 도 1에서 가동조(5)가 레버(15)에 의해서 고정조(4)쪽으로 움직이면서암석을 파쇄한다고 가정하면, 암석을 파쇄하는 강한 힘을 받아서 가동조축(9)은 레버(15) 방향으로 강하게 밀리면서 가동조축수 라이닝(103)을 압박한다.
이런 상태에서 가동조(5)가 계속 고정조(4) 방향으로 움직여 가면 가동조축(9)는 가동조축수 라이닝(103)의 면을 따라 굴러 올라가게 된다.
도 3은 가동조(5)가 고정조(4)쪽으로 가장 근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가동조축(9)은 가동조 축수(104)의 바닥으로부터 조금 들어 올려져 있다.
가동조(5)가 고정조(4)로부터 멀어지는 행정에서는, 가동조축(9)은 밑으로 다시 굴러 내려오게 된다. 이러한 운동의 거리는 대형 크러셔에서도 불과 수 밀리미터에 불과하다.
레버축(20)도 도시되지 않은 레버축수 속에서 똑같은 운동을 하지만 운동거리는 가동조축(9)보다 몇 배 더 길다. 레버축(20)부근의 측판(8)을 제거하고, 레버축(20)이 레버축수 안에 들어있는 모양을 보면 도 2와 똑같은 모양을 보인다.
가동조축수(104)나 레버축수(24)도 수직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어서 축수라이닝이 축으로부터 항상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조축(9)이 가동조축수 라이닝(103)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름마찰을 이용한 이런 축수를 사용함으로써 강한 힘을 받고,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면서도 마모나 파손됨이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축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조 크러셔를 고정조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조 크러셔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조 크러셔를 뒤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 제공된 편심축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레버축(20)을 지지하는 레버축수(24)와 레버(15)를 구동하기 위한 편심축을 지지하는 주베어링 하우징(25)이 도시되어 있다.
레버축수(24)는 가동조축수(104)와는 달리 측판(8)의 안쪽에 좌우 두 개 설치된 것 이외는 구조나 작동원리가 가동조축수와 같다.
편심축 조립체(35)는 편심롤러(21)와, 편심축(26), 주베어링하우징(25) 속에 들어있는 주베어링(27)과 이 베어링(27)에 먼지 침입을 막는 라비린스실(2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심롤러(21)는 편심베어링(28)의 하우징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편심롤러가 둥글다는 것 이외에는 싱글토글 조 크러셔의 편심축 조립체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편심축 조립체(35)의 편심축(26) 우측단에 V형 벨트홈이 형성된 풀리가 장착되고, 좌측단은 주베어링 하우징커버(30)가 장착되어 먼지 등으로부터 밀봉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 편심축 좌측단도 우측단과 동일하게 라비린스실을 장착한 후, 플라이휠이나 V형벨트 풀리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서 도시된 편심축조립체(35)는 통상적인 싱글토글 조 크러셔에서 사용되는 편심축보다 편심된 정도가 대단히 크다. 이것은 레버(15)가 배력작용을 하기때문에 가동조(5)가 움직이는 거리보다 편심롤러(21)가 움직이는 거리가 2~5배로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심베어링(28)이 장착된 부분과 편심베어링들 사이의 축 부분은 몹시 굵은 형태가 된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편심정도가 큰 축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편심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조립식 편심축에서는 편심베어링이 장착될 부분만 2개를 따로 제작하여 키홈을 파고, 주축에 가공된 키홈에 키(32)를 도시한 바와 같이 끼운 후, 편심환 (31)을 가열하여 주축(33)에 열박음하는 것으로서 편심축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편심축을 제작하면 편심축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또 축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를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축 가공시간 또한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도 7에서는 축에 결합된 모든 베어링들이 롤링베어링들인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4개의 롤링베어링들 중에서 안쪽에 있는 2개의 롤링 베어링들은 통상적인 저어널 베어링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는 윤활 매체로써 액체상태인 윤활유를 사용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 크러셔에 제공된 배력장치인 레버조립체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정면 및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시의 편의상 텐션로드(22)와 텐션스프링(23)은 생략하고 도시되었다.
도 9a는 레버조립체의 정면도로써 레버(15)를 가동조 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레버(15)는 좌우의 레버측판(152)과 레버등판(153), 레버하판(154), 조정실천장(155), 조정블럭(17), 조정철판(18), 조정실 뒷판(19), 유압잭실(156), 그리고 레버축(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등판(153)에는 텐션로드 홈(157)이 뚫려있다.
이러한 구조의 레버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로드(22)는 한쪽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어서 가동조 뒷벽에 부착되어 있는 U자형 걸쇠 (501)에 걸려있고, 다른쪽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텐션스프링(23)과 너트를 이용하여 가동조(5)를 뒤로 잡아당기고, 레버조립체(15)의 상단부는 편심롤러(21)에 항상 밀착되게 힘을 주고 있다.
텐션로드(22)는 가동조 걸쇠(501)에 결합될 때, 레버조립체(15)에 형성된 텐션로드홈(157)을 통하여 갈고리 부분이 들어가게 된다.
레버(15)의 하부에는 레버측판(152)과, 레버하판(154), 그리고 조정실 천정(155)로 이루어진 사각파이프 모양의 조정실(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속에 사각기둥 모양의 조정블럭(17)이 들어 있다.
