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800Y1 - 멀티튜브 - Google Patents

멀티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800Y1
KR200299800Y1 KR20-2002-0028958U KR20020028958U KR200299800Y1 KR 200299800 Y1 KR200299800 Y1 KR 200299800Y1 KR 20020028958 U KR20020028958 U KR 20020028958U KR 200299800 Y1 KR200299800 Y1 KR 200299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inner tube
port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의신
Original Assignee
함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의신 filed Critical 함의신
Priority to KR20-2002-0028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having compartments comprising elements which are filled with gas by deployment, e.g. spong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중 또는 다중튜브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다 많은 에어포켓을 형성할 수 있음과, 멀티 플랫밸브를 적절히 배치하여 에어의 일괄주입 및 일괄배출이 가능한 점에 특징을 갖는 멀티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단일의 에어주입포트(18)와, 주입되는 에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를 갖는 멀티 플랫밸브(10);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중 일부의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호 독립된 다수의 에어포켓(24a~24h)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25)를 갖는 내부튜브(20);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중 나머지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튜브(20)가 내장되는 에어포켓(34)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35)를 갖는 외부튜브(30); 및 상기 내부 및 외부튜브(20,30)의 에어배출포트(25,35)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본 고안의 멀티튜브는 다중튜브구조로서, 보다 많은 에어포켓을 구성할 수 있고 각 에어포켓의 크기가 작아, 특정 에어포켓이 터진다 하더라도 그 여파가 크지 않아 튜브기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멀티튜브와 비교하여 안전하다(생존률이 높다).
또한, 단일의 에어주입포트로서 다수의 각 에어포켓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어 신속한 에어주입이 가능하고, 별도의 에어배출포트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신속한 에어배출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멀티튜브{Multi-tube}
본 고안은 2중 또는 다중튜브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다 많은 에어포켓을 형성할 수 있음과, 멀티 플랫밸브를 적절히 배치하여 에어의 일괄주입 및 일괄배출이 가능한 점에 특징을 갖는 멀티튜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멀티튜브는 여러개의 독립된 에어포켓을 구비하고 있어 특정 에어포켓이 터지더라도 나머지 에어포켓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써 튜브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일의 에어포켓을 갖는 튜브에 비해 상당히 안전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멀티튜브는 각 에어포켓마다 에어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어 에어를 주입 및 배출함에 있어서 각 에어포켓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그 만큼의 시간과 노력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 멀티튜브는 에어주입밸브의 배치상 어려움때문에 에어포켓의 개수 확장에 있어서 상당히 제한적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주입밸브는 밸브하우징과 밸브콕으로 이루어진 형태로서, 예컨데 본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다중튜브에서는 에어주입밸브를 어떻게 배치하는냐 하는 문제와 기밀성 문제가 수반되어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 멀티튜브는 에어포켓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단위 에어포켓의 크기가 클 수 밖에 없으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어포켓이 터졌을 때 부구(浮具)로서의 튜브기능이 상실될 수 있고, 때문에 충분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중튜브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다 많은 에어포켓을 구성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된 멀티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의 일괄주입 및 일괄배출이 가능하므로써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멀티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멀티 플랫밸브의 제작전 상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멀티 플랫밸브의 제작후 상태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도 1b의 Ⅰ-Ⅰ선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내부튜브의 제작전 상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내부튜브의 제작후 상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도 2b의 Ⅱ-Ⅱ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외부튜브의 제작전 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외부튜브의 제작후 상태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도 3b의 Ⅲ-Ⅲ선 단면도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로서, 도 3b의 Ⅳ-Ⅳ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튜브의 밀봉수단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멀티 플랫밸브
11,12. 제 1튜브원단 13,14. 돌출부 15. 공급유로
16,17. 에어분배포트 18. 에어주입포트
20. 내부튜브
21,21. 제2 튜브원단 23. 돌출부 24(24a~24h). 에어포켓
25. 에어배출포트
30. 외부튜브
31,32. 제 3튜브원단 33. 돌출부 34. 에어포켓
35. 에어배출포트
40. 밀봉수단
41. 가이드프레임 42. 가이드 홈 43. 권취봉
44. 고정부재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은,
