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149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149A
KR20030000149A KR1020010035812A KR20010035812A KR20030000149A KR 20030000149 A KR20030000149 A KR 20030000149A KR 1020010035812 A KR1020010035812 A KR 1020010035812A KR 20010035812 A KR20010035812 A KR 20010035812A KR 20030000149 A KR20030000149 A KR 2003000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geographic information
gml
communication terminal
d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149A/ko
Publication of KR2003000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1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구할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요청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서버에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 받은 GIS 응용서버는 요청 받은 지리정보의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조합하여 XML 문서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GIS 응용 서버에 의해 XML로 생성된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파싱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져, XML로 표현된 공간 객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아이에스(GIS) 관련 표준화 기관(OGC)의 GML 사양에 기반한 DOM을 확장하고, 그 확장 DOM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도의 확대/축소와 같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XML(eXtensible Makeup Language)로 표현된 공간 객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아이에스(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관련 표준화 기관(OGC : Open Geodata Consortium)의 GML(Geographic Markup Language) 사양에 기반한 DOM(Document Object Model)을 확장하고, 그 확장 DOM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위치정보 서비스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환경에서 구동되는 위치정보 서비스가 있다.
즉, 사용자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1)와 GIS 응용서버(2)간에 위치 정보를 요구하고, 그에 대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나 벡터 형식의 위치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출력하는 것이다.
그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웹 브라우저(1)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면 HTTP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GIS 응용 서버(2)로 전송되고, GIS 응용서버(2)에서 상기 요청 받은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나 벡터 형식의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웹 브라우저(1)로 전송하면, 웹 브라우저(1)에서는 전송 받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응용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2는 종래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일부 사업자를 제외한 국내 사업자는 현재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환경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WBMP(Wireless BMP)형식의 이미지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환경에서의 위치정보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3)를 이용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구하면, 이동통신 시스템(4)에서는 이러한 요청을 GIS 응용서버(5)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GIS 응용서버(5)는 요청받은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WBMP 이미지 형식의 지리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시스템(4)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시스템(4)은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3)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3)는 전송받은 WBMP 이미지 형식의 지리정보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참고로, 상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은 유선 인터넷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적합한 포맷 및 환경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규격으로서, 변환대상인 유선 인터넷 사이트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소스로부터 텍스트를 추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해준다.
그리고, 언어 변환 중간단계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언어를 이용한다.
그리고, OGC(Open Geodata Consortium)는 1994년 지형공간 데이터의 호환성 마련을 위해 출범한 단체를 말하는 것으로, 1999년까지 각기 달리 사용되고 있는 GIS 소프트웨어간 아키텍처를 통일된 개방형 지형공간 데이터 교환표준으로 흡수한다는 목표 아래 활동중인 모임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 관련 표준화 기관(OGC)에서는 지리정보를 XML로 표현하기 위한 GML 명세를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GML도 XML의 한 응용이므로 GML을 파싱하기 위하여 XML 파서인 DOM의 인터페이스 명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DOM은 모바일 GIS를 고려한 인터페이스가 아니므로, 기존 XML의 파싱을 위해 사용하는 DOM을 모바일 GIS 환경에 적용할 경우, GML 문서내의 특정 태그를 추출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DOM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지리정보의 출력 및 공간 연산을 위한 기능은 따로 구현해야 한다.
즉, GML 파서의 개발자가 100명이라면, 100개의 GML 파서마다 동일한 기능을 가진 서로 다른 이름의 함수를 재작성 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가 WBMP 이미지 형식으로써, 지도의 확대/축소시의 전송속도가 벡터 형식의 지도에 비해서 늦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 서비스 응용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XML(eXtensible Makeup Language)로 표현된 공간 객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아이에스(GIS) 관련 표준화 기관(OGC)의 GML 사양에 기반한 DOM을 확장하고, 그 확장 DOM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도의 확대/축소와 같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환경에서 구동되는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GIS 응용 서버로부터 벡터 형식의 지도를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 DOM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구할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요청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서버에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 받은 GIS 응용서버는 요청 받은 지리정보의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조합하여 XML 문서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GIS 응용 서버에 의해 XML로 생성된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파싱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기존의 웹 환경에서 지리정보를 XML을 이용해 구축할 경우에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고도, 기존의 웹 브라우저로 웹 환경의 다양한 GIS 서버들의 종류와 위치에 관계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XML로 표현된 지리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환경에서 XML 지리정보를 단말기의 표시창으로 출력하기 위해 DOM을 확장하고,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의해 GIS 응용 서버로부터 벡터 형식의 지도를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환경에서의 위치정보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6)를 이용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구하면, 이동통신 시스템(7)에서는 이러한 요청을 GIS 응용서버(8)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GIS 응용서버(8)는 GIS 응용서버(8)는 요청받은 지리정보의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조합하여 XML 문서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하는 XML 문서의 형식은 GIS 관련 표준화 기관(OGC)에서 지리정보를 XML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준으로 제안한 GML 사양을 따른다.
