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925A -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925A
KR20030005925A KR1020010041410A KR20010041410A KR20030005925A KR 20030005925 A KR20030005925 A KR 20030005925A KR 1020010041410 A KR1020010041410 A KR 1020010041410A KR 20010041410 A KR20010041410 A KR 20010041410A KR 20030005925 A KR20030005925 A KR 2003000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bric
functional
germanium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숙
Original Assignee
오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숙 filed Critical 오희숙
Priority to KR102001004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5925A/ko
Publication of KR2003000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9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6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06M10/10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4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 D06N2209/048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능 혹은 음이온 방출능 및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기능성 광물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성물질로 게르마늄 1~30중 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이를 신체 피부 접촉이 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일반 제품의 내면에 도포 혹은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Functional soap composition}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능 혹은 음이온 방출능 및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기능성 광물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성물질로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이를 신체 피부 접촉이 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일반 제품의 내면에 도포 혹은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식생활이 다변화됨에 따라서 많은 질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위생건강에 더욱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강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인체로부터 전자이탈 현상으로 파악하고 전자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천연광물을 이용한 위생기능성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 찾아오는 신체의 노화현상이나, 약 66조개로 구성된 세포활동이 쇠퇴함에 따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서 근육 및 신경쇠약, 기억력 감퇴, 혈압상승, 동맥경화 등과 같이 노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은 다양하지만 노화의 주원인은 세포의 쇠퇴에 있고, 또한 간기능 저하는 간세포의 쇠퇴에 의한 것이고, 동맥경화는 혈관세포의 쇠퇴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노화란 세포의 쇠퇴이며 신체가 늙는다는 것은 세포가 노화하는 것이고, 세포의 노화는 세포가 산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세포의 산화는 신체의 전자부족 현상(에너지 부족현상)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다수의 과학시험에 의하여 증명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 세포의 노화, 즉 세포에서의 전자부족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병의 예방을 위하여 게르마늄, 자석, 황토 등과 같은 천연광물의 특성을 이용한 건강상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건강상품을 예를 들면, 게르마늄, 자석, 황토 등과 같은 혼합물을 이용하여 팬티류에 점 코팅한 속내의류가 개시되고 있고, 그 속내의류는 게르마늄과 자석, 황토를 혼합한 후에 팬티류 내부 면에 점 코팅한 것으로서 사람이 착용하면 게르마늄의 특성에 의하여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를 얻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각종 기능성제품이 제조, 판매되고 있고, 원적외선 방사능과 같은 기능성을 갖는 많은 제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각종 의류 및 섬유제품에도 응용되고 있다.
각종 의류 및 섬유제품에 원적외선 방사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의류 및 섬유제품 표면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과 합성섬유사에 기능성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스프레이하여 도포하고 제조된 섬유를 직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섬유의 제조시 기능성 물질을 섬유 형성능을 갖는 합성수지에 첨가하여 혼합 용융 방사하여 섬유를 얻고 이를 직조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포의 방법들은 기능성 물질이 직물 표면에 고착되는 정도가 미약하여 세탁시 기능성 물질이 탈리되는 경향이 높고, 표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직물이 쉽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을 합성수지에 첨가하여 원적외선 방사와 같은 기능성이 발현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는 양이 미약하여 기능성 발현 정도가 미미하고, 만족할 만한 기능성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능성 물질을 많이 첨가시킬 경우에는 섬유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섬유사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사능 혹은 음이온 방출능 및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기능성 광물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성물질로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이를 신체 피부 접촉이 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일반 제품의 내면에 도포 혹은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사능 및 음이온 방출능을 가지며 습도를 조절하고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기능성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물질의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세탁을 하더라도 기능성이 지속적으로 발현되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끄럽고 직물의 오염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피부에 직접 밀착되어 기능성이 거의 그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경제적인 기능성 직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물질로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직물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 고착 건조한 후,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 건조하므로서 기능성물질인 게르마늄이나 숯의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세탁을 하더라도 기능성이 지속적으로 발현되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끄럽고 직물의 오염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피부에 직접 밀착되어 기능성이 거의 그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경제적인 기능성 직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직물은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20~4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직물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구성한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은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직물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 고착 건조한 후,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 건조하는 것으로 특징 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인 게르마늄은 생육광선 또는 생명의 빛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생체활성화와 신진대사 촉진 및 