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727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727A
KR20030001727A KR1020010037072A KR20010037072A KR20030001727A KR 20030001727 A KR20030001727 A KR 20030001727A KR 1020010037072 A KR1020010037072 A KR 1020010037072A KR 20010037072 A KR20010037072 A KR 20010037072A KR 20030001727 A KR20030001727 A KR 2003000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act
rear cover
display device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304B1 (ko
Inventor
조남일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304B1/ko
Priority to US10/102,877 priority patent/US7139041B2/en
Publication of KR2003000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패널의 평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커버의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CRT모니터와 LCD모니터 등을 포함한다.
CRT모니터는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CRT패널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Red, Green, Blue)의 형광물질을 타격하여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가격이나 표시 성능 면에서 경제적이며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나 그 부피가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LCD모니터는 일정한 전압을 가하면 액정(액상 크리스탈)의 분자배열이 흐트러져서 빛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모니터를 얇게 만들 수 있는(평면화) 장점은 있으나 CRT모니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표시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음극선관조립체(500)와, 음극선관조립체(5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전방커버(530) 및 후방커버(540)를 갖는다.
음극선관조립체(500)는 전방커버(530) 측에 배치되는 패널(500a)과, 패널(500a)에 결합되며 패널(500a)과 더불어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500b)과, 펀넬(500b)의 넥크에 결합되어 패널(500a)로 전자빔을 투사하는 전자총(500c)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비디오장치(500d)를 포함한다. 패널(500a)은 실질적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510a)과, 유효면(510a)의 둘레를따라 형성되어 후술할 전방커버(530)의 절곡부(535d)의 단부가 접촉지지되는 지지면(510b)을 갖는다.
전방커버(530)는 유효면(510a)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개구(531)가 형성되며 지지면(510b)에 배치되는 전면부(535)와, 전면부(535)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커버(540)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커버(540)에 결합되는 스커트부(536)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535)와 스커트부(536)의 두께는 비교적 두꺼운 상태로 거의 동일하게 제조된다. 그리고, 전면부(535)의 단부 영역에는 패널(500a)을 향해 비스듬히 절곡된 절곡부(535d)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535d)는 스크루(528)를 이용하여 결합편(520)의 관통공(520a)을 통해 전방커버(530)에 마련된 스크루보스(533)로 체결함으로써, 전방커버(530)를 음극선관조립체(500)에 결합시킬 경우, 전방커버(530)가 패널(100a)의 유효면(510a)에 대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부(535d)의 단부는 유효면(510a)과 지지면(510b)의 경계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절곡부(535d)로 인해 전면부(535)와 패널(500a)의 유효면(510a)은 비교적 높은 단차(H)를 이룰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전방커버를 형성하는 전면부와 스커트부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부로 인해 전면부와 패널의 판면간에는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패널의 평면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면패널이 아닌 평면패널로 제조할 경우, 전면부와 평면패널간에 형성된 단차로 인해 그 평면감은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비스듬한 각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응시할 경우, 패널 유효면과 전면부 사이의 영역이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평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극선관조립체 130 : 전방커버
135 : 전면부 135a : 연결부
135b : 접촉부 135c : 경사부
136 : 스커트부 140 : 후방커버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스커트부로부터 절곡된 소정 두께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접촉하며 상기 연결부보다 두께가 얇은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패널의 평면감을 부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는 접촉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제조할 경우, 두께가 얇은 접촉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호 분리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연결부의 전면에는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단차진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패널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에는 양면테잎과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부를 상기 연결부의 단차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참조부호만 구별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조립체(100)와, 음극선관조립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전방커버(130) 및 후방커버(140)를 갖는다.
음극선관조립체(100)는 전방커버(130) 측에 배치되는 패널(100a)과, 패널(100a)에 결합되며 패널(100a)과 더불어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100b)과, 펀넬(100b)의 넥크에 결합되어 패널(100a)로 전자빔을 투사하는 전자총(100c)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비디오장치(100d)를 포함한다.
