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411Y1 -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11Y1
KR200299411Y1 KR2020020028760U KR20020028760U KR200299411Y1 KR 200299411 Y1 KR200299411 Y1 KR 200299411Y1 KR 2020020028760 U KR2020020028760 U KR 2020020028760U KR 20020028760 U KR20020028760 U KR 20020028760U KR 200299411 Y1 KR200299411 Y1 KR 200299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hat
band
head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진
Original Assignee
노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명진 filed Critical 노명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11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할수 있도록 탄성체로 된 헤어밴드(2)와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할수 있는 차양(1)을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결합하여서는 차양모자가 되고, 착용치 않을 때는 상기 차양(1)과 해어밴드(2)를 분리하여 차양(1)은 부채로 사용하고, 해어밴드(2)는 독립하여 머리의 흘러내림과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띠(25) 및 해어밴드(2)로 착용하거나, 핸드백이나 가방에 각각 넣을수가 있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며, 서로 색상을 다르게한 차양(1)의 앞면과 뒷면을 뒤집어서 다시 결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게 착용할 수가 있고, 차양(1)을 상하로 회전하여 차양각도와 시야의 범위를 조절할 수가 있으며, 불투명한 차양(1)으로 안면을 가린 상태에서도 차양(1)에 형성된 투시가 가능한 창구(26)를 통하여 밖을 볼 수가 있고, 해어밴드(2) 내부면에 빗살돌기(4)를 형성하여 차양모자를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 수가 있어 뚜껑이 없는 차양모자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하며, 차양모자의 해어밴드(2)와 접촉되는 이마의 땀띠는 물론 귀두부의 압박에 의한 두통도 없게 하고,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의 통풍을 도우며, 머리눌림과 바람에 의한 머리의 헝클어짐을 방지할수 있는 차양모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양모자{Blind cap.}
본 고안은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과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할수 있게 탄성체로 된 해어밴드(2)가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착탈 회전식의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양모자는 상기의 차양(1)과 해어밴드(2)가 일체로 결합하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하고 차양각도와 시야의 범위를 조절하는 기능뿐이었다.
여행이나 등산, 낚시, 운동경기관람등 야외활동이 많은 하절기에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어 피부암이나 기미등 심하면 화상까지 입는 경우가 있으며, 최근의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모자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음지나 대중교통수단의 구내, 직장 또는 학교에서처럼 착용하지 않을때는 플랙시블한 운동모자나 등산모자와는 다르게 종래의 차양모자가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로 되어 있어서 가방이나 핸드백에 넣을수가 없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차양모자와는 무관하게 머리가 흘러내리거나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립하여 착용하는 머리띠(25) 및 해어밴드(2)나 또는 부채를 종래의 차양모자 이외에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였다.
종래의 차양모자는 차양(1)의 내부면(14)이 이마와 밀착되기 위하여 초승달모양 안쪽으로 굴곡되게 파여 있으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머리의 앞에서 뒷방향으로 착용하므로서, 해어밴드(2)와 접촉되는 이마에 땀띠가 나며, 뚜껑이 없는 차양모자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여 활동중에 모자가 이마쪽으로 흘러내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어밴드(2)의 탄성강도를 높이면 해어밴드(2)의 양단부와 접촉되는 귀두부가 압박되어 두부의 통증을 유발하였으며, 해어밴드(2) 양단에 보조끈(16)을 부착하였을 때 는 머리뒷부분과 접촉되는 부위의 통풍이 않되며 머리눌림이 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다용도로 사용할수있는 착탈 회전식의 차양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양(1)과 해어밴드(2)가 일체로 결합하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였던 종래의 차양모자에 도 1의 (A)와 같이 상기의 차양(1)과 해어밴드(2)가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은 물론, 종래의 차양모자와는 전혀 무관하게 스스로 독립하여 머리의 흘러내림과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도 2의 (B) (C)와 같이 통상적으로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하는 해어밴드(2)와 상기 차양(1)을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차양(1)과 상기의 해어밴드(2)가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결합하여서는 차양모자가 되고, 회전하면 차양각도와 시야의 범위를 조절하며, 분리하여서는 차양(1)은 부채로 사용하고, 해어밴드(2)는 독립하여 머리가 바람에 날리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띠(25) 및 해어밴드(2)로 사용하며, 부피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편리하고, 서로 색상을 다르게한 차양(1)의 앞·뒤면을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게 착용할수 있으며,차양(1)을 회전하여 안면을 가린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이 불투명한 색상을 도포한 차양(1)의 일부분에 투시가 가능한 창구(26)를 형성하여 밖을 볼 수가 있고, 내부면에 빗살돌기(4)를 부착한 해어밴드(2)와 결합한 차양모자는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 수가 있어 해어밴드(2)의 탄성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뚜껑이 없는 차양모자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며, 땀띠와 두통을 없게하고, 접촉부위의 통풍을 도우며 머리눌림과 머리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할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해어밴드(2);와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과 상기 해어밴드(2)에 상기 차양(1)을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수단;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가 제공된다.