조정실(16)의 가동조쪽 단부는 완전히 열려 있고, 그 반대쪽은 위쪽으로 열린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있으며, 더 나아가면 조정실 뒤판(19)이 뒤를 막고 있다.
조정실 뒤판(19) 중앙부분에는 조정구멍(191)이 뚫려 있어서 이 구멍(191)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유압잭의 로드가 조정블럭(17)을 향하여 나아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고정조 판(1)과 가동조 판(2)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파쇄간격(34)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유압잭실(156)에 유압잭을 넣고 유압잭의 로드를 전진시키면 유압잭의 로드는 조정구멍(191)을 지나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정철판 (18)에 형성된 U자형 흠을 통하여 전진하여 조정블럭(17)을 앞쪽을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조정블럭(17)에 의해서 눌러져 있던 조정철판(18)이 자유롭게 되므로, 파쇄간격(34)을 늘리려면 조정철판(18) 빼내면 되고, 파쇄간격(34)을 줄이려면 조정철판(18)을 더 집어넣은 후, 유압잭 로드를 후퇴시키면 텐션로드(22)와 텐션스프링(23)의 작용으로 조정블럭(17)이 뒤로 밀려서 조정철판(18)을 조정실 뒤판(19)에 밀착시키게 된다.
텐션로드(22)와 텐션스프링(23)에 의한 인장력은, 가동조(5)와 레버(15) 및 편심축 조립체(35)의 모든 연결 작동 부위가 제자리에 있도록 긴장력을 부여한다.
텐션로드(22)가 가동조(5)를 잡아당기는 힘은, 우선 가동조축(9)과 토글판(14)의 두군데로 나누어져서 작용한다. 가동조축(9)는 이 힘에 의해서 가동조(5)가 암석을 파쇄하지 않는 동안에도 가동조 축수 뒷면에 밀착되어 움직인다.
토글판(14)도 이 힘을 받아서 가동조(5)가 암석을 파쇄하지 않을 때에도 조정블럭(17)을 조정철판(18)과 조정실 뒤판(19)에 밀어 붙여서 유격이 없도록 하고, 레버축(20)이 레버축수(24)의 뒷면에 밀착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레버축(20)은 토글판(14)에 의해서 전달받는 힘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텐션스프링(23)에 의해서 직접 전달받기도 하는데, 이 힘은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토글판(14)에 의해서 전달받는 힘보다 크기가 작다.
따라서 이 두가지 힘의 합성력은 토글판(14)에 의하여 전달받는 힘과 같은 방향이 되어, 결과적으로 레버축(20)은 레버축수(24) 뒷면을 누르게 된다.
텐션스프링(23)과 텐션로드(22)에 의한 인장력은 대부분 레버(15)의 상단부 쪽으로 전달되어 레버(15)와 편심롤러(21)가 밀착되어 움직이도록 된다.
도 9a에서 텐션로드 축(157)의 수가 1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두 개 혹은 그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션로드(22)와 텐션스프링(23) 및 걸쇠(501)의 숫자도 두 개 혹은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조 크러셔가 소형인 경우에는 유압잭 실(156)의 설치는 생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정구멍에 암나사를 삭설하거나 너트를 장착시키고, 여기에 긴 볼트를 끼워서 조정블럭을 밀게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을 했다. 여기서 한가지 첨언 할 것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가동조축(9)과 가동조 축수(104), 그리고 레버축(20) 및 레버축수(24)를 통상적인 축과 부싱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더블토글형 조 크러셔에서는 가동조를 지지하는 방법으로 측판조립체에 고정된 가동조축과 계합된 부싱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축과 부싱의 조합은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축과 부싱의 조합으로 견딜 수 있는 힘의 크기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시되는 구름마찰형 축수가 견딜 수 있는 힘의 크기보다 훨씬 적다. 그러므로 파쇄할 암석이나 광석의 압축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러한 축과 부싱의 조합으로 가동조 조립체나 레버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이동식 조 크러셔 플랜트(portable jaw crusher plant)의 측면도로서, 이동식 조 크러셔 플랜트는 조 크러셔(J)와 호퍼(H), 피더(F), 컨베이어벨트(C) 그리고 상기 장치의 좌대가 되는 바퀴 달린 샤시(CH)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동식 조 크러셔 플랜트는 도로를 주행하기 때문에 법률에 의하여 높이의 제한을 받게 된다. 이동식 조 크러셔 플랜트에서 가장 높은 부분은 호퍼(H)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 호퍼(H)의 높이를 낮추려면 호퍼바닥에 해당되는 피더(F)의 설치 높이를 낮추어야 되고, 피더(F)는 조 크러셔(J)의 고정조(40) 위에 위치하므로 고정조(40)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 고정조(40)가 도 1의 경우와 같이 수직으로 서 있지 않고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조 크러셔에서는 가동조(50)를 구동하는 레버(150)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된 레버(15)와는 상이하다.
도 12에서는 레버(150)를 지지하는 레버축(200)이 레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또 레버(150)에 레버축(200)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조 크러셔(J)의 양측판(80)에 고정되어 있으며 레버(150)의 하단부에 레버축수(240)가 설치되어 있어서, 레버(150)가 움직일 때 레버축수(240)와 레버축(200)은 서로 구름운동을 한다.