자정능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숯은 원적외선 방사능이 있고, 음이온을 방출하며, 습도의 조절능이 우수하고, 전자파 흡수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원적외선은 신체 내부 깊숙이 작용하여 몸을 따듯하게 하고, 혈액순환 촉진 및 피로 회복과 노폐물 배출 효능을 도와주는 작용을 하며,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 급증한 주변의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켜서 신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숯은 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변이 다습할 경우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경우에는 수분을 발산하여 게르마늄이 신체에 접하는 동안 수분의 흡수와 발산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건강을 유지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고, 각종 전기/전자 제품에서 나오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숯이 흡수하여 사람의 신체를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숯은 1g당 내부 표면적이 300㎥ 정도의 기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해한 각종 미생물 및 냄새를 흡착하여 부패 방지는 물론 방취, 방부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기능성물질인 숯은 30~59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그 사용량이 3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효율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로부터 발현되는 효과의 발현 정도가 미약한 단점이 있고, 59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직물 표면으로부터 기능성 물질이 탈리될 가능성이 높으며, 직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방출능이 뛰어난 게르마늄을 1~30중량%를 사용하기 때문에 숯의 중량%를 20~49로 제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액은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고무로서 폴리에스테르는 기능성 물질인 게르마늄과 숯의 분산과 도포층으로 부터 기능성 물질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액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폴리에스테르와 아크릴 고무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며, 혼합비율은 도포될 직물의 특성 등에 따라 반복실험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의 사용량이 적을 경우에는 기능성 물질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포층이 형성된 후에 가벼운 충격에 의해서도 기능성 물질이 특히 많이 함유되어 도포된 직물 부분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기능성 물질의 탈리가 쉽게 이루어지며, 직물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직물의 도포층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오염될 가능성이 많은 단점이 있으며, 아크릴 고무는 직물의 표면상에 기능성 물질을함유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도포층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크릴 고무의 사용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직물의 표면상에 기능성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도포층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발포액은 도포층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중탄산소오다, 아질산암모니움, 탄산암모니움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고, 5~3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발포 정도가 미약하여 제조되는 직물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고, 34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직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희석제는 통상의 직물지 표면에 도포층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액의 점도를 낮출 수 있는 용제 등이 사용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고무를 용해시킬 수있는 용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희석제의 사용량은 1~3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될 직물지의 종류 및 특성,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고무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안료 및 숯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이 각각 29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능성 물질인 게르마늄의 사용량이 감소되거나 합성수지액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기능성 발현이 미약하거나 도포층 형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직물은 섬유형 성능을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직물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섬유형성능을 갖는 합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먼저,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직물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 고착 건조한 후,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 건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직물을 제조한다.
도포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로울러를 이용한 도포 방법을 사용하되 고온압착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도포시 무늬를 넣거나 앰보싱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도포 후 1차적으로 140℃의 온도에서 약 3분 정도 건조하여 직물지 표면과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는 도포층의 고착이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 건조하여 도포층에 기능성 물질이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여 도포층으로 부터 기능성 물질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2차례에 걸친 건조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포층이 직물지표면에 완전히 고착되지 않거나 도포층으로부터 기능성 물질이 탈리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게르마늄 15중량%, 숯 25중량%,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고무액 40중량%, 발포액으로 중탄산소오다를 함유하는 페이스트 10중량%, 백색 안료 5중량% 및 희석제 5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혼합물 1kg을 얻은 후, 혼합물을 공지의 로울러식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 표면중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고착 건조한 후, 120℃의 온도에서 1분 정도 2차 건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직물을 세탁기를 사용하여 30회에 걸쳐 세탁을 한 후, 기능성 물질의 탈리 여부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도포층의 손상(크랙 발생 유무)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기능성 물질의 탈리 및 도포층의 손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직물의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를 관능 평가인 20인으로 하여금 촉감으로 평가하게 한 결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동등 이상의 매끄러움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제조된 직물로 제작된 내의를 관능 평가인 30인에게 착용케 하고 촉감이나 착용 후의 기분 등을 평가한 결과, 촉감이 우수하고 기분이 상쾌하다는 평가를 얻었다.
또한, 기대되는 효과로서, 상술한 위생기능성 혼합물을 속내의 등에 적용하는 경우 속내의류에 도포된 코팅체에서 발산되는 다량의 원적외선, 탄소, 음이온 등이 인체 깊숙한 곳에까지 흡수되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피로회복, 노폐물배출, 온열작용, 숙성작용, 자성작용, 건성작용, 중화작용, 공명작용등이 이루어지며, 또한 생활 활동시에 유해세균이 침범시 즉시 박멸되고 인체의 피부보습과 건강위생에 효력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숙성작용이란 원적외선에 의하여 미 성장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말하며, 자성작용이란 이온작용으로 체내에 칼슘 및 철분영양을 균형을 이루어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다.