도 1의 (A) (B) (C)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종래의 차양모자에 차양과 해어밴드를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차양모자 및 머리띠 와 각각의 착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 (B) (C)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종래의 차양모자와는 전혀 무관하게 머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통상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하는 해어밴드에 차양을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차양모자의 사시도와 배면도 및 착용모습과, 차양과 분리한 해어밴드 및 착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B) (C) (D)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차양의 형태와 창구를 형성한 평면도
도 4는 차양의 회전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과 해어밴드가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의 조립수단에 의하여 결합할수 있게 실시예를 도시한 해어밴드 일측면의 단면도
도 14의 (A) (B) (C) (D) (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및 사용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5의 (A) (B)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빗살돌기를 형성한 해어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양 8. 삽입부 15. 결합공 22. 버튼
2. 해어밴드 9. 볼트 16. 보조끈 23. 체결공
3. 손잡이 10. 걸림턱 17. 후크 24. 핀
4. 빗살돌기 11. 넛트 18. 삽입공 25. 머리띠
5. 걸고리 12. 돌기 19. 수용홈 26. 창구
6. 힌지핀 13. 똑딱단추 20. 뚜껑
7. 개구부 14. 내부면 21. 가이드 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1 및 도2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양모자는 차양(1)과 해어밴드(2) 및 조립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어밴드(2)는 종래의 차양모자에서 차양(1)과 일체로 결합하거나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도 1의 (A) (B) (C)와 같은 통상의 해어밴드(2)는 물론, 종래의 차양모자와는 전혀 무관하게 머리가 흘러내리거나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착용하는 도 2의 (A) (B) (C)와 같은 해어밴드(2)를 포함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 할수 있게 탄성을 갖는 해어밴드(2)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의 차양모자에서 차양(1)과 해어밴드(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였던 것을, 본 고안에 의하여 상기 차양(1)과 상기 해어밴드(2)가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차양모자로, 상기 차양(1)과 분리하여서는 해어밴드(2)를 도 (B)와 같이 머리띠(25)로 착용하거나, 도 (C)와 같이 양단부에 보조끈(16)을 부착한 머리띠(25)로 착용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의 (A) (B)는 종래의 차양모자와는 전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머리가 흘러내리거나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하는 해어밴드(2)와 상기의 차양(1)이 착탈 빛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한 차양모자로, 차양(1)과 분리하여서는 도 (C)와 같이 독립적인 해어밴드(2)로 착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해어밴드(2)는 내부면에 빗살돌기(4)를 갖일수 있으며, 빗살돌기(4)를 갖은 해어밴드(2)와 상기 차양(1)을 결합한 차양모자는 도 2의(B)와 같이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 수가 있어 해어밴드(2)의 탄성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뚜껑이 없는 차양모자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어 머리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않고, 이마에 땀띠가 나는 것은 물론 귀두부의 압박으로 인한 두통도 없게 하고,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의 통풍을 도우며, 머리눌림과 머리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의 차양(1)과 해어밴드(2)를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므로서, 결합하여서는 