레버축수(240)위에는 조정실(160)이 설치되어 있고, 조정실(160)의 구조와 작용은 도 1의 레버에 있는 조정실(16)과 동일하다.
레버(150)의 상단은 편심롤러(210)와 닿아 있어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도 도 1의 경우와 같으며, 레버축(200)과 레버축수(240)에는 경질의 라이닝이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레버를 지금부터는 B형 레버라 칭하고, 도 1에 도시된 레버를 A형 레버라 칭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레버(150)는 편심롤러(210)에 의해서 레버(150)가 움직이는 방향이 가동조(50)의 운동방향과 같다. 따라서 텐션로드(220)의 일단이 가동조(50)에 연결된 것은 도 1의 경우와 같으나, 다른 쪽은 측판(80)에 고착되어 있는 철판(801)에 스프링(230)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어서 가동조(50)를 뒤로 끌어당기고 있다.
그러나 텐션로드(220)가 가동조(50)의 아래쪽을 끌어당기고 있으므로 위쪽의 가동조축(200)에 대한 긴장력은 약하다. 이 긴장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또 다른 텐션로드(221)를 가동조축(200) 부근에 1개소 더 설치한다.
조정실 천정(1550)에는 나사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나사구멍에 조정블럭 고정볼트(1551)가 끼워져 있다. 이것은 조정실(160)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레버(150)를 처음 제자리에 조립할 때 조정블럭(170)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조정블럭(170)을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도 12에 예시된 조 크러셔는 이동식 플랜트에 적용하기 위해서 고정조(40)와 가동조(50) 및 레버(150)가 호퍼(H)쪽으로 경사져 있는 상태의 것이지만, 도 1의 경우와 같이 고정조와 레버가 바로 서 있는 경우 등과 같이 기울어짐 각도를 조정하여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버로부터 가동조로의 동력전달 기구에서 토글판과 토글시트대신 롤러에 의한 동력전달 기구를 사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은 전동롤러(141)와, 이 전동롤러(141)의 좌우 양쪽에 위치한 열처리된 경질의 전동롤러 판(171)(131)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한쪽의 전동롤러판(171)은 조정블럭(17)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고, 다른 전동롤러판(131)은 가동조 전동부재(130)의 한쪽 끝을 구성하고 있는 가동조 전동부재머리(132)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가동조 전동부재(130)의 다른쪽 끝은 볼트에 의해서 가동조(5)의 뒷판에 결합되어 있다. 레버(15)가 가동조(5)를 도면에서 보아 왼쪽으로 미는 단계에서는 전동롤러(141)는 일측 전동롤러판(131)을 따라서 위쪽으로 올라가고 다른쪽 전동롤러판(171)에 대해서는 점차 아래쪽으로 굴러내려 가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 운동은 롤러의 구름운동이므로 마모는 일어나지 않고 동력 전달 손실도 거의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가동조 전동부재(130)가 조정실(16) 안으로 들어가야 되기 때문에 조정실(16)의 높이가 토글판을 사용할 때 보다 커야 한다.
도 14는 가동조전동부재(130)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로서, 전동롤러를 사용하는 구동력전달방식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레버(150)의 운동방향이 도 1의 A형 레버(15)의 운동방향과 정반대이므로 전동롤러(141)가 밑으로 떨어지지 못하게 지지하는 판이 도 13의 경우와는 달리 조정블럭(17)에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B형레버에 전동롤러를 적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의 편의상 전동부분만 발췌해서 도시하였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레버를 편심축 조립체 대신 유압실린더로 구동하는 실시예 중에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측판 연결 파이프대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사각파이프(400)가 좌우측판(8)을 연결하고 있다.
이 사각파이프(400) 우측면에는 두 개의 원형구멍이 뚫려 있어서, 이 구멍 속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실린더(401)가 들어가 있고, 이 유압실린더(401) 두부의 플랜지가 사각파이프에 볼트와 너트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 (401) 속에는 피스톤(404)이 들어 있다.
피스톤(404)의 바깥쪽면에는 중심에 구형의 홈이 파여져 있어서, 이 구형홈에 구형단부를 양단에 가진 피스톤 로드(406)가 요동자재하게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406)의 구형단부(410)는 반원형 플랜지(408)에 의해서 피스톤 (40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유지된다. 유압실린더(401)의 미부에는 압력유가 출입하는 파이프(407)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401)와 마주 보는 레버(450)의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401)와 비슷한 지름을 가진 파이프(402)가 유압실린더(401)의 개수에 상응하는 수만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402)의 뒤쪽 단부는 와셔 모양의 철판으로 막혀있고, 이 와셔에 피스톤 로드(406)의 구형단부(411)가 요동자재 하게 결합되는 구형홈이 설치된 피스톤로드 시트(405)가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이 피스톤로드 시트(405)로부터 피스톤로드(406)의 일탈을 막기 위해서 반원형 플랜지(409)가 피스톤로드 시트(405)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 플랜지(412)와 결합된 콘(cone)형 고무막플랜지(418)와 피스톤로드(406)의 레버쪽 구형단부의 바로 밑부분에는, 피스톤의 습동면으로의 먼지 침입을 막기 위한 콘(cone)형 고무막(413)이 결합되어 있다.