또한, 중화작용이란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을 배출시켜주고 암내와 땀 냄새와 노인성 냄새를 중화시켜주는 작용이며, 공명작용이란 인체에 함유된 지방질,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영양소를 분해하여 영양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세포의 분자와 원자를 진동시켜서 강인한 체력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이나 숯 이외에도 희원소 광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물질로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직물지 표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 고착 건조한 후,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건조하므로서 기능성 물질인 게르마늄의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세탁을 하더라도 기능성이 지속적으로 발현되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세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표면이 매끄럽고 직물의 오염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피부에 직접 밀착되어 기능성이 거의 그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되고 경제적인 기능성 직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Claims (2)

  1.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통상의 신체 피부접촉이 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일반 제품의 일면에 도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2. 게르마늄 1~30중량%, 숯 20∼49중량%, 합성수지액 35~64중량%, 발포액 5~34중량%, 안료 0~29중량% 및 희석제 1~3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신체 피부 접촉이 가능한 의류를 포함하는 일반 제품의 일면에 도포하고 140℃에서 3분간 1차 고착 건조한 후, 120~140℃의 온도에서 약 1분 정도 2차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제조 방법.
KR1020010041410A 2001-07-10 2001-07-10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05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410A KR20030005925A (ko) 2001-07-10 2001-07-10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410A KR20030005925A (ko) 2001-07-10 2001-07-10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925A true KR20030005925A (ko) 2003-01-23

Family

ID=2771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410A KR20030005925A (ko) 2001-07-10 2001-07-10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59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44A (ko) * 2002-01-26 2003-07-31 주식회사 오픈하우스 활성탄을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71A (ko) * 1998-12-01 1999-03-25 이낙천 기능성 도료
KR200202505Y1 (ko) * 2000-05-31 2000-11-15 한국후직주식회사 숯분말을 도포한 직물지
KR200214550Y1 (ko) * 2000-08-16 2001-02-15 유정희 건강물질을 도포한 원단
KR200221520Y1 (ko) * 2000-11-27 2001-04-16 이철호 원적외선방사 망사
KR100302922B1 (ko) * 1999-02-20 2001-09-22 신계균 숯 분말이 균일하게 고착된 천 및 숯 분말을 천에 균일하게 고착시키는 방법
KR200290445Y1 (ko) * 2002-06-18 2002-09-27 최명희 유해전자파와 방습기능을 가진 건축용차폐포지(遮蔽布地)
KR20020088247A (ko) * 2001-05-19 2002-11-27 추대일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71A (ko) * 1998-12-01 1999-03-25 이낙천 기능성 도료
KR100302922B1 (ko) * 1999-02-20 2001-09-22 신계균 숯 분말이 균일하게 고착된 천 및 숯 분말을 천에 균일하게 고착시키는 방법
KR200202505Y1 (ko) * 2000-05-31 2000-11-15 한국후직주식회사 숯분말을 도포한 직물지
KR200214550Y1 (ko) * 2000-08-16 2001-02-15 유정희 건강물질을 도포한 원단
KR200221520Y1 (ko) * 2000-11-27 2001-04-16 이철호 원적외선방사 망사
KR20020088247A (ko) * 2001-05-19 2002-11-27 추대일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290445Y1 (ko) * 2002-06-18 2002-09-27 최명희 유해전자파와 방습기능을 가진 건축용차폐포지(遮蔽布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44A (ko) * 2002-01-26 2003-07-31 주식회사 오픈하우스 활성탄을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KR100303381B1 (ko) 기능성직물및이의제조방법
KR20020088247A (ko) 위생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05925A (ko) 위생 기능성을 갖는 피부 접촉 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299699B1 (ko) 황토흙을 이용한 직물지의 제조방법
DE69722058T2 (de) Absorptionsfaser und -gewebe für saure oder basische Gase
BR0110345A (pt) Composição de lavagem de roupa de dose unitária para amaciamento ou condicionamento de tecidos, e, processo para amaciamento ou condicionamento de roupa de lavagem
KR20000056389A (ko) 숯 분말이 균일하게 고착된 천 및 숯 분말을 천에 균일하게 고착시키는 방법
KR100691171B1 (ko) 토르 말린이 함유된 수건
KR100590695B1 (ko) 광물질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열전사지의 제조방법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1347778B1 (ko) 숯이 함유된 내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의용 원단으로 제조된 내의
KR100389506B1 (ko) 표면에 천연안료분말이 도트처리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383287Y1 (ko) 항균 섬유
JP3743377B2 (ja) サンゴ微粉体含有再生セルロース繊維
KR200403104Y1 (ko) 토르 말린이 함유된 수건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KR200289407Y1 (ko) 음이온방출조성물을 코팅한 원단
KR20030094663A (ko) 음이온방출조성물 및 그를 코팅한 원단
KR101197312B1 (ko) 기능성 황토섬유의 제조방법
KR200264285Y1 (ko)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된 직물
KR100519670B1 (ko) 기능성 세라믹가공 섬유의 제조방법
KR100609403B1 (ko) 섬유용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33626Y1 (ko) 원적외선 방사층이 구비된 직물지
CN107557985B (zh) 一种锌离子抗菌型云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