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789Y1 -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789Y1
KR200299789Y1 KR20-2002-0028482U KR20020028482U KR200299789Y1 KR 200299789 Y1 KR200299789 Y1 KR 200299789Y1 KR 20020028482 U KR20020028482 U KR 20020028482U KR 200299789 Y1 KR200299789 Y1 KR 200299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outer cylinder
water
inlet pip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종
Original Assignee
김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종 filed Critical 김석종
Priority to KR20-2002-0028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2Carbon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i.e. from the production, refining or treatment of metals, e.g. galvanic 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세공 공장의 가랑 폐수 및 세척수를 정화시켜주고 가랑 및 세척과정에서 발생한 미세 금을 침전방식을 이용하여 회수함은 물론 중성세제 및 약간의 화학성분(산)은 카본 필터에 의해 악취 및 화학성분을 정제하여 세척용수를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세척용수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하부의 직경이 작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통과, 상기 외통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세척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측관으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세척용수에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미세금)의 이물질은 자연 침전시키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중성 세제)의 이물질은 부상시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부상되는 이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카본필터와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정제부; 및 상기 외통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연 침전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용기와,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포집용기를 분리시 외통에 채워진 세척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 차단용 밸브로 이루어진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Description

세척용수의 정화장치{a purification device of washing water}
본 고안은 세척용수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금속 세공 공장의 가랑 폐수 및 세척수를 정화시켜주고 가랑 및 세척과정에서 발생한 미세 금을 침전방식을 이용하여 회수함은 물론, 중성세제 및 약간의 화학성분(산)은 카본 필터에 의해 악취 및 화학성분을 정제하여 세척용수를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질을 맑게 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 목걸이 등의 장식품은 금으로 만들어지거나, 혹은 그 표면에 금도금을 하여 제작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한, 상기 반지 목걸이 등의 장식품은 그 크기가 매우 작고, 형상 모양이 복잡하여 각각의 물품을 직접 제조하기보다는 정밀도와 소형의 물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 패턴 금형에 의한 주물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반지 목걸이 등의 장식품을 제조하는 귀금속 세공 공장에서는 오염된 세척용수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용수에는 중성 세제 및 미세 금이 첨가되어 있음으로서 그 세척용수가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될 경우 수질을 오염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세척용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침전 및 부상에 의해 분리하여 미세 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척용수는 재 사용할 수 있도록 정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척용수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수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리부 12 - 외통
14 - 유입관 16 - 외측관
20 - 정제부 22 - 카본필터
24 - 활성탄 30 - 포집부
32 - 포집용기 34 - 차단용 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세척용수의 정화장치는, 하부의 직경이 작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통과, 상기 외통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세척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측관으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세척용수에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미세금)의 이물질은 자연 침전시키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중성 세제)의 이물질은 부상시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부상되는 이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카본필터와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정제부; 및 상기 외통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연 침전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용기와,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포집용기를 분리시 외통에 채워진 세척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 차단용 밸브로 이루어진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는 외측관의 하단부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용기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수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는 분리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부(10)는 세척용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수압차에 의해 침전 및 부상시켜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분리부(10)는 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14)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그 유입관(14)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관 형태로 외측관(16)이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14)을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하부에는 직경이 작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통(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12)은 원통 형상으로서 그 하단부에 상광하협의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 부위에 상기 유입관(14)의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상기 유입관(14)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는 세척용수가 상기 외통(12)의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공급되면서 그 부분의 수압차에 의해 물 보다 비중이 무거운 입자(미세 금)는 침전되도록 하고, 물 보다 비중이 가벼운 입자(중성 세제 등)는 부상되도록 하여 분리한다.
상기 수압차는 외통(12)의 하단부가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그 하단부의 단면적이 높이 차에 의해 서로 다르게 되고 따라서 수압차 역시 서로 다르게 됨으로서 유입관(14)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수압차가 발생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수압차에 의해 비중이 물 보다 무거운 입자(미세 금)는 침전되게 되고, 물 보다 가벼운 입자는 부상되어 분리된다.
또한, 상기 유입관(14)의 하단부는 상기 외측관(16)의 하단부 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부상되는 이물질의 일부가 상기 외측관(16)의 내부로 부상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제부(20)는 상기 공급되는 세척용수를 정제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정제부(20)는 외통(12)의 상단면을 막도록 카본필터(22)를 설치하고, 상기 외통의 상부 외주면에 위치되도록 활성탄(24)을 설치하여 상기 유입관(14)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용수가 외통(12)의 상부를 통해 배출될 때 카본필터(22)와 활성탄(24)을 통과하도록 하여 이물질을 정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본필터(22)와 활성탄(24)을 통과되어 정제된 세척용수는 배수밸브(16)를 통해 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집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집부(30)는 상기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섞여 있던 이물질 중 침전되는 것을 모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포집부(30)는 외통(12)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포집용기(32)를 결합하고, 그 포집용기(32)를 분리시 외통(12)에 채워져 있는 세척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통(12)의 하단부에 차단용 밸브(34)를 설치한다. 상기 차단용 밸브(34)는 통상의 개폐밸브를 이용하면 되고, 상기 포집용기(32)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면 된다. 즉, 상기 포집용기(32)와 외통(12)의 결합되는 부분을 플랜지 형태로 하여 결합하면 된다.
또한, 상기 포집용기(32)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투시창(33)을 통해 포집용기(32)의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의 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유입관(14)으로 세척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40) 및 보조통(42)을 더 구비함이 좋다. 상기 보조통(42)은 세척용수가 공급되면 이를 일차적으로 걸름망(44)에 의해 거른 후 보조통(42)에 저장되어 있도록 하고, 그 보조통(42)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용수를 펌프(40)에 의해 유입관(14)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면된다. 또한, 상기 보조통(42)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기(46)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되는 세척용수는 걸름망(44)에 의해 일차적으로 걸러진 후 보조통(42)에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펌프(40)를 구동하여 유입관(14)의 상부에서 하부로 세척용수를 공급하면, 상기 세척용수는 유입관의하단부를 통해 외통(12)의 하단 내부로 공급된다. 즉,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외통(12)과 포집용기(32) 내에는 이미 물이 가득 차 있고, 그 상태에서 유입관(14)의 하단부로 공급되는 세척용수에는 서로 다른 수압차가 발생되어 비중이 물 보다 무거운 입자(미세 금)의 이물질은 포집용기(32) 내로 침전되어 모이게 되고, 비중이 물 보다 가벼운 입자(중성 세제 등)의 이물질은 부상하게 된다. 즉, 상기 유입관(14)을 통해 공급된 세척용수는 그 공급되는 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이후 외통(12)의 콘(cone) 형상으로 생긴 부분에서 발생되는 수압차에 의해 물 보다 비중이 큰 입자는 가라않아 침전된다.
또한, 상기 외통(12) 내에는 이미 물이 가득 차 있음으로서 유입관(14)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용수 만큼의 물은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되는 물은 외통(12)의 상단부를 통해 배출되고, 이때 상기 외통(12)의 상단부에 설치된 카본필터(22)와 활성탄(24)에 의해 세척용수가 정제되어 깨끗한 물이 배수밸브(16)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포집용기(32)에 침전된 이물질은 상기 포집용기(32)를 분리하여 별도의 공정을 통해 미세 금을 회수한다. 상기 포집용기(32)를 분리할 때에는 외통(12)의 하단부에 설치된 차단용 밸브(34)를 닫은 상태로 분리하게 되면 외통 내에 채워져 있는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척용수의 정화장치에 의하면, 세척용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침전 및 부상에 의해 분리하고, 침전된 미물질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미세 금을 회수함은 물론, 세척용수는 여과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척용수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의 직경이 작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통과, 상기 외통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세척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측관으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세척용수에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미세금)의 이물질은 자연 침전시키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중성 세제)의 이물질은 부상시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부상되는 이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카본필터와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정제부; 및
    상기 외통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연 침전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용기와,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포집용기를 분리시 외통에 채워진 세척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 차단용 밸브로 이루어진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는 외측관의 하단부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KR20-2002-0028482U 2002-09-23 2002-09-23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KR200299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82U KR200299789Y1 (ko) 2002-09-23 2002-09-23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82U KR200299789Y1 (ko) 2002-09-23 2002-09-23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789Y1 true KR200299789Y1 (ko) 2003-01-06