이 콘형 고무막(413)은 피스톤(404)의 운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피스톤(404)과 실린더(401) 내면을 먼지에 의한 마모로부터 보호한다.
콘형 고무막(413)의 좁은쪽 단부 부근에는 고무막 내부와 외부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모양의 꼭지(nippl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꼭지에는 호스(414)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401)로부터 누설되어 나오는 소량의 작동유를 도시되지 않은 수납탱크로 흘려 보낸다.
미설명 부호 415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된 스토퍼로서, 레버(450)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6)의 힘에 의해 가동조(5)쪽으로 움직여 갈 때, 정해진 한계선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며, 레버(450)가 운동하는 기준점이 된다.
도 18은 유압실린더와 레버 상단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유압실린더(401)는 내면에 열처리된 경질라이너(417)가 조립되어 있고, 경질라이너(417) 안에는 피스톤 링(418)을 가진 피스톤(404)이 들어 있다. 피스톤(404)의 바깥쪽면에는 구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 속에는 구형단부(410)를 가진 피스톤로드(406)가 끼워져 있다.
피스톤로드(406)가 피스톤(404)의 구형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반원형 플랜지(408)가 피스톤로드(406)의 구형단부(410)를 바깥쪽에서 감싸고 피스톤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의 일단에는 플랜지(4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각파이프(400)에 수납된 후, 고정부재(403)로 사각파이프(400)에 고정된다. 유압실린더(401)의 플랜지(412)에는 콘형 고무막 플랜지(418)도 같이 결합된다.
콘형 고무막 플랜지(418)에는 짧은 파이프모양의 돌출부(4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419)에는 외면에 환형의 요철이 삭설되어 있다. 콘형 고무막(413)은 이 요철부위에 씌워진 후 둥근테 모양의 조임쇠(420)로 조여져서 고정된다.
콘형 고무막(413)의 타단은 피스톤로드(406)에 삭설된 요철부에 씌워져서 같은 방법으로 둥근테 모양의 조임쇠(421)로 고정된다.
피스톤로드(406)는 피스톤(404)과 피스톤로드 시트(405)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나, 처음 조립될 때 이외에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는 거의 움직임이 없도록 유압실린더(401)의 방향과 레버(450)의 운동방향이 조정되어 있다.
피스톤(404)에 형성된 구형홈은, 피스톤에서 누설된 유압작동유에 의해서 항상 윤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일측 피스톤로드 시트(405)에는 그리스투입구(422)가 설치되어서 그리스로 윤활된다.
도 19에는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P는 유압유 펌프이고, R.V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이며, T.V는 타이밍밸브, T는 유압유 탱크, C는 유압실린더 이다. A.C는 어큐뮬레이터 (accumulator)이다.
유압펌프(P)는 유압유 탱크(T)로부터 작동유를 일정한 유량으로 빨아올려서 공급한다. 타미밍 밸브(T.V)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독립된 원동기에 연결되어 있어서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분당100~300회)로 유압유 펌프(P)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가 유압유 탱크(T)로 되돌아가는 것을 차단했다가 열어주는 작동을 반복하는 온 오프 밸브이다.
릴리프 밸브(R.V)는 유압실린더(C)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안전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되어 회로내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크러셔에 쇠붙이 같은 파쇄 불가능한 이물질이 투입된 경우에 작동된다.
이제 이 유압회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타이밍 밸브(T.V)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 정지시에는 항상 개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레버(450)는 스프링(416)력에 의해서 유압실린더(401)를 수축시키면서 가동조(5) 쪽으로 전진하여 사각파이프(400)에 부착된 스토퍼(415)에 닿아 있다.
이제 유압유 펌프(P)를 작동시켜서 탱크(T)로부터 작동유를 회로에 공급하여도 타이밍 밸브(T.V)가 개방되어 있다면, 작동유는 전부 탱크(T)로 되돌아가고 유압실린더(C)는 움직이지 않는다.
유압유 펌프(P)는 전동기나 엔진으로 구동되는데, 보통 1500rpm 이상의 고속회전을 한다. 따라서 유압유 펌프(P)는 전동기축이나 엔진축에 직결되어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 크러셔의 파쇄 특성이 간헐적이기 때문에 운동에너지 축적을 위해서 원동기 축에 플라이휠을 장착시킨다.
원동기의 회전속도는 조 크러셔의 작동속도 보다는 훨씬 고속이기 때문에 편심축 조립체에 설치하는 플라이휠 보다는 아주 작은 크기의 플라이휠로도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이점은 유압실린더로 레버를 구동하는 방법이 가지는 큰 이점의 하나로 크러셔의 무게와 제작경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유압펌프(P)가 정상속도로 가속된 후에 타이밍 밸브(T.V)를 구동하면, 이 타이밍밸브(T.V)는 일정한 주기로 개방과 폐쇄를 반복한다.
타이밍밸브(T.V)가 닫히면 유압유 펌프(P)에서 나오는 작동유는 유압실린더 (C)로 들어가서 유압실린더(C)를 팽창시키고, 따라서 가동조(5)는 전진하여 암석을 파쇄한다.
타이밍밸브(T.V)가 열리면 유압유 펌프(P)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와 스프링력에 의해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C)로부터 나오는 작동유가 합쳐져서 타이밍 밸브(T.V)를 통하여 탱크(T)로 돌아간다.
