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606Y1 -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06Y1
KR200299606Y1 KR2020020030076U KR20020030076U KR200299606Y1 KR 200299606 Y1 KR200299606 Y1 KR 200299606Y1 KR 2020020030076 U KR2020020030076 U KR 2020020030076U KR 20020030076 U KR20020030076 U KR 20020030076U KR 200299606 Y1 KR200299606 Y1 KR 200299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ight
bushing
bookshelf
upp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to KR202002003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06Y1/ko

Lin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 수단을 구비한 2각 책걸상에서 상부구조의 흔들림을 방지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2각 책걸상의 다리(10)부위가 상판(20)이나 좌판(30)에 고정결합되는 상부파이프(11)와, 이를 지지하는 하부파이프(12)로 분리되고,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수단(40)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조의 2각 책걸상에 있어서, 상부 파이프의 단부에 하부파이프 내경에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 윤활부싱(70)을 결합한 구조로 하여 높낮이조절구 결합점과 윤활부싱결합점 2부위에서 상하부 파이프 상호간의 고정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책걸상의 상부구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 Non Shakes Device of a Height Controll Chair and Desk having two Pole}
본 고안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2각(却) 책걸상에 적용되는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급 학교나 학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상이나 걸상은 단순하고, 견고하며, 신체 지수가 각기 다른 다수의 학생들이 장시간 불편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것이 요구된다.
종래 이를 위해 책상의 상판이나 걸상의 좌판은 강한 재질의 목재를 사용하고, 프레임은 철관을 사용하며, 다리부분을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2개의 다리(2각)를 갖는 책상이나 걸상구조 중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책상이나 걸상의 흔들림 방지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 2각 책걸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각 책걸상(4개의 다리가 서로 묶인 구조로 구성된 책걸상)에 비해 매우 단순하고 세련된 외관을 갖고, 사용이 편리하며, 가볍고 재료 소비가 작아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각 책걸상은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하부 구조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함으로서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2각 책걸상은 2개의 다리로 상판이나 좌판 하부의 2점을 받치는 구조이며,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판이나 좌판에 결합되는 상부파이프와 이를 받치는 하부파이프가 분리되고, 높낮이 조절구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조립이나 사용도중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하부 파이프에 적용된 유격때문에 고정 결합 상태에서 필연적으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흔들림은 도4 에 제시된바와 같이, 상하부 구조가 서로 분리되고, 상부 파이프가 하부 파이프에 삽입된 후 높낮이 조절구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상 높낮이 조절구의 1점(즉, P1점)에서만 고정되고, 하부파이프의 단부(P2점)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구조상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문제이며,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상 하부 파이프를 정밀하게 가공하여 유격을 최소화 한 상태로 끼워맞춤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나 이 경우 가공비용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사용과정에서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높낮이 조절기능을 상실하는 등 현실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높이조절식 책걸상은 상부파이프를 하부파이프에 끼운 후 상부파이프를 신축시킴으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높이 조절과정에서 금속끼리의 마찰에 의해 상부파이프의 도막처리된 부분이 쉽게 벗겨지고, 훼손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내구성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2각 책걸상을 구성하는 상부 파이프의 단부에 하부파이프 내경에 접하는 윤활면을 갖는 윤활부싱을 결합한 구조의 흔들림방지장치를 제시하여 높이조절구 결합점과 윤활부싱결합점 2부위에서 상하부 파이프 상호간의 고정 및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2각 책걸상에서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윤활부싱의 윤활작용에 의해 상하부 파이프와의 미끄럼운동이 브드럽게 이루어져 높낮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도막처리된 상하부 파이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윤활부싱에 의해 간접 접촉되게 함으로서 도막부가 벗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미관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아울러 달성하고자 한다.