햇볕과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모자로 착용하고, 착용치 않을때는 분리하여서 차양(1)은 부채로 사용하며, 해어밴드(2)는 독립하여 머리띠(25) 및 머리의 흘러내림과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머리의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착용하는 해어밴드(2)로 착용하거나, 분리하여서 부피가 작아져 핸드백이나 가방에 각각 넣을수가 있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며, 따라서 차양모자만 휴대하고 있으면 머리띠(25) 및 해어밴드(2)와 부채를 별도로 갖이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의 (A) (B) (C) (D)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1)의 형태와 창구(26)를 형성한 것으로, 도 (A)는 차양(1)의 내부면(14)이 양모서리를 연결하는 선 (a∼b)과 차양(1)을 2등분하는 중심선(c∼d)의 교차점에서 안쪽으로 약 7㎝ 이내로 파여진 것이며, 도 (B)는 상기 교차점의 각도가 90°되게 즉 내부면(14)이 직선으로 된 것이고, 도 (C)는 차양(1)의 내부면(14)이 종래의 차양(1)과는 반대로 배가 부르게 한 것으로 차양(1)을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수 있게 하며부채로 사용하기 편리하게 한 것이다. 상기 차양(1)은 해어밴드(2)와 분리하였을 때 부채로 사용할수 있도록 쉽게 평면으로 펴질수 있게 복원력이 좋은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D)는 조립수단에 의하여 상기 차양(1)의 앞면과 뒷면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게 착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차양(1)의 양면이 불투명한 색상으로 도포된 상태에서 햇볕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양(1)을 회전하여 안면을 가렸을 때, 차양(1)의 일부분에 밖을 투시할 수 있게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자외선 차단용 창구(26)를 형성한 평면도로, 선글라스를 착용한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가 있게된다.
상기 창구(26)의 형태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꽃모양 이나 동물의 눈 모양등 여러 가지 모양과 다양한 색상으로 하여 가면을 착용한 것 같이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차양(1)을 상하로 회전하여 차양각도와 시야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머리의 앞에서 뒤로 착용하는 종래의 차양모자는 이마의 땀을 씻기 위해서 차양모자를 벗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수 있는 본 고안의 차양모자는 차양(1)을 위로 회전하면 벗지 않고도 쉽게 이마의 땀을 씻을 수가 있게된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차양(1)과 해어밴드(2)가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편리상 해어밴드(2) 일측면의 결합상태만을 도시하였다.
도 5의 조립수단은 볼트(9)와 넛트(11)를 이용한 것으로, 볼트(9) 외측에 있는 걸림턱(10)안으로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볼트(9)에 억지끼움하여 삽입한후, 상기 볼트(9)를 해어밴드(2) 양측 외부에 부착된 넛트(11)에 나사조임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차양(1)을 볼트(9)의 걸림턱(10)에서 이탈시키거나 볼트(9)를 넛트(11)에서 역회전하여 풀면된다.
도 6의 조립수단은 똑딱단추(13)를 이용한 것으로, 도 (A)는 양면을 대칭되게 만든 숫놈 똑딱단추(13)를 차양(1)의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의 앞·뒤면에 대칭되게 부착하여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된 암놈 똑딱단추(13)와 결합할수 있게 한 것이고, 도 (B)는 도 (A)와 반대로 암놈 똑딱단추(13)를 대칭되게 만들어 차양(1)의 양면에 대칭되게 부착하고, 숫놈 똑딱단추(13)를 해어밴드(2)에 부착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이며, 도 (C)는 보통의 똑딱단추(13)의 암·수를 차양(1)과 해어밴드(2)에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도 (A)나 (B)와 같이 암·수를 반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의 조립수단은 힌지핀(6)과 체결공(23)을 이용한 것으로, 라운딩되게 양단부에 걸림턱(10)을 형성한 힌지핀(6)에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끼움 삽입한 후, 해어밴드(2) 양측외부의 수용홈(19)이 형성된 체결공(23)에 상기 힌지핀(6)을 억지끼움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할 때는 차양(1)을 힌지핀(6) 외측의 걸림턱(10)에서 이탈시키거나 힌지핀(6)을 체결공(23)에서 이탈시키면 된다.