이러한 작동은 레버(450)가 사각파이프(400)상의 스토퍼(415)에 달아서 멈출 때까지 계속 된다. 그런데 타이밍 밸브(T.V)가 열리는 초기에는 일부 작동유가 어큐뮬레이터(A.C) 속으로 들어갔다가 타이밍밸브(T.V)가 닫혀서 작동유의 방출이 중지된 주기 동안에 어큐뮬레이터(A.C)로부터 나와서 탱크(T)로 들어간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A.C)의 작용으로 타이밍밸브(T.V)로부터 탱크(T)로 가는 비교적 긴 관로속에서 작동유의 급속한 유속변동이 방지되어 관로속에서 충격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막는다.
타이밍밸브(T.V)가 닫히면 전술한 작동이 되풀이된다. 만일 크러셔에 쇠붙이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면 유압회로 중의 릴리프 밸브(R.V)가 열려서 크러셔의 파쇄작용은 즉각 중지되고 유압실린더(C)를 비롯한 조 크러셔 전체가 보호를 받게된다.
도 20에는 타이밍 밸브와 그 구동기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밸브는 포핏(poppet)형으로 누유가 적고 응답이 빠르나 다른 형태의 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 몸체는 고압부와 저압부로 나누어지며 저압부에는 볼트에 의해서 조립된 착탈 가능한 마구리 부분이 있고, 여기에 파이프 모양의 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23) 안쪽 단부에는 약간 넓은 부분(443)이 있고, 이것이 포핏이 뒤로 후퇴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부(423)의 파이프 내면에는 안내부싱(424)이 끼워져 있고, 바깥쪽 단부 부근에는 작동유의 누설을 막는 씨일(seal) (425)이 삽입되어 있다.
안내부싱(424)에는 포핏자루(426)가 습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안내부 (423) 바깥으로 나가있는 포핏자루는 안내부 안쪽에 끼워진 부분보다 약간 지름이작고 계단이 형성된 부분이 있어서, 이 계단에 스프링 받이(427)가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427)에는 두 개의 스프링이 접촉하고 있는데, 밸브 몸체쪽으로는 밸브열림 스프링(428)이 조립되어 있고, 그 반대쪽으로는 밸브닫힘 스프링(429)이 조립되어 있다.
이 밸브닫힘 스프링(429)은 스프링 받이(427)와 폴로워 하우징(430) 사이에 조립되어 있는데, 폴로워 하우징(430)에는 역시 파이프 모양의 안내부(431)가 있어서, 포핏자루(426)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어있다.
포핏자루(426) 맨끝에는 직경이 보다 작은 나사부가 있고, 여기에 너트(432)가 조립되어 있어서, 폴로워 하우징(430)이 밸브닫힘 스프링의(429) 힘을 이기고 포핏자루(426)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지지하고 있다.
폴로워 하우징(430)의 안내부는 그리스 투입구(422)로부터 주입된 그리스에 의해서 윤활되고 있다. 폴로워 하우징(430)에는 폴로워축(433)이 나사 조립되어 있고, 폴로워(434)는 롤링베어링(435)을 개재하여 폴로워축(433)에 회전자재하게 조립되어 있다.
폴로워(434)는 구동원동기 축(436)에 결합되어 있는 캠(437)에 의해서 구동되는데 캠의 모양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고압부와 저압부는 포핏(438)에 의해서 구분되어 있고, 포핏(438)이 밸브축 폐쇄상태로 막고 있을 때는 작동유의 압력차에 의해서 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 힘은 포핏(438)에 연결되어 있는 균형피스톤(439)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압력에 의해서 거의 상쇄되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포핏(438)을 여닫는 작용은 캠(437)의 회전에 의하여 폴로워(434)에 주어지는 힘과 밸브열림 스프링(428)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밸드닫힘 스프링(429)은 포핏스프링(428)보다 강성이 세어서 폴로워(434)가 포핏(438)을 밀어서 포핏(438)이 포핏시트(440)에 닿기 전까지는 밸브열림 스프링 (428)만 압축이 된다.
포핏(438)이 포핏시트(440)에 닿은 뒤에는 밸브닫힘 스프링(429)이 압축이 되지만 움직이는 거리는 극소량이 되도록 캠(437)의 스트로크 등이 조정되어 있다.
폴로워(434)를 구동하는 캠(437)은 거의 반원상태인 2가지 원호로 이루어진 외곽을 가지고 있어서, 캠(437)이 원동기에 의해서 회전할 때 포핏(438)이 밸브를 닫았거나 완전 개방한 두가지 상태에 있게 한다.
원동기 축(436)에는 폴로워(434)를 구동하는 캠(437) 이외에 원동기가 정지할 때, 항상 포핏(438)이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 있도록 유도하는 위치결정 캠(441)이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캠(441)은 직경이 큰 부분의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어서 판스프링(442) 끝에 부착되어 있는 폴로워(434)가 캠(437)을 누르는 작용에 의하여 원동기에 구동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원동기 축(436)을 약간 회전시켜서 포핏(438)이 밸브를 개방상태에 있도록 한다.
