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570A -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570A
KR20030006570A KR1020010042389A KR20010042389A KR20030006570A KR 20030006570 A KR20030006570 A KR 20030006570A KR 1020010042389 A KR1020010042389 A KR 1020010042389A KR 20010042389 A KR20010042389 A KR 20010042389A KR 20030006570 A KR20030006570 A KR 2003000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language
hand
shape
signal processing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570A/ko
Publication of KR2003000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각장애자의 의사 소통 수단인 수화를 이미지 처리하여 텍스트로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의 이미지로부터 수화신호를 추출한후 이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텍스트로 출력하는 수화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텍스트를 정해진 규격의 고주파로 만들어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수화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을 활성화시켜, 수화신호처리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INGER LANGUAGE}
본 발명은 IMT 2000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청각장애자의 수화를 이미지화하여 전송하도록 한 수화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음성 및 이미지 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처리하는 기술이 발달되고 있는데, 실제 음성의 경우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합성 기술이나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기계가 동작하는 MMI기술은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CDMA기술이 상용화되고, 개인 휴대 전화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그 휴대전화기의 기능이 단순히 음성을 주고 받는 기능에서 멀티 미디어 기능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IMT2000 서비스는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정보 이외에 이미지 정보까지 전달한다.
상기 IMT2000 서비스는, 정상적인 발화나 정상적인 청취가 가능한 사람끼리의 통화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청각 장애자나 발화 장애자는 단말기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SMS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청각장애자나 발화장애자들끼리는, IMT2000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화로 통신하는 이미지를 고속으로 전달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나, 수화를 모르는 일반인과는 수화로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단말기의 SMS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단말기의 키로 텍스트를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과 정보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키 입력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키입력을 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어느 정도 이상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각장애자의 의사 소통 수단인 수화를 이미지 처리하여 텍스트로 전송하도록 한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수화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수화전송방법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안테나20:송수신신호합성부
30:수신부40:수신신호처리부
50:제어부60:송신신호처리부
70:송신부80:메모리부
90:화면표시부100:마이크로폰
110:스피커120:키입력부
130:수화신호처리부131:감지부
132:변환부133:저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캡쳐하여 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단계와; 추출된 손의 위치정보로 손의 형상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인식된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매핑하여 텍스트로 변환한후 이를 전송하는 제3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의 이미지로부터 수화신호를 추출한후 이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텍스트로 출력하는 수화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텍스트를 정해진 규격의 고주파로 만들어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수화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을 활성화시켜, 수화신호처리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추출수단의 이미지로부터 손목의 위치를 파악하여 손의 형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음의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수화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선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10)와; 송신부(70)와 수신부(30)를 하나의 경로로 묶어서 하나의 안테나(10)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송수신신호합성부(20)와; 안테나(10)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무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하는 수신부(30)와; 상기 수신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분리하는 수신신호처리부(40)와; 상기 수신신호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10)와; 사용자의 전체 이미지를 캡쳐하는 카메라(140)와; 카메라(140)에서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수화신호를 추출한후 이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텍스트로 출력하는 수화신호처리부(130)와; 마이크로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카메라(140) 또는 수화신호처리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 처리하는 송신신호처리부(60)와; 상기 송신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0)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정해진 규격의 고주파로 변환하는 송신부(70)와; 사용자가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20)와; 각종 자료가 표시되는 화면표시부(90)와; 상기 각부를 총괄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한다.
상기 수화신호처리부(130)는 상기 카메라(140)의 이미지로부터 손목의 위치를 파악하여 손의 형상을 감지하는 감지부(131)와; 상기 감지부(131)의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음의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132)와; 각각의 손의 형상에 대한 음을 정의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부(133)로 구성한다.
도2는 본 발명 수화전송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캡쳐하여 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단계와; 추출된 손의 위치정보로 손의 형상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인식된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매핑하여 텍스트로 변환한후 이를 전송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며,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송신모드시, 송신신호처리부(60)는 마이크로폰(10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송신부 (70)에 인가하고, 송신부(70)는 상기 송신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신호처리하여 송수신신호합성부(20) 및 안테나(1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송신부(70)는 송신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에 실어 이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킨후, 그 증폭된 신호를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원하는 송신신호만 통과시킨다.
수신모드시, 수신부(30)는 안테나(10)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무선신호를 소정 신호처리하고, 수신신호처리부(40)는 상기 수신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음성신호와 영상신호 및 각종 데이터로 분리하여 이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신호는 스피커(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영상신호와 각종 데이터는 화면표시부(90)에 표시한다.