도 8의 조립수단은 볼트(9)와 넛트(11)를 이용한 것으로, 한쪽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돌기(12)로된 볼트(9)를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하고, 상기 볼트(9)에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삽입한 후, 내부에 나사홈이 파여진 뚜껑모양의 넛트(11)를 상기 볼트(9)에 나사조임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결합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 9의 조립수단은 돌기(12)와 뚜껑(20)을 이용한 것으로, 한쪽에 걸림턱(10)이 라운딩 되게 형성된 돌기(12)를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하고,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상기 돌기(12)의 걸림턱(10)안으로 억지끼움한후, 상기 돌기(12)의 걸림턱(10)을 수용할수 있게 내부에 수용홈(19)이 파여진 뚜껑(20)을 상기 돌기(12)에 억지끼움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결합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 10의 조립수단은 힌지핀(6)을 이용한 것으로,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이 외부로 향하도록 힌지핀(6)을 해어밴드(2)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후,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상기 힌지핀(6)의 걸림턱(10) 안으로 억지끼움하여 결합할 수 있게한 것으로, 분리는 차양(1)을 힌지핀(6)의 걸림턱(10)에서 이탈 시키면 된다.
도 11의 (A) (B)는 후크(17)와 체결공(23)을 조립수단으로 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도 (A)는 뒷쪽은 라운딩 되게 걸림턱(10)이 있고 앞쪽은 밀착 및 분리될 수 있게 2개로 갈라진 탄성체로된 후크(17)에, 상기 걸림턱(10)안으로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끼움 삽입한 후,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된 체결공(23)에 상기 후크(17)를 탄성과 복원력으로 삽입 체결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차양(1)을 후크(17)의 걸림틱(10)에서 이탈시키거나 상기 후크(17)를 체결공(23)에서 이탈시킨다. 도 (B)는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후크(17) 뒤쪽에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안으로 억지끼움하여 삽입하고, 버튼(22)을 눌러서 탄성체로 된 후크(17) 앞쪽의 화살촉 모양으로 된 2개의 걸림턱(10)이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후크(17)를 해어밴드(2) 양측 외부에 부착된 체결공(23)에 삽입한 후, 버튼(22)을 놓으면 복원력에 의하여 2개의 걸림턱(10)이 서로 분리 확장되며 체결공(23)의 걸림턱(10)에 걸려 체결되어서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차양(1)을 후크(17)의 걸림턱(10)에서 이탈시키거나 후크(17)를 체결공(23)에서 이탈시키면 된다.
도 12의 조립수단은 힌지핀(6)과 걸고리(5)를 이용한 것으로, 개구부(7)가 있으며 탄성체로 된 걸고리(5)일측에 힌지핀(6)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힌지핀(6)의 외측에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 안으로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 끼움한 후, 상기 걸고리(5)를 해어밴드(2) 양측내부의 삽입부(8)에 개구부(7)로 끼움고정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차양(1)을 힌지핀(6)외측의 걸림틱(10)에서 이탈시키거나 걸고리(5)를 해어밴드(2)의 삽입부(8)에서 이탈시키면 된다.
도 13의 조립수단은 핀(24)과 돌기(12)를 이용한 것으로, 삽입공(18)을 갖은 라운딩한 돌기(12)를 해어밴드 (2) 양측 외부에 부착하고, 상기 돌기(12)에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삽입한 후, 상기 돌기(12)의 삽입공(18)에 탄성체로 된 핀(24)을 꽂아서 차양(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할수 있게 한 것으로, 분리는 핀(24)을 뺀 후 차양(1)을 돌기(12)에서 이탈시키면 된다.
볼트와 넛트, 똑딱단추, 힌지핀, 돌기, 억지끼움식 체결, 후크, 핀이나 걸고리 등등 각기 다른 수많은 조립수단을 일일이 예시할 수는 없지만 상기한 것과 같은 조립수단으로 차양(1)과 해어밴드(2)가 착탈이나 또는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가 있으며, 도 6의 (A) (B)처럼 똑딱단추(13)의 암·수를 차양(1)과 해어밴드(2)에 서로 바꿔서 부착하여 결합할수 있는 것과 같이, 도 12와 도 13을 제외한 상기의 모든 조립수단을 서로 바꿔서 부착하여 결합할 수가 있다.