도 21에는 폴로워 구동캠이 폴로워를 밀어서 밸브가 완전 폐쇄된 상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위치결정 캠(441)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로 향하고 있는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판스프링(442) 끝에 부착된 폴로워(434)가 판스프링(442)을 아래쪽으로 밀고 최하방까지 내려간 상태이다. 만일 이 상태에서 캠 구동원동기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판스프링(442)의 반발력에 의해서 위치결정 캠(441)은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회전하여 위치결정 캠(441)은 1/2회전을 하게 되고, 포핏(438)은 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강제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면서 유압타이밍 밸브를 여닫는 방식에 의하여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회로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형식의 유압밸브와 조작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유압회로만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2에는 레버의 전진 후퇴상태를 감지하여 이에 맞추어 유압실린더 콘트롤 밸브를 조작하는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레버의 전진 후퇴를 감지하는 감지기는 스위치인데 레버에서 돌출된 봉에 끼워진 레버 캠(443)에 의해서 스위치 레버에 달린 폴로워가 움직여서 스위치를 접촉 또는 개방시킨다.
도 23에 스위치와 레버 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S1)(S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진스위치(S1)에는 병렬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의 한 스위치 단자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후퇴스위치(S2)는 레버캠(443)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시 폐쇄상태이고, 전진스위치(S1)는 자연상태에서는 상시개방 상태이다.
도 24는 유압실린더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것인데, 밸브부분은 도 20의 타이밍 밸브와 대동소이하고, 유압회로도 도 19의 회로와 같다.
다만 도 20에서 캠과 폴로워에 의해서 유압밸브를 구동하는 대신에 솔레노이드가 밸브를 구동하는 점이 다르다.
이제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크러셔의 작용을 설명한다.
크러셔의 콘트롤 회로의 전원이 꺼지고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가 밸브의 포핏(438)을 미는 힘이 없으므로, 밸브는 스프링(428) 힘에 의해서 개방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버(450)는 유압실린더(C) 내의 작동유를 긴장스프링의 힘으로 밀어내고,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후퇴한다. 여기서 후퇴,전진이라 함은 가동조(5)의 상태를 말함이고, 레버(450)상단부는 가동조(5)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레버(450)가 스토퍼에 닿을 즈음에 레버캠(443)이 전진스위치(S1)를 밀어서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크러셔와 콘트롤 회로의 전원이 투입되면, 전자 접촉기(M)가 여자되어 회로가 폐쇄되고, 솔레노이드가 여자되어 유압밸브를 닫게 한다.
유압밸브가 닫히면 유압실린더(C)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가동조(5)가 전진하고, 레버(450)상단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레버캠(443)과 전진스위치(S1)는 서로 떨어지고 전진스위치(S1)는 개방된다.
그러나 전진스위치(S1)에 병렬로 연결된 전자접촉기(M)의 스위치는 전자접촉기가 여자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폐쇄상태에 있으므로 회로에는 여전히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있고, 솔레노이드도 여자되어서, 유압밸브는 계속 폐쇄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는 레버캠(443)이 후퇴스위치(S2)에 가까이 다가가서 후퇴스위치(S2)를 개방시킬 때까지 지속된다.
후퇴스위치(S2)가 레버캠(443)에 의해서 개방되면, 전자 접촉기(M)에 주어지는 전기에너지가 끊어지고, 따라서 솔레노이드에 주어지는 전기에너지도 끊어진다.
그러면 유압밸브는 스프링 힘에 의해서 개방되고 가동조(5)는 후퇴한다.
가동조(5)가 후퇴하고 레버캠(443)이 전진스위치(S1)를 움직이면 전술한 사이클이 되풀이되면서 조 크러셔는 암석을 파쇄한다.
이상에서 유압실린더를 구동하는 개방형과 피드백(feed beck)형의 두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원동기와 캠(437) 그리고 폴로워(434)에 의해서 유압밸브를 구동하는 방법은 작동유의 유량이 큰 대형 크러셔에 사용하기 적당한 방법이고 솔레노이드에 의한 유압밸브 구동은 소형에 적당하다.
이상에서 실시한 방법 이외에도 다른 많은 통상적인 유압실린더 구동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유압실린더의 힘을 간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레버를 사용하여 수배 증폭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 크러셔는, 가동조를 구동하는 배력구조가 레버형으로 형성되어 가동조를 구동하기 위한 큰 힘을 얻을 수 있고, 더블토글형 조 크러셔에 비하여 길이와 중량이 작아져 경량성과 간편성이 제공된다.