여기서, 수화신호처리를 위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통해 수화신호전송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50)는 수화신호처리부(130)를 활성화시키는데, 즉 상기 수화신호처리부(130)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필요시만 활성화됨으로 인하여 전원소모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카메라(140)에서 캡쳐되는 이미지신호를 수화신호처리부(130)에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수화신호처리부(130)는 상기 카메라(140)에서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수화신호를 추출한후 이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송신부(70) 및 안테나(10)를 통해 출력한다.
즉, 감지부(131)는 상기 카메라(140)의 이미지로부터 손목의 위치를 파악하여 손의 형상을 감지하고, 변환부(132)는 상기 감지부(131)의 손의 형상을 저장부(133)에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음의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33)는 각각의 손의 형상에 대한 음을 정의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데, 손의 형상은 손가락의 수,엄지,검지등의 종류와 그 손가락의 방향, 서로의 접촉상황등으로 인식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캡쳐하여 손의 위치 정보를추출한 다음, 그 추출된 손의 위치정보로 손의 형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매핑하여 텍스트로 변환한후 전송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IMT 2000 단말기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자의 수화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일부 일반인이나 청각 장애자로 제한되어 있던 통화 범위를 모든 사람으로 넓힐 수 있는 효과기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캡쳐하여 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단계와;
    추출된 손의 위치정보로 손의 형상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인식된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매핑하여 텍스트로 변환한후 이를 전송하는 제3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손의 형상은, 손가락의 수,엄지,검지등의 종류와 그 손가락의 방향, 서로의 접촉상황등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손의 형상에 대한 음을 정의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방법.
  4. 사용자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의 이미지로부터 수화신호를 추출한후 이를 소정 신호처리하여 텍스트로 출력하는 수화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텍스트를 정해진 규격의 고주파로 만들어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수화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수화신호처리수단을 활성화시켜, 수화신호처리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수화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수화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추출수단의 이미지로부터 손목의 위치를 파악하여 손의 형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손의 형상을 기저장된 손의 형상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음의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손의 형상에 대한 음을 정의하여 이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손의 형상은 손가락의 수,엄지,검지등의 종류와 그 손가락의 방향, 서로의 접촉상황등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전송장치.
KR1020010042389A 2001-07-13 2001-07-13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KR20030006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389A KR20030006570A (ko) 2001-07-13 2001-07-13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389A KR20030006570A (ko) 2001-07-13 2001-07-13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570A true KR20030006570A (ko) 2003-01-23

Family

ID=277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389A KR20030006570A (ko) 2001-07-13 2001-07-13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57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075A (ja) * 1993-08-31 1995-03-17 Tamura Electric Works Ltd テレビ電話装置
KR100235194B1 (ko) * 1992-09-16 1999-12-15 윤종용 수화 인식 시스템
KR100248391B1 (ko) * 1998-04-24 2000-03-15 정선종 시각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의 의사 전달을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181778B1 (en) * 1995-08-30 2001-01-30 Hitachi, Ltd. Chronological telephone system
KR100348823B1 (ko) * 1999-11-12 2002-08-17 황병익 수화 번역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194B1 (ko) * 1992-09-16 1999-12-15 윤종용 수화 인식 시스템
JPH0775075A (ja) * 1993-08-31 1995-03-17 Tamura Electric Works Ltd テレビ電話装置
US6181778B1 (en) * 1995-08-30 2001-01-30 Hitachi, Ltd. Chronological telephone system
KR100248391B1 (ko) * 1998-04-24 2000-03-15 정선종 시각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의 의사 전달을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348823B1 (ko) * 1999-11-12 2002-08-17 황병익 수화 번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220B1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20050288063A1 (en) Method for initiating voice recognition mode on mobile terminal
CN107978316A (zh) 控制终端的方法及装置
KR100690243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24262A (ko)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N101175264A (zh) 一种可视通信的装置
JP2021150946A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デバイスとその使用方法
JP2000068882A (ja) 無線通信装置
EP1718045A1 (en) Method for setting main langu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5812507A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457716B (zh) 一种语音输出方法及移动终端
US200601161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incoming call or message reception through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1491058A (zh) 工作模式的控制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4015250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06570A (ko) 수화전송장치 및 방법
JPH1093671A (ja) 情報通信端末用スタイラスペン
JPH11252283A (ja)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CN111326175A (zh) 一种对话者的提示方法及穿戴设备
JP2006139138A (ja) 情報端末及び基地局
KR100578652B1 (ko) 음성 인식 결과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KR20050054707A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안내 방법
EP1507389A1 (en) Mobile phone with means for switching off the alarm remotely
KR100321228B1 (ko) 다기능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