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252Y1 - 콘센트 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252Y1
KR200299252Y1 KR20-2002-0027711U KR20020027711U KR200299252Y1 KR 200299252 Y1 KR200299252 Y1 KR 200299252Y1 KR 20020027711 U KR20020027711 U KR 20020027711U KR 200299252 Y1 KR200299252 Y1 KR 20029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conduit
presen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이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영 filed Critical 이창영
Priority to KR20-2002-0027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1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는 상태로 플러그의 삽착을 허용하는 커버(20)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면에 플러그를 출입하기 위한 상면개구(22)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이판(26)이 형성되며, 후면에 콘센트(10)를 출입하고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후면판(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24)은 각각 상면과 저면에서 V형홈(24a)을 개재하여 굴신되도록 연장되고, 상호 맞물려 접하는 중간부분에 각각의 전선관(25)을 구비한다. 상기 후면판(24)의 전선관(25)에는 외주면으로 삽착되는 결착구(3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생산현장과 같이 열악한 사용환경에서도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생산차질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체의 제조를 매우 쉽게 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종래의 절반수준 이하로 제조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보호용 커버 {Cover for protecting electric outlet}
본 고안은 콘센트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산현장과 같이 열악한 사용환경에서도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생산차질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체의 제조를 매우 쉽게 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종래의 절반수준 이하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는 콘센트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센트는 옥외에서 옥내로 유도되는 전기배선의 말단에서 각종 전기기기, 장치에 연결도록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대체로 정격전압은 100 V, 220 V, 정격전류는 10~50 A 범위이고 사용형태에 따라 매입형/노출형이 있으며, 플러그의 삽입구 수에 따라 1~7구짜리가 통상 사용되고 있고 감전방지를 위한 접지 단자붙이가 있는 것 등 형태가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콘센트는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사무실, 산업체의 생산현장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안전한 전기용 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콘센트를 던져서 위치를 이동하거나 발로 밟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 자주 파손되는데,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소모품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적절한 보호가 필요되기도 한다. 그리고 파손된 콘센트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누전이나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신제품으로 교체하는 동안 작업에 차질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이처럼 콘센트의 취급에 있어 상기한 문제가 상존하기에 최근 들어서는 콘센트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고무제나 금속제로 커버체를 제작하여 콘센트를 삽설하기도 한다. 그런데 금속제로 된 콘센트 보호용 커버체의 경우에는 금속제로 되어 있어 내구성도 좋고 반영구적이기는 하지만 생산성이 낮아 제조원가가 높을 뿐 아니라 사용시 금속제 커버체를 자주 던지는 습관때문에 커버체가 찌그러지거나 으깨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어 커버체의 원형회복이 어렵고, 특히 찌그러진 커버체로 말미암아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커버체의 형체보호를 위해 고무제로 된 커버체가 제조되고 있으나 이 또한 제조원가가 높고, 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고무제로 된 커버체는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형이고 개방된 입구에서 내측으로 턱을 형성하여 콘센트의 이탈을 구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성형상 턱의 높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조금만 충격을 받아도 콘센트가 밖으로 이탈되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고무제로 된 커버체를 통째로 성형해야 하는데다가 상부의 개방 부분을 약간 안쪽으로 볼록하게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성형시 커버체의 배출이 힘들고 까다로워 제조원가가 높고, 생산성마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생산현장과 같이 열악한 사용환경에서도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생산차질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체의 제조를 매우 쉽게 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종래의 절반수준 이하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는 콘센트 보호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를 종단하여 성형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에 콘센트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사용전후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결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콘센트 15: 전선