패널(100a)은 실질적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110a)과, 유효면(110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후술할 전방커버(130)의 접촉부(135b)가 접촉지지되는 지지면(110b)을 갖는다.
전방커버(130)는, 유효면(110a)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개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서 패널(100a)의 지지면(110b)에 접촉지지되는 전면부(135)와, 전면부(135)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커버(140)를 향해 연장되어 후방커버(140)에 결합되는 스커트부(136)를 포함한다.
전면부(135)의 배면에는 후방커버(140)와의 결합을 위한 스냅(132)과, 음극선관조립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루보스(133)(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보스(133)는 음극선관조립체(10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편(120)의 관통공(120a)과 연통된다. 이에, 관통공(120a)으로 스크루(128)를 삽입하여 전면부(135)의 배면에 형성된 스크루보스(133)로 체결함으로써, 전방커버(130)를 음극선관조립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35)는 스커트부(136)로부터 절곡된 소정 두께의 연결부(135a)와, 연결부(135a)로부터 연장되어 패널(100a)의 지지면(110b)에 접촉되는 접촉부(135b)를 포함한다. 연결부(135a)는 스커트부(136)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접촉부(135b)는 연결부(135a)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패널(100a)의 유효면(110a)과 전면부(135)간에 비교적 높은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접촉부(135b)와 연결부(135a)를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경우,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접촉부(135b)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135b)와 연결부(135a) 사이에는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부(135c)가 형성된다. 이 때, 경사부(135c)에는 직선형태의 경사면이 아닌 패널(100a)의 모서리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100)에 형성된 각 결합편(120)의 관통공(120a)으로 스크루(128)를 삽입하여 전방커버(130)의 전면부(135) 배면에 형성된스크루보스(133)로 체결한다. 그러면, 접촉부(135b)는 패널(100a)의 지지면(110b)에 완전히 면접촉될 수 있어 패널(100a)의 유효면(110a)과 전면부(135)간에는 단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도시 않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전방커버(130)와 후방커버(14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패널(100a)의 지지면(110b)을 접촉지지하는 접촉부(135b)가 연결부(135a)의 두께보다 얇도록 함으로써, 전면부(135)와 패널(100a)의 유효면(110a)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패널(100a)의 평면감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조립체(200)와, 음극선관조립체(2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전방커버(230) 및 후방커버(24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35)는 스커트부(236)로부터 절곡된 소정 두께의 연결부(235a)와, 패널(200a)의 지지면(210b)에 접촉되며 연결부(235a)와는 분리되는 접촉부(235b)를 포함한다. 연결부(235a)의 전면에는 후방커버(240)를 향해 소정 깊이 단차진 단차부(235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235a)의 배면, 즉, 단차부(235c)의 내측 단부에는 패널(200a)의 곡률면과 대응되는 곡률면(R)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35c)의 깊이는 접촉부(235b)의 두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접촉부(235b)의 두께는 얇으면 얇을수록 전면부(235)와 패널(100a)의 유효면(210a)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단차부(235c)에는 결합부재(250)를 통해 접촉부(235b)가 접촉된다. 여기서, 결합부재(250)로는 접착제, 양면테잎, 볼트 및 후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접촉부(235b)의 내부는 유효면(210a)이 보일 수 있도록 투시개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3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얇을수록 본 발명의 사상을 달성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접촉부(235b)는 단차부(235c)로부터 착탈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접촉부(235b)에 특별한 색상을 부여하거나 광고 문구 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색에 실증이 난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극선관조립체(200)에 형성된 각 결합편(220)의 관통공(220a)으로 스크루(228)를 삽입하여 전방커버(230)의 전면부(235) 배면에 형성된 스크루보스(233)로 체결한다. 그런 다음, 결합부재(250)를 이용하여 접촉부(235b)를 연결부(235a)의 단차부(235c)에 접촉시킴으로써, 패널(200a)의 유효면(210a)과 전면부(235)간에는 단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후, 도시 않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전방커버(230)와 후방커버(24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패널(200a)의 지지면(210b)을 접촉지지하는 접촉부(235b)가 연결부(235a)의 두께보다 얇도록 함으로써, 전면부(235)와 패널(200a)의 유효면(210a)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패널(200a)의 평면감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고안의 사상은 LCD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LCD패널(300)이 적용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부(3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336)로부터 절곡되어 LCD패널(300)의 판면에 접촉되는 접촉부(335b)를 포함한다.