단일의 에어주입포트와, 주입되는 에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분배포트를 갖는 멀티 플랫밸브;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중 일부의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호 독립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를 갖는 내부튜브;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중 나머지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튜브가 내장되는 에어포켓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를 갖는 외부튜브; 및 상기 내부 및 외부튜브의 에어배출포트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멀티튜브는 내·외부튜브로 이루어진 2중 또는 다중튜브 구조이기 때문에 제한된 크기의 튜브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에어포켓을 구성할 수 있음과, 멀티 플랫밸브가 적용되어 하나의 주입구로서 에어의 일괄충진 및 일괄배출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요한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멀티튜브는 멀티 플랫밸브(10), 내부튜브(20), 외부튜브(30) 및 밀봉수단(40)으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멀티 플랫밸브(10)는, 도 1a와 같이 내주면상에 단일의 돌출부(13)를 가지면서 외주면상에는 복수의 돌출부(14)를 갖는 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제 1튜브원단(11,12)을 일치되게 중첩시키고, 양 돌출부(13,14)의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edge)를 열가압방식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b 및 1c와 같이 멀티 플랫밸브(10)의 내부에는 공급유로(15)가 형성되며, 외주측 돌출부는 내부튜브(20) 및 외부튜브(30)로 에어를 분배/공급하기 위한 에어분배포트(16,17)가 되고, 내주측 돌출부는 에어가 주입되는 단일의 에어주입포트(18)가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튜브(20)는 도 2a와 같이 멀티 플랫밸브(10)가 내장되도록 멀티 플랫밸브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외주면상에 복수개의 돌출부(23)를 갖는 링형상으로 되면서 내경(d1)은 상기 멀티 플랫밸브(10)의 내경과 같고 외경(D1)은 멀티 플랫밸브(10)에 비해 큰 한 쌍의 제 2튜브원단(21,22)을 상기 멀티 플랫밸브(10)를 사이에 두고 일치되게 중첩시킨 상태에서 제 2튜브원단(21,22)과 멀티 플랫밸브(10)를 열가압방식에 의해 접합함과 동시에 제 2튜브원단(21,22)의 각 돌출부(23)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를 역시 열가압방식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튜브(20)의 내부에는 도 2b 및 2c와 같이 내부에 에어포켓(24)이 형성되며, 돌출부(23)는 상기 에어포켓(24)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25)가 된다. 이때, 에어배출포트(25)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속한 에어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튜브(20)는 자신의 원주방향 접합선(L1)과 플랫튜브(10)와의 사이에 지름선 방향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비례수 만큼의 에어포켓(24a~24h)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멀티 플랫밸브(10)의 에어분배포트(16,17)와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는 상기 일부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양 분할되어 하나의 에어분배포트(16)에 대해 내부튜브(20)의 에어포켓(24) 한 쌍과 연통된다.
특히, 내부튜브(20)용 에어분배포트(16)의 양 분할은 단일의에어분배포트(16)로서 한 쌍의 에어포켓(24)으로 에어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배출포트(25)의 양 분할은 한 쌍의 에어포켓(24)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하나의 에어배출포트(25)로서 배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성요건인 것이다.
한편, 외부튜브(30)는 도 3a와 같이 상기 내부튜브(20)가 내장되도록 내부튜브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외주면상에 각각 복수의 돌출부(33)를 갖는 링형상으로 되면서 내경(d2)은 상기 내부튜브(20)의 내경(d1)과 같거나 더 작고 외경(D2)은 내부튜브(20)의 외경(D1)에 비해 큰 한 쌍의 제 3튜브원단(31,32)을 내부튜브(20)를 사이에 두고 일치되게 중첩시킨 상태에서 제 3튜브원단(31,32)과 내부튜브(20)를 열가압방식에 의해 접합함과 동시에 제 3튜브원단(31,32)의 각 돌출부(33)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를 역시 열가압방식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외부튜브(30)의 내부에는 도 3b 및 도 3d와 같이 내부에 단일의 에어포켓(34)이 형성되며, 돌출부(33)는 에어포켓(34)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35)가 된다. 이때, 에어배출포트(35)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속한 에어배출이 가능하며, 또한, 에어배출포트(35)는 상기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와 근접되게 위치하므로써 후술될 밀봉수단에 의해 두 에어배출포트(25,35)를 동시에 밀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멀티 플랫밸브(10), 내부튜브(20), 외부튜브(30)의 각 접합작업은 정확하고, 또 세밀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접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접합방지를 위해 테프론 코팅 또는 셀룰로오즈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수단(40)은 도 4에서와 같이 외부튜브(30)의 에어배출포트(35)가 위치한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양측에 가이드 홈(42)이 형성되고, 손잡이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대략 ㄷ자형상의 가이드 프레임(41)과; 상기 가이드 홈(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외부튜브(30)와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35)가 권취되는 권취봉(43)과; 상기 외부튜브(30)의 외주상에 설치되어 에어배출포트(25,35)가 권취된 상태로서 권취봉(4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4)는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데 도 4에서 도시된 클립이나 벨크로 테잎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 멀티튜브의 작용을 설명한다.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부튜브(20)와 외부튜브(30)의 에어배출포트(25,35)를 밀봉해야 한다. 따라서, 외부튜브(30)로부터 길게 연장된 형태의 각 에어배출포트(25,35)를 권취봉(43)상에 일부 감은 상태에서 권취봉을 회전시켜 에어배출포트를 완전히 감은 후 권취봉(43)을 고정부재(44)에 결합한다. 상기 에어배출포트는 권취봉상에 감길 때 자연스럽게 압박되면서 에어배출포트의 유로가 밀폐되는 것이며, 이때의 밀폐력은 통상의 밸브와 비교하여 신뢰도가 높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멀티튜브의 내주면상에 구비된 단일의 에어주입포트(18)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주입되는 에어는 멀티 플랫밸브(10)의 공급유로(15)에 충진되면서 이 공급유로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각 에어분배포트(16,17)를 통해 내부튜브(20) 및 외부튜브(30)로 동시 다발적으로 공급된다.