또한 가동조를 지지하고 있는 축은 축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축받침대의 라이닝을 따라서 구름접촉 운동을 하므로 가동부품의 사용수명이 그만큼 길어져 조 크러셔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a) 좌우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2매의 측판조립체와,
    b) 상기 2매의 측판조립체의 일단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조 조립체와,
    c) 상기 2매의 측판조립체의 타단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측판조립체와 고정조 조립체와 함께 견고한 상자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측판조립체 결합부재들과,
    d) 좌우측판 조립체 상단부에 가동조축에 의하여 매달린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고정조조립체 내면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정조조립체 측판조립체와 함께 쐐기형 파쇄실을 형성하는 가동조조립체와,
    e) ①좌우 측판조립체상에서 지지되는 레버축을 가지고 요동운동이 가능한 레버형 배력장치와,
    ②레버형 배력장치 상단부를 상기 레버축을 중심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레버구동장치와,
    ③레버형 배력장치의 운동을 가동조에 전달하는 전동장치와,
    ④상기 가동조조립체와 레버형 배력장치와 레버구동장치와 전동장치 사이의 모든 유격이 있는 부분을 서로 밀착시키는 긴장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조 조립체를 상기 고정조 조립체에 대하여 왕복운동시켜서 파쇄물을 파쇄시키는 가동조 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배력장치의 축이 전동장치보다 위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배력장치의 축이 전동장치 보다 밑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장치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동심적으로 가공되어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두 개의 베어링 장착부위와, 상기 두개의 베어링 장착 부위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 장착부위와는 편심적으로 가공되었으며, 상호간에는 동심적인 두개의 베어링 장착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일단 혹은 양단에 구동용 풀리를 장착할 수 있는 부위를 가진 편심 회전축과,
    상기 편심 회전축 중심부위쪽으로 두 개의 베어링을 개재하여 편심회전축에 장착된 회전자와,
    상기 편심회전축 양단부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측판조립체에 부착되어 있는 두개의 베어링 및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편심회전축에 결합되어 편심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1개 또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이 롤링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축의 중심부 부근의 직경이 큰 부위를 조립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축 양단부쪽의 좌우 2개의 베어링은 롤링베어링이고, 안쪽 베어링은 저어널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동장치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회로가 작동유를 저장하는 탱크, 탱크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아 압력상태의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 유압펌프의 고압측과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단동 유압실린더, 유암펌프의 고압측과 탱크에 각각 고압측과 저압측이 연결되고 외부동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타이밍 유압밸브, 그리고 유압펌프 고압측과 탱크에 각각 고압측과 저압측이 연결되어 유압회로 내의 이상고압을 해소하는 릴리프 밸브, 그리고 타이밍 밸브 저압측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로 유압회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 크러셔 좌우측판을 속이 비어 있는 사각형단면을 가진 파이프로 연결하고, 사각형파이프의 한면은 레버상단부 부근의 철판과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하며, 상기한 파이프면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구멍을 천설하고, 원형구멍 주위에는 나사구멍을 천설하며, 상기한 원형구멍속으로 일단에 플랜지를 가진 유압실린더를 집어넣어 유압실린더 플랜지를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사각파이프에 고정하며, 유압실린더 내에는 바깥쪽면 한 가운데에 반구형 홈을 삭설한 피스톤을 습동자재하게 삽입하고, 레버에는 유압실린더 쪽으로는 개방되고 반대쪽은 파이프 벽쪽에 내면을 향하여 플랜지가 형성된 둥근 파이프를 고착시키고, 이 파이프 속에 반구형 홈을 삭설한 짧은 환봉형 부재를 삽입하여 플랜지와 나사로 견고히 결합시키며,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과 상기 짧은 환봉형 부재에 삭설된 반구형 홈에 양단에 구형단부를 결합시킨 봉상부재의 단부를 굴곡자재하게 결합시키고, 유압실린더 플랜지부와 상기 봉상부재 사이를 신축자재하고 콘형의 누설작동유 배출 파이프가 부착된 고무막으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 축 또는 레버축 중의 적어도 1개 이상이 측판조립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가동조 축만 측판조립체에 견고히 결합되었을 때는 가동조에만, 레버축만 측판조립체에 견고히 조립되었을 때는 레버형 배력장치에만, 가동조축과 레버축 모두다 측판조립체에 견고히 결합되었을 때는 가동조 및레버형 배력장치 모두에 축과 요동자재하게 결합하는 부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 조립체의 폭보다 길이가 긴 가동조 축이 가동조 조립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가동조 축의 좌우양단은 측판조립체에 설치되고, 윗부분이 축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크게 열린 개구부가 있으며, 상기 개구부 이외의 좌우면과 하면은 서로 직각인 경질재료로 피복되어 있는 축수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배력장치의 폭보다 길이가 긴 레버축이 레버형 배력장치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레버축의 좌우양단은 측판조립체에 설치되고, 윗부분이 레버축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크게 열린 개구부가 있으며, 상기 개구부 이외의 좌우면과 하면은 서로 직각인 경질재료로 피복되어 있는 축수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의 양단이 측판조립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레버형 배력장치 하단부에 아래부분이 레버축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크게 열린 개구부가 있으며, 상기 개구부 이외의 좌우면과 상면은 서로 직각인 경질재료로 피복되어 있는 축수가 설치되어 레버축과 계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배력장치 축 상부 또는 하부 근접한 곳에 가동조 쪽을 향한면은 열려 있고, 그 반대쪽은 구멍이 있는 격판에 의해서 막혀 있고, 상기 격판 부근의 상면 일부가 위쪽으로 열려진 사각 파이프 형상의 조정실을 설치하고, 조정실 속에는 조정실 속을 가동조 쪽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조정블럭이 들어 있으며, 조정블럭과 상기 격판 사이에는 파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철판들을 수납하며, 조정블럭의 가동조쪽 면에는 레버형 배력장치의 왕복 운동을 가동조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부재가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에는 