접촉부(335b)의 두께(A)는 스커트부(336)의 두께(B)에 비해 얇게 형성함으로써, LCD패널(300)의 판면과 전면부(335)간에 비교적 높은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시, LCD패널(400)이 적용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부(4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436)로부터 절곡된 소정 두께의 연결부(435a)와, LCD패널(400)의 지지면에 접촉되며 연결부(435a)와는 분리되는 접촉부(435b)를 포함한다. 연결부(435a)의 전면에는 후방을 향해 소정 깊이 단차진 단차부(435c)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LCD패널(400)과 접촉부(435b) 간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단차부(435c)의 두께(C)가 매우 좁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달성할 수 있다.
단차부(435c)의 깊이는 접촉부(435b)의 두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부(435b)의 두께는 얇으면 얇을수록 전면부(435)와 패널의 판면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단차부(435c)에는 결합부재(450)를 통해 접촉부(435b)가 접촉된다. 여기서, 결합부재(450)로는 접착제, 양면테잎, 볼트 및 후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접촉부(43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얇을수록 본 발명의 사상을 달성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접촉부(435b)는 단차부(435c)로부터 착탈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접촉부(435b)에 특별한 색상을 부여하거나 광고 문구 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색에 실증이 난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패널의 판면과 전면부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패널의 평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스듬한 각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응시할 경우라도 패널의 유효면과 전면부 사이의 영역이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의 평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지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커버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갖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스커트부로부터 절곡된 소정 두께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접촉하며 상기 연결부보다 두께가 얇은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호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전면에는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패널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상기 연결부의 단차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양면테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1-0037072A 2001-06-27 2001-06-27 디스플레이장치 KR10040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72A KR100406304B1 (ko) 2001-06-27 2001-06-27 디스플레이장치
US10/102,877 US7139041B2 (en) 2001-06-27 2002-03-2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72A KR100406304B1 (ko) 2001-06-27 2001-06-27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727A true KR20030001727A (ko) 2003-01-08
KR100406304B1 KR100406304B1 (ko) 2003-11-19

Family

ID=1971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072A KR100406304B1 (ko) 2001-06-27 2001-06-27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39041B2 (ko)
KR (1) KR100406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3955A1 (en) * 2013-02-15 2015-12-31 Steven Yim Aquarium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376A (ja) * 1990-09-21 1992-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像器の筐体
US5565934A (en) * 1992-02-05 1996-10-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olded video display screen bezel
JP3539771B2 (ja) * 1994-04-18 2004-07-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0155640B1 (ko) * 1994-05-30 1998-11-16 김광호 보강용 미디엄케이스를 갖는 모니터케이스
TW353742B (en) * 1996-09-06 1999-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rear cover body and top cover
KR19990030295U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음극선관용 전면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39041B2 (en) 2006-11-21
US20030001980A1 (en) 2003-01-02
KR100406304B1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5925B2 (en) Display apparatus
KR1004657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8059843B2 (en) Display device with sound module
KR100959157B1 (ko)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멀티스크린 장치
US8264135B2 (en) Bezel-less electronic display
KR20030049808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716569B1 (ko) 무배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KR2007006621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40630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8082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546705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WO200910743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H0863110A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KR1003924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39246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323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US6696776B2 (en) Cathode ray tube coupler with grounding ribbs
KR20040009336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912695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04000885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38637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13317A (ko) 디스플레이장치
GB2298497A (en) Asymmetric divergent projection system
JPH10104622A (ja) 面光源装置
KR2002009141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