도1은 책상 및 걸상에 본 고안을 적용한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세부 결합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윤할부싱의 작용 상태도
도4는 종래 2각 책걸상의 흔들림 상태도
*중요 부호의 설명
a.책상 b.걸상
10. 다리 11.상부파이프 12.하부파이프 13.용접선 20.상판 30.좌판 40.높낮이조절수단
41.높낮이 조절공 42.고정부싱 43.핀 44.본체 45.캡 50.받침부 60.연결대
70.윤할부싱 71.삽입링 72.박음봉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2각 책걸상의 다리부위가 상판이나 좌판에 고정결합되는 상부파이프와, 이를 지지하는 하부파이프로 분리되고,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조의 2각 책걸상에 있어서, 상부 파이프의 단부에 하부파이프 내경에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 윤활부싱을 결합한 구조로 하여 높낮이조절구 결합점과 윤활부싱결합점 2부위에서 상하부 파이프 상호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방지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에서 상부 파이프 및 하부파이프는 학생용 책걸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밍된 후 도막처리된 파이프가 주로 이용되며, 높낮이 조절수단(또는 높낮이 조절구)는 하부파이프에 상부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파이프를 뽑아주거나 밀어 넣어 높이를 조정한 후 상하부 파이프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여러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높낮이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공의 하나에 호형의 고정부싱이 핀으로 삽입 고정되며, 하부파이프에 플라스틱 파이프로 된 본체가 결합되며, 나사캡으로 고정부싱을 감싸 본체에 형성된 나사에 조여 결합함으로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시 분해하여 고정부싱의 결합위치를 바꿈으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공을 형성하지 않고 쐐기형을 갖는 호형의 고정부싱을 사용하여 캡으로 조임으로서 상하부 파이프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등 다양한 방식에 의한 높낮이 조절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수단은 나사 결합되는 본체와 캡 및 내부의 고정부싱상호간의 조임압력에 의해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를 물어 압박 고정하고, 상부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서 걸상이나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윤활부싱은 상부파이프의 외경을 하부파이프의 내경 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발생되는 유격을 해소하여 흔들거림을 방지하고, 높낮이 조절시 윤활부싱의 외표면이 하부파이프 내벽을 접촉하면서 쉽게 미끄러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강제로 상부파이프의 단부 중공부에 압입하여 상부파이프와 일체가 될 수 있게 구성하고, 하부파이프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윤할부싱의 외표면은 일정한 폭을 갖고, 상부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며, 플라스틱과 같이 자체 윤할작용을 갖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윤할작용과 흔들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한 윤할부싱은 하부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강제로 압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 형태의 몸통부와 그 단부에 형성한 단턱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윤할부싱은 원통형의 몸통부와 그 단부에 형성된 단턱 및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강제로 압입하기 위한 쐐기형 압입봉으로 구성하여 삽입링을 상부파이프에 끼운 상태에서 내부 관통공에 압입봉을 넣고, 강제로 박음으로서 쐐기의 작용에 의해 삽입링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로 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관 같다.
도1은 가장 기본적 형태의 2각 책걸상의 다리에 본 고안을 적용한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구체적인 적용 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표현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2개의 다리(10)을 갖고, 각 다리는 상판(20)이나 좌판(30)에 고정결합되는 상부파이프(11)와, 이를 각기 지지하는 하부파이프(12)로 분리되고,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수단(40)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각각의 하부 파이프 하부에는 받침부(50)가 형성되고, 양 하부 파이프는 연결대(6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2각 책상 (a)또는 2각 걸상(b)에 적용된다.
상부 파이프 및 하부 파이프 또는 받침부와 연결대 등은 각기 금속판을 포밍가공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으로 용접선(13)이 형성되고, 표면은 도막으로 피복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 파이프의 외경은 하부파이프의 내경에 대하여 대략 2-3 mm정도 작은 크기로서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대하여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도록 유격을 갖는다.
상부 파이프와 하부 파이프의 결합은 높낮이조절수단(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부 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높낮이 조절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공의 하나에 원호형 고정부싱(42)이 핀(43)으로 삽입 고정되며, 하부파이프에 플라스틱 파이프로 된 본체(44)가 고정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나사캡(45)이 고정부싱(42)을 감싸 본체에 형성된 나사에 조여 결합됨으로서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윤할부싱(70)은 원통형의 몸통부(71a)와 그 단부에 형성된 단턱(71b) 및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71c)으로 이루어진 삽입링(71)과 상기 삽입링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강제로 압입하기 위한 원형 쐐기 형태의 박음봉(72)로 구성되어 삽입링(71)을 상부파이프에 끼운 상태에서 내부 관통공에 박음봉을 넣고, 강제로 박음으로서 쐐기의 작용에 의해 삽입링, 박음봉 및 상부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윤할부싱은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구성되며, 몸통 외측으로 용접선 걸림홈(71d)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몸통부에 형성된 단턱(71b) 은 상부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고, 하부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서 하부파이프의 외경에 대하여 대략 0.5mm내외의 유격을 갖도록 구성되며, 폭은 대략 1cm내외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상부파이프의 하단부에서 하부파이프에 대한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부의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한 고정과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져 흔들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단턱에 