다음, 상기와 같이 GIS 응용 서버(8)에 의해 GML로 생성된 지리 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7)에 전달되고, 이동통신 시스템(7)은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6)에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6)는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GML 문서를 파싱(parsing)한다.
이때, 상기 GML 문서를 파싱하기 위해서는 W3C 표준화 기관의 XML 파서(parser)의 표준 사양인 DOM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DOM은 GML 문서가 아닌, XML 문서를 고려한 일반적인 파서의 표준 사양이므로, GML 문서를 고려하여 지리정보를 출력, 확대, 축소하기 위한 부가적인 인터페이스의 추가가 필요한 것이다.
즉, GML로 이루어진 지리정보를 단말기의 표시창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DOM의 기능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GML 문서를 고려하여, 지리정보의 출력을, 확대,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확장 DOM을 이용하여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확장 DOM을 이용해 GML문서를 파싱(parsing)하여, 단말기의 표시창에 지리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과정을 도4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확장 DOM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전송한다(S11).
그러면, 단말기 내부의 확장 DOM은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GIS 응용 서버(미도시)에 전송하고, GIS 응용 서버는 사용자 위치와 연관된 지리정보를 GML 문서로 생성한 후 이동 단말내의 확장 DOM에 전송한다(S12).
이에 따라, 확장 DOM은 전송받은 GML 문서를 파싱하여(S13) GML 공간 객체에 접근한 후(S14), GML 공간 객체의 기하와 속성 정보를 추출하여(S15) OGC 표준화 기관의 OpenGIS 명세에 제시된 Simple Feature 기하를 생성한다(S16).
다음, 확장 DOM은 생성한 OpenGIS Simple Feature 기하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이를 호출하여 벡터 형식의 지리정보의 출력 및 확대/축소 등이 공간연산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17).
즉, 단말기 내의 확장 DOM은 GIS 응용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GML 문서를 파싱하여 점(Point), 선(Line), 다각형(Polygon)과 같은 지리정보(feature)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지형 특징을 OGC에서 개방형 GIS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제시한 명세(OpenGIS Simple Features)를 기반으로 한 OpenGIS 기하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하 객체를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확장 DOM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점, 선, 다각형 등의 각 기하 객체에 접근하여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표시창에 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출력된 지리정보에 대한 확대/축소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은, 단말기 내의 DOM의 기능을 확장하여 GIS 응용 서버로부터 벡터 형식의 지리정보를 전송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지리정보의 확대/축소 등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자가 사업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구할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요청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서버에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 받은 GIS 응용서버는 요청 받은 지리정보의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조합하여 XML 문서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GIS 응용 서버에 의해 XML로 생성된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받은 지리정보를 파싱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GIS 응용서버에서 생성하는 XML 문서의 형식은, GIS 관련 표준화 기관(OGC)에서 지리정보를 XML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준으로 제안한 GML 사양을 따른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무선 인터넷 기반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대한 지리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단말기 내부의 확장 DOM은 상기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와 연관된 지리정보를 GML 문서로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내의 확장 DOM에 전송하는 제3단계와; 확장 DOM은 전송받은 GML 문서를 파싱하여 GML 공간 객체에 접근한 후, GML 공간 객체의 기하와 속성 정보를 추출하여 OGC 표준화 기관의 OpenGIS 명세에 제시된 Simple Feature 기하를 생성하는 제4단계와; 확장 DOM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생성한 OpenGIS Simple Feature 기하를 호출하여 벡터 형식의 지리정보의 출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확장 DOM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받은 GML 문서를 파싱하여 점(Point), 선(Line), 다각형(Polygon)과 같은 지리정보(feature)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10035812A 2001-06-22 2001-06-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20030000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812A KR20030000149A (ko) 2001-06-22 2001-06-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812A KR20030000149A (ko) 2001-06-22 2001-06-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49A true KR20030000149A (ko) 2003-01-06

Family