특히, 내부튜브(20)는 자신의 원주방향 접합선(L1)과 플랫튜브(10)와의 이에 지름선방향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에어포켓(24)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어분배포트(16,17)중 내부튜브(20)와 연통되는 에어분배포트(16)는 일부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양 분할되어 내부튜브(20)의 에어포켓(24) 한 쌍과 동시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에어분배포트(16)로서 내부튜브측의 각 에어포켓(24) 한 쌍에 대해 에어를 동시에 주입할 수 있어 효과적인 에어 주입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에어의 충진이 완료된 후에, 충진된 에어가 에어주입포트(18)측으로 역류되지 않기 위해서는 내부튜브(20) 및 외부튜브(30)의 내압(P2,P3)이 멀티 플랫밸브(30)의 내압(P1)에 비해 고압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에어 주입시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으며, 에어를 주입할 때 멀티 플랫밸브(30)는 대기압에 가까우나 내부튜브(20) 및 외부튜브(30)는 에어가 계속적으로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고압상태가 되므로 슬림형의 에어분배포트(16,17)는 P2,P3에 의해 봉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역류의 위험성은 없다.
다만, 안전성의 향상을 위해 에어주입포트(18)를 별도의 수단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충진된 에어를 배출할 때는 고정부재(44)에 고정되어 있던 귄취봉을 탈거시켜 권취봉(43)에 감겨있던 에어배출포트(25,35)를 풀어내면, 내부튜브(20)와외부튜브(30)에 충진되어 있던 고압상태의 에어가 외부로 자연 배출된다.
특히,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는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양 분할되어 내부튜브(20)의 에어포켓(24) 한 쌍과 동시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에어배출포트(25)로서 한 쌍의 에어포켓(24)내에 충진된 에어를 일시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포트(25,35)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한 에어배출이 가능하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멀티튜브는 다중튜브구조로서, 보다 많은 독립된 에어포켓을 구성할 수 있고 각 에어포켓의 크기가 작아, 특정 에어포켓이 터진다 하더라도 그 여파가 크지 않아 튜브기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멀티튜브와 비교하여 안전하다.
또한, 단일의 에어주입포트로서 다수의 각 에어포켓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어 신속한 에어주입이 가능하고, 별도의 에어배출포트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신속한 에어배출도 가능하다.