또한 차양(1)의 한쪽면에만 보통의 똑딱단추(13)를 부착한 도 6의 (C)를 제외한 상기의 모든 조립수단은 차양(1)을 이탈시킨 후 앞 ·뒤면을 뒤집어서 다시 결합하는 방법으로 차양의 앞 뒤면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도록 착용할 수가 있다.
도 14의 (A) (B) (C) (D) (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3)와, 차양(1)에 손잡이(3)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A)는 중앙에 슬로트가 형성된 손잡이(3)이며, 도 (B)는 차양(1)의 한쪽면에 손잡이(3)가 이탈되지 않으며 슬로트를 통하여 이동할수 있게 가이드 핀(21)을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도(C)는 손잡이(3)가 가이드 핀(21)에 삽입된 단면도이며, 차양(1)이 해어밴드(2)와 결합할 때는 손잡이(3)를 도 (D)와 같이 전진하고, 차양(1)이 분리되어 부채로 사용할때는 손잡이(3)를 도 (E)와 같이 후진하여서 밖으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의 차양(1)을 손잡이(3)가 부착된 부채로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도 3과 같이 차양(1)이 부채모양으로 되어 있어 손잡이(3)가 없어도 차양(1) 자체를 부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의 (A) (B)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헤어밴드(2)의 빗살돌기 (4)를 도시한 것으로, 도 (B)와 같이 중앙은 수직으로 양가에는 외부쪽으로 향하게 일정크기의 빗살돌기(4)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시에 해어밴드(2)가 머리의 앞뒤로 미끄러 지지않고 접촉부위의 머리 눌림을 방지하며 통풍도 되게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 회전식의 차양모자는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과 실시가 가능하다.
즉 해어밴드(2)와 차양(1)의 조립수단은 각기 다른 수많은 조립수단을 일일이 예시 할 수는 없지만, 본 고안에서 예시한 볼트(9)와 넛트(11), 똑딱단추(13), 힌지핀(6), 돌기(12), 억지끼움, 후크(17), 뚜껑(20), 핀(24)이나 걸고리(5)등을 응용하거나 형태와 방법을 다르게 할 수가 있을 것이며, 차양(1)과 해어밴드(2)사이에 톱니바퀴를 갖는 기어나 크리크를 설치하여 차양(1)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형태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머리의 흘러내림과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통상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하는 해어밴드(2)는 빗살돌기(4)가 없이 착용할수도 있을 것이며, 차양(1)의 앞·뒤면에 서로 다른 색상을 도포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용 차양(1)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차양(1)에 자외선 차단용 창구(26)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본 고안에서 예시한 것 이외에 수많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색상또한 선글라스와 같이 다양하게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할수 있게 탄성을 갖는 해어밴드(2)와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을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결합하면 차양 모자가 되고, 차양(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차양각도와 시야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하지 않을때는 분리하여서 차양(1)은 부채로 사용하고, 해어밴드(2)는 독립하여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머리띠 (25)및 해어밴드(2)로 착용하거나, 각각 가방이나 핸드백에 넣어 휴대할 수가 있으며, 해어밴드(2)에 빗살돌기(4)를 형성하여 차양(1)과 결합한 차양모자는 머리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착용할 수가 있어 해어밴드(2)의 탄성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뚜껑이 없는 차양모자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되며, 차양모자를 벗지 않고도 이마의 땀을 씻을 수 있고, 이마의 땀띠는 물론 해어밴드(2) 양단의 압박으로 인한 귀두부의 통증도 없게하며,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의 통풍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눌림과 머리가 흘러내리거나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면을 불투명하게 색상을 도포한 차양 (1)으로안면을 가린 상태에서 차양(1)의 일 부분에 밖을 투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 창구(26)를 형성하며, 서로 색상을 다르게 한 차양(1)의 앞면과 뒷면을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게 착용할 수가 있어 경기응원시 카드색션 및 단체응원의 강한 이미지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 할수 있게 탄성을 갖는 해어밴드(2);
    햇볕이나 자외선을 차단할수 있는 차양(1);