토글시트가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레버의 조정블럭의 가동조쪽 면에도 토글 시트가 삭설되어 있어서 가동조와 조정블럭 사이에 토글판이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에 판상의 전동판의 일단이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전동판의 타단은 조정블럭과 환봉모양의 전동롤러를 개재하여 맞닺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의 배면에 고리를 설치하고, 레버형 배력장치 상부에 관통구멍 및 관통구멍이 있는 스프링시트를 설치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가동조 배면의 고리에 일단에 갈고리를 가지고, 타단은 수나사를 삭설한 텐션로드의 갈고리형 단부를 걸고, 텐션로드의 수나사 부위에 텐션스프링을 씌워서 스프링 일단이 레버형 배력장치의 스프링시트에 닿고, 스프링의 타단을 텐션로드 수나사 부위에 씌워진 와샤가 수나사와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압박하여 움직이는 모든 부위의 유격을 없애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의 배면에 고리를 설치하고, 레버형 배력장치 상부에 관통구멍을 뚫고, 측판에 견고히 결합된 관통구멍이 있는 스프링시트를 설치하며, 스프링 시트와 레버형 배력장치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일단에 갈고리를 가지고 타단에 수나사를 삭설한 텐션로드의 갈고리형 단부를 넣어서, 가동조 배면에 설치한 고리에 걸고 텐션로드의 수나사 부위에 텐션스프링을 씌워서 스프링의 일단은 측판에 결합된 스프링 시트에 달고, 텐션스프링의 타단을 텐션로드 수나사 부위에 씌워진 와샤가 수나사에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압박하여 움직이는 모든 부위의 유격을 없애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축을 가동조 축수에 밀착시키는 힘을 보충하기 위하여, 가동조축 부근의 가동조 배면에 고리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 고리에 상응하는 위치에 측판과 결합된 관통구멍이 있는 스프링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시트 관통구멍을 통하여 일단에 갈고리를 가지고 타단에 수나사를 삭설한 텐션로드의 갈고리형 단부를 넣어서 가동조 배면에 설치한 고리에 걸고, 텐션로드의 수나사부위에 텐션스프링을 씌워서 스프링의 일단은 측판에 결합된 스프링시트에 달고, 텐션스프링의 타단을 텐션로드 수나사 부위에 씌워진 와샤가 수나사에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압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KR10-2001-0043846A 2001-07-20 2001-07-20 조 크러셔 KR10044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46A KR100441918B1 (ko) 2001-07-20 2001-07-20 조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846A KR100441918B1 (ko) 2001-07-20 2001-07-20 조 크러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47A true KR20030008847A (ko) 2003-01-29
KR100441918B1 KR100441918B1 (ko) 2004-07-27

Family

ID=2771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846A KR100441918B1 (ko) 2001-07-20 2001-07-20 조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9841A (zh) * 2012-06-13 2015-02-11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用于将颚板固定在颚式破碎机中的装置
CN104646090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颚式破碎机
CN112156848A (zh) * 2020-11-04 2021-01-01 河南明天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复合辊式破碎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39B1 (ko) 2015-07-27 2016-10-28 주식회사 쵸이스테크 죠 크러셔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044A (en) * 1978-04-10 1979-08-21 Barber-Greene Company Jaw crusher having wedges for toggle beam
JPS6198540U (ko) * 1984-11-30 1986-06-24
JPS6261651A (ja) * 1985-09-10 1987-03-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揺動式粗割機の自動運転制御方法
US4927089A (en) * 1988-10-28 1990-05-22 E&E Seegmiller Limited Rock crushers
JP3327733B2 (ja) * 1995-06-19 2002-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破砕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9841A (zh) * 2012-06-13 2015-02-11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用于将颚板固定在颚式破碎机中的装置
CN104646090A (zh) * 2015-02-16 2015-05-27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颚式破碎机
CN112156848A (zh) * 2020-11-04 2021-01-01 河南明天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复合辊式破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918B1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5516C (en) Jaw crusher
US4478373A (en) Conical crusher
US4192472A (en) Cone crusher
AU2013262354B2 (en) Method of device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to reciprocating percussion motion and device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to reciprocating percussion motion that implements the method
US5810268A (en) Gyratory crusher having easily removable mantel stud
CN110801885B (zh) 一种多缸液压圆锥破碎机
KR101191267B1 (ko) 콘형 크러셔
KR101372920B1 (ko) 콘형 크러셔
EP2698205B1 (en) Cone-shaped crusher
CN103764938A (zh) 用于挠性管道系统的注入头
CN1220640A (zh) 循环传送机的动力输出装置
JP4860562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旋回駆動機構の潤滑方法および装置
KR100441918B1 (ko) 조 크러셔
CN108043504B (zh) 一种大型高效双转动圆锥旋回破碎机
AU686732B2 (en) Brake system for mining conveyor and the like
CA2787912C (en) Crusher clearing system
US5931394A (en) Anti-spin mechanism for gyratory crusher
KR101198584B1 (ko) 콘형 크러셔
RU2411359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адаптированного удара при заглублении инструмента в породу и ударный механизм двс с форсируемой энергией и мощностью
CN213981732U (zh) 一种工程机械驱动桥用行车制动器
CN1511638A (zh) 颚式破碎机
EP0811426A2 (en) A conical crusher having fluid bellow support assemblies
RU2704985C2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CN212632991U (zh) 跳汰机冲程轴定位装置
CN217207333U (zh) 一种滑动轴承及静压启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