Family

ID=4939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482U KR200299789Y1 (ko) 2002-09-23 2002-09-23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7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1B1 (ko) 2005-07-27 2007-03-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
KR100869312B1 (ko) * 2008-07-23 2008-11-18 (주)엔지에스티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1B1 (ko) 2005-07-27 2007-03-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
KR100869312B1 (ko) * 2008-07-23 2008-11-18 (주)엔지에스티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7200C (zh) 一种竖流式自动隔油沉淀装置
EP12299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f water/wastewater
US10421669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device
KR20120022028A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JP4633502B2 (ja) 砂分離洗浄装置
CN205709989U (zh)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系统
KR100874477B1 (ko) 수처리용 침전조
KR200299789Y1 (ko) 세척용수의 정화장치
KR101495259B1 (ko) 다단형 멀티사이클론을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장치
CN2892839Y (zh) 轻油污水集成处理装置
CN208120853U (zh) 一种高浊度污水净化装置
CN105999776A (zh) 泥渣层过滤沉淀池及其方法
CN106630249A (zh) 一种隧道废水自动处理系统
CN105000705A (zh) 一种锅炉的水净化循环利用装置
CN205258153U (zh) 一种气浮和过滤一体化装置
JP4324784B2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
CN2194357Y (zh) 废水综合净化处理设备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CN106946381A (zh) 一种组合式净水器
CN209053196U (zh) 桥面初期雨水收集处理系统
SU786858A3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асловод ной эмульс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CN220034257U (zh) 一种用于污水泥沙分离的装置
KR20020068311A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JP2006095413A (ja) 砂分離洗浄装置
CN105347569B (zh) 气浮过滤膜滤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