ID=2771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812A KR20030000149A (ko) 2001-06-22 2001-06-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1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99B1 (ko) * 2001-11-29 2004-12-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Gml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패킷 구조 및 통신방법과시스템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50019280A (ko) * 2003-08-18 2005-03-03 유영아이티 주식회사 전장 정보 제공방법 및 관제방법
WO2007067022A1 (en) * 2005-12-09 2007-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uthoring location-based web contents, and appap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location-based web data service in digital mobile terminal
KR101051141B1 (ko) * 2010-12-09 2011-07-21 김동성 실시간 맵 전송 및 스마트폰 맵 가시화용 GridGML 구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402A (ja) * 1995-10-11 1997-04-22 Sharp Corp 地理情報検索装置及び関連情報検索装置
KR20000025627A (ko) * 1998-10-13 2000-05-06 이계철 웹 환경에서의 벡터 지도 검색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0259659A (ja) * 1999-03-10 2000-09-22 Ntt Data Corp 地理情報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10064137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엑스엠엘을 이용한 3차원 지리 피쳐 및 3차원 지리 객체의생성, 편집, 저장, 가시화할 수 있는 3차원 지리 정보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402A (ja) * 1995-10-11 1997-04-22 Sharp Corp 地理情報検索装置及び関連情報検索装置
KR20000025627A (ko) * 1998-10-13 2000-05-06 이계철 웹 환경에서의 벡터 지도 검색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0259659A (ja) * 1999-03-10 2000-09-22 Ntt Data Corp 地理情報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10064137A (ko) * 1999-12-24 2001-07-09 오길록 엑스엠엘을 이용한 3차원 지리 피쳐 및 3차원 지리 객체의생성, 편집, 저장, 가시화할 수 있는 3차원 지리 정보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지리정보시스템(GIS) 전문업체와 제휴를 통해서 PCS폰으로 전국의 위치정보를 그래픽 형태로 볼 수 있는 서비스 제공 ,2000.07.20 ) *
카달로그(휴대전화로 그래픽 형태의 전자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동아일보] 2000.04.17 )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99B1 (ko) * 2001-11-29 2004-12-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Gml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패킷 구조 및 통신방법과시스템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50019280A (ko) * 2003-08-18 2005-03-03 유영아이티 주식회사 전장 정보 제공방법 및 관제방법
WO2007067022A1 (en) * 2005-12-09 2007-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uthoring location-based web contents, and appap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location-based web data service in digital mobile terminal
KR101051141B1 (ko) * 2010-12-09 2011-07-21 김동성 실시간 맵 전송 및 스마트폰 맵 가시화용 GridGML 구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616B1 (ko) 웹 페이지 내용 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US10609170B2 (en) Delivering customized content to mobile devices
US7114160B2 (en) Web content customization via adaptation Web services
EP1320972B1 (en) Network server
US9866612B2 (en) Server-based browser system
US6937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ice through internet
JP2003273971A (ja) モバイル向けマークアップ言語を記述するシステム及び表示用コンテンツを作成する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KR20020056213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인터넷을 위한 인터넷 컨텐츠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US2001005649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stant information service for various devices
KR2003000014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100692658B1 (ko) 이동 통신 단말, 게이트웨이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27752B1 (ko)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
Freytag et al. Resource adaptive WWW access for mobile applications
KR1004640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i Nitto et al. Adaptation of web contents and services to terminals capabilities: The@ Terminals approach
KR20020044301A (ko)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대한 문서 변환 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음성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 방법
JP2001147877A (ja) 情報提供装置、情報中継装置、文書データ表示方法、及び文書データを表示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KR20040050764A (ko)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대한 문서 자동변환방법
KR20060073196A (ko)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언어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있는 게이트웨이 장치, 콘텐츠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Jou A semantics-based automatic web content adaptation framework for mobile devices
Mohammadi et al. Developing Wireless GIS: Using Java and XML Technologies
KR20020060004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5871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