Claims (6)

  1. 단일의 에어주입포트(18)와, 주입되는 에어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를 갖는 멀티 플랫밸브(10);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중 일부의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호 독립된 다수의 에어포켓(24a~24h)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25)를 갖는 내부튜브(20);
    상기 복수의 에어분배포트(16,17)중 나머지 에어분배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튜브(20)가 내장되는 에어포켓(34)을 가지고, 이 에어포켓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35)를 갖는 외부튜브(30); 및
    상기 내부 및 외부튜브(20,30)의 에어배출포트(25,35)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2. 내주면과 외주면상에 각각 돌출부(13,14)를 갖는 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제 1튜브원단(11,12)을 일치되게 중첩시킨 후 내측 및 외측의 돌출부(13,14)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를 접합하므로써, 내부에는 공급유로(15)가 형성되고 상기 내주측의 돌출부간의 접합에 의해 에어주입포트(18)가 형성되며 상기 외주측 돌출부간의 접합에 의해 에어분배포트(16,17)가 형성되는 멀티 플랫밸브(10);
    외주면상에 돌출부(23)를 갖는 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제 2튜브원단(21,22)을 상기 플랫튜브(10)를 사이에 두고 일치되게 중첩시킨 후 돌출부(23)의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와, 멀티 플랫밸브(10)와 제 2튜브원단(21,22) 간을 각각 접합하므로써, 내부에 에어포켓(24)이 형성되며 돌출부간의 접합에 의해 에어배출포트(25)가 형성되는 내부튜브(20);
    외주면상에 돌출부(33)를 갖는 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제 3튜브원단(31,32)을 상기 내부튜브(20)를 사이에 두고 일치되게 중첩시킨 후 돌출부(33)의 선단(FE)을 제외한 나머지 중첩부위의 에지부와, 내부튜브(20)와 제 3튜브원단(31,32) 간을 각각 접합하므로써, 내부에 에어포켓(34)이 형성되며 돌출부(33)간의 접합에 의해 에어배출포트(35)가 형성되는 외부튜브(30); 및
    상기 내부 및 외부튜브(20,30)의 에어배출포트(25,35)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20)의 에어포켓(24)은, 내부튜브의 원주방향 접합선(L1)과 상기 플랫튜브(10)와의 사이에 지름선 방향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되며,
    상기 멀티 플랫밸브(10)의 에어분배포트(16,17)와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는 상기 에어포켓 분할접합선(L2)에 의해 양분되어 하나의 에어분배포트 및 하나의 에어배출포트에 대해 한 쌍의 에어포켓이 연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20)의 에어배출포트(25)와 외부튜브(30)의 에어배출포트(35)는 근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40)은,
    상기 외부튜브(30)의 에어배출포트(35)가 위치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양측에 가이드 홈(42)이 형성된 대략 ㄷ자형상의 가이드 프레임(41);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내부에 가이드 홈(42)을 따라 롤링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튜브(20)와 외부튜브(30)의 에어배출포트(25,35)를 감아 돌리는 역할을 하는 권취봉(43);
    상기 에어배출포트(25,35)가 감긴 상태의 권취봉(4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랫밸브(10), 내부튜브(20), 외부튜브(30)는 접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접합방지를 위해 테프론 코팅 또는 셀룰로오즈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
KR20-2002-0028958U 2002-09-27 2002-09-27 멀티튜브 KR200299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58U KR200299800Y1 (ko) 2002-09-27 2002-09-27 멀티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58U KR200299800Y1 (ko) 2002-09-27 2002-09-27 멀티튜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672A Division KR100502730B1 (ko) 2002-09-27 2002-09-27 멀티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800Y1 true KR200299800Y1 (ko) 2003-01-08

Family

ID=4932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58U KR200299800Y1 (ko) 2002-09-27 2002-09-27 멀티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8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30B1 (ko) * 2002-09-27 2005-07-21 함의신 멀티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30B1 (ko) * 2002-09-27 2005-07-21 함의신 멀티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8164B2 (ja) 連続ポンプによるエアーシールとその製作方法
JP5354552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DE69729456D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Infusionspumpe
US20100239189A1 (en) Air bag with continuous heat resistance material
KR101082452B1 (ko)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KR200299800Y1 (ko) 멀티튜브
KR100502730B1 (ko) 멀티튜브
KR100519247B1 (ko) 납작한 원형의 약액공급기
CN212100162U (zh) 气柱袋及其缓冲气柱用气道
JP5022429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US9724902B2 (en) Air-sealed body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ir valve
CN210823618U (zh) 气泡袋及气泡纸
CN210461847U (zh) 一种插装阀的二次密封结构
JP2013507263A (ja) ブロー成形システムのバルブ・ブロック・アセンブリ
CN107810045A (zh) 单焊缝接触器
CN214790489U (zh) 一种双密封充装接头
JPH04284209A (ja) 発泡成形装置
CN207004958U (zh) 齐头气动集成系统及其气动模组
CN204828650U (zh) 交叉面密封结构
KR102289636B1 (ko) 내부에 유로 포함 구조체의 밀폐 검사 방법 및 밀폐 검사장치
CN212028616U (zh) 一种u型卫生隔膜阀
WO2022198727A1 (zh) 一种气阀组件以及充气垫
CN211186564U (zh) 充排气系统及充气床垫
CN215000173U (zh) 一种微喷管软管止水组件
JP2019113143A (ja) 高速に充排気するための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