의한 접촉면은 그 자체 윤할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금속제의 파이프에 대한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높낮이조절시 유연하게 움직이고, 사용도중파이프 내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내벽면에 굴곡이 있다 하더라도 원할하게 동작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금속제인 상하부 파이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플라스틱인 윤할부싱에 의해 간접 접촉됨으로서 도막이 벗겨지는등의 훼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윤활부싱의 몸통부는 박음봉이 강제로 압입될때 상부파이프에 견고하게 물림으로서 상부파이프와 일체로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용접선 걸림홈(71d)은 용접선(13)을 물어 높낮이 조절을 위한 유동시 윤할부싱이 걷도는 것을 방지한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윤할부싱의 흔들림 방지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파이프 아랫부분인 하부구조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걸상의 자판이나 책상의 상판에 횡방향 힘을 가하면 도3의 경우 높낮이 조절수단의 1점(P1)과 윤할부싱의 접촉점(P2) 2점에서 접촉되고 움직임이 억제됨으로 흔들림이 거의 없으나 도4와 같이 윤할부싱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높낮이 조절수단의 1점(P1)에서만 접촉고정이 이루어지고, 상부파이프 하단(P2)에서는 형성된 유격만 큰 진동과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수단을 위해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를 분리한 후 이를 다시 결합한 2각 구조의 책걸상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부파이프하단부에 윤할부싱을 결합하여 하부파이프의 상단(즉, 높낮이 조절수단 결합부) 및 상부파이프의 하단 2점에서 접촉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높낮이 조절수단의 형태나 구조에 관계 없이 적용될 수 있고, 윤할부싱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윤할부싱에 의해 2부위에서 상하부 파이프 상호간의 고정 및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2각 책걸상에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윤활부싱의 윤활작용에 의해 상하부 파이프와의 미끄럼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높낮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도막처리된 상하부 파이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윤활부싱에 의해 간접 접촉됨으로서 도막부가 벗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미관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2각 책걸상의 다리(10)부위가 상판(20)이나 좌판(30)에 고정결합되는 상부파이프(11)와, 이를 지지하는 하부파이프(12)로 분리되고,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수단(40)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조의 2각 책걸상에 있어서, 상부 파이프의 단부에 하부파이프 내경에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 윤활부싱(70)을 결합한 구조로 하여 높낮이조절구 결합점과 윤활부싱결합점 2부위에서 상하부 파이프 상호간의 고정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책걸상의 상부구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윤활부싱(70)은 원통형의 몸통부(71a)와 그 단부에 형성된 단턱(71b) 및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71c)으로 이루어진 삽입링(71)과 상기 삽입링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강제로 압입하기 위한 원형 쐐기 형태의 박음봉(72)로 구성되어 삽입링(71)을 상부파이프에 끼운 상태에서 내부 관통공에 박음봉을 넣고, 강제로 박음으로서 쐐기의 작용에 의해 삽입링, 박음봉 및 상부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윤할부싱(70)은 하부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강제로 압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 형태의 몸통부와 그 단부에 형성한 단턱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KR2020020030076U 2002-10-09 2002-10-09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KR200299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6U KR200299606Y1 (ko) 2002-10-09 2002-10-09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6U KR200299606Y1 (ko) 2002-10-09 2002-10-09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606Y1 true KR200299606Y1 (ko) 2002-12-31

Family

ID=7312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076U KR200299606Y1 (ko) 2002-10-09 2002-10-09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12B1 (ko) * 2020-11-10 2021-04-28 주식회사 대원씨앤에스 높낮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니즈가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12B1 (ko) * 2020-11-10 2021-04-28 주식회사 대원씨앤에스 높낮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니즈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0775B (zh) 具有门铰链组件的制冷器具
ATE451493T1 (de) Automatische nivelliereinrichtung
KR200299606Y1 (ko) 높낮이 조절 2각 책걸상의 흔들림방지장치
KR100795661B1 (ko) 독서대 및 노트북컴퓨터 재치대 겸용 스탠드
KR200419135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2643263U (zh) 家具连接结构
KR101605350B1 (ko) 윤활제 저장홈이 형성된 좌판회동부재를 구비하는 의자
KR100608273B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218105349U (zh) 一种椅子的椅脚结构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36537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20120097077A1 (en) Furniture system and method
JP2006110318A (ja) 高低調節装置
KR100666507B1 (ko) 높이 조절장치
KR20070075451A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1606572U (zh) 支架
KR200315695Y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가지는 책걸상
CN220192442U (zh) 一种免螺栓易固定的板式家具
KR200212400Y1 (ko) 책상 걸상의 높이 변경용 패드
CN210433379U (zh) 一种浴室置物架
KR20090007006U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0355532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 고정레버
KR200386590Y1 (ko) 학생용 가구의 지주 높이 조절장치
JPH0928468A (ja) フットボード装置
KR200331799Y1 (ko) 이동용 바퀴를 갖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1216

Effective date: 200501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