    상기 해어밴드(2)와 상기 차양(1)을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1)과 상기 해어밴드(2)가 조립수단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3.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볼트(9) 외측에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안으로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끼움 삽입한후, 상기 볼트(9)를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된 넛트(11)에 나사조임하여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4.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양면을 대칭되게 만든 똑딱단추(13)를 차양(1)의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의 앞·뒤면에 대칭되게 부착하여 해어밴드(2) 양측 외부에 부착된 똑딱단추(13)와 결합하여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5.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라운딩하게 앙단부에 걸림턱(10)을 형성한 힌지핀(6)에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끼움 삽입한후, 해어밴드(2)양측 외부에 부착된 수용홈(19)이 형성된 체결공(23)에 상기 힌지핀(6)을 억지끼움 삽입하여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6.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후크(17) 뒤쪽의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안으로 억지끼움 삽입하고, 상기 후크(17) 양측에 부착된 버튼(22)을 눌러 탄성체로 된 후크(17) 앞쪽의 화살촉 모양의 2개의 걸림턱(10)이 서로 밀착되게 하여 해어밴드(2) 양측외부에 부착된 체결공(23)에 삽입한 후, 버튼(22)을 놓으면 복원력에 의하여 2개의 걸림턱(10)이 서로 분리확장되며 체결공(23)의 걸림턱(10)에 걸려 체결되여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7.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개구부(7)가 있으며 탄성체로 된 걸고리(5)일측에 힌지핀(6)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힌지핀(6)의 외측에 라운딩하게 형성된 걸림턱(10)안으로 결합공(15)을 통하여 차양(1)을 억지끼움한후, 상기 걸고리(5)를 해어밴드(2) 양측 내부의 삽입부(8)에 개구부(7)로 끼움고정하여 차양(1)과 해어밴드(2)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8.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각각 색상을 다르게한 차양(1)의앞면과 뒷면을 뒤집어서 다시 결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부로 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9.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차양(1)의 한쪽면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한 가이드핀(21)안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하여, 중앙의 슬로트를 통하여 전 ·후진 할수있게 한 손잡이(3)를 부착한 차양(1)을 특징으로 한 차양모자.
  10.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불투명한 차양(1)의 일부분에 투시할 수 있는 창구(26)를 형성한 차양(1)을 특징으로한 차양모자.
KR2020020028760U 2002-08-29 2002-09-25 차양모자 KR2002994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5847 2002-08-29
KR2020020025847 200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11Y1 true KR200299411Y1 (ko) 2002-12-31

Family

ID=7307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60U KR200299411Y1 (ko) 2002-08-29 2002-09-25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4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99Y1 (ko) * 2011-03-16 2013-04-25 허봉락 탈부착 캡을 갖는 메모리폼 헬멧
KR200484579Y1 (ko) * 2016-07-12 2017-10-23 신동진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99Y1 (ko) * 2011-03-16 2013-04-25 허봉락 탈부착 캡을 갖는 메모리폼 헬멧
KR200484579Y1 (ko) * 2016-07-12 2017-10-23 신동진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3049A1 (en) Multi use head cover
KR200299411Y1 (ko) 차양모자
KR100555729B1 (ko) 보조차양을 갖는 차양모
US20130125291A1 (en) Baseball style cap with interchangeable bill or crown portion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US5704062A (en) Sun visor
KR200243049Y1 (ko)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110006039U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110001097U (ko) 기능성 썬 캡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KR100525131B1 (ko) 모자
KR100368950B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369583Y1 (ko) 모자
KR200287872Y1 (ko) 착탈식 모자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KR200287911Y1 (ko) 썬캡의 차양 탈부착 구조
KR100471305B1 (ko) 모자
JP3095596U (ja) 日除け帽子
KR10050365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187595Y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260777Y1 (ko) 모자
KR200231332Y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239209Y1 (ko) 이중챙을 갖는 차양모
KR200196254Y1 (ko)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