20: 커버 22: 상면개구
24: 후면판 24a: V형홈
24b: 리브 25: 전선관
26: 걸이판 28: 전면개구
30: 결착캡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콘센트(1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는 상태로 플러그의 삽착을 허용하는 커버(20)에 있어서: 상면에 플러그를 출입하기위한 상면개구(22)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이판(26)이 형성되며, 후면에 콘센트(10)를 출입하고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후면판(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후면판(24)은 각각 상면과 저면에서 V형홈(24a)을 개재하여 굴신되도록 연장되고, 상호 맞물려 접하는 중간부분에 각각의 전선관(25)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후면판(24)의 전선관(25)에는 외주면으로 삽착되는 결착구(30)를 더 구비하되, 전선관(25)과 결착구(30)는 상호 요홈(25a)(30a) 상에서 긴밀하게 맞물린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콘센트(1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는 상태로 플러그의 삽착을 허용하는 커버(20)에 관련된다. 콘센트(10)는 후면의 전선(15)을 통하여 입력을 받고, 상면의 단자구(12)를 통하여 출력을 전달한다. 본 고안의 도시에서 좌측을 전면으로 하고 우측을 후면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커버(20)는 수지(주로 연질 PVC)를 사용하여 상자형태로 사출성형하는데, 이때 수지 대신 합성고무 또는 폐자재를 이용한 재활용 고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20)의 상면에 플러그를 출입하기 위한 상면개구(22)가 형성된다. 상면개구(22)는 콘센트(10)의 단자구(12) 보다 약간 직경을 크게 하여 플러그의 출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플러그를 자주 삽착하는 경우 특히 커버(20)의 상면에 인장과 전단하중이 작용하므로 다른 면에 비하여 상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20)의 전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이판(26)이 형성된다. 걸이판(26)은 생산현장의 특성상 콘센트(10)의 위치가 자주 가변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벽이나 기계장치의 프레임에 일시적으로 걸어 사용할 수 있다. 걸이판(26)은 전면에서 변의 중앙에 반원형태로 배치되고 중심부에 걸이용 못이나 철사가 통과되는 통공(26a)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20)의 후면에 콘센트(10)를 출입하고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후면판(24)이 형성된다. 후면판(24)은 본 고안의 기능상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서 상자형 커버(20)의 후면을 상하로 2분할하는 형태이다. 그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를 종단하여 성형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에 콘센트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후면판(24)은 각각 상면과 저면에서 V형홈(24a)을 개재하여 굴신되도록 연장된다. 도 2는 금형(도시 생략)상에서 성형되는 상태이며 상하의 후면판(24)이 각각 상면과 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해야 금형의 코어(core)가 이탈될 수 있다. 성형후 커버(20)를 이젝트할 때 상면개구(22)와 V형홈(24a)에서 걸리기는 하지만 연질의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분할금형을 사용하면 커버(20)의 이젝트가 더욱 용이하다. 커버(20)의 전면에서걸이판(26) 상측으로 이어지는 전면개구(28)는 코어를 지지하는 성형의 용도로 형성된다. V형홈(24a)은 너무 깊지 않도록 하며 하단에 예리하지 않도록 라운드를 둔다.
또, 상기 후면판(24)은 상호 맞물려 접하는 중간부분에 각각의 전선관(25)을 구비한다. 콘센트(10)를 커버(20)의 내부에 넣을 때 전선(15)이 후면판(24)의 전선관(25)으로 유도되어야 상하의 후면판(24)이 맞물려 닫힌다. 각각의 전선관(25)은 원통을 중심선 방향으로 절개한 형태이며 각각의 후면판(2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서 상하의 후면판(24)은 V형홈(24a)을 중심으로 부호 24'처럼 굴신되어 닫히는데, 이때 전선관(25)에서 접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을 형성하면 맞물려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
물론 후면판(24)의 맞물림을 위해 전선관(25) 대신 공지의 금속제 또는 경질 수지제 결착구(클립)를 인서트 성형할 수도 있고, 가장 저렴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전선관(25)의 외면을 철사나 끈으로 묶을 수도 있다.
한편, 후면판(24)의 내면에는 리브(24b)를 형성하고, 커버(20)의 저면에는 돌기(29)를 형성한다. 리브(24b)는 금형의 코어를 약간 변경하면 성형 가능하고 성형후 이젝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는 후면판(24)의 강도를 보강하는 용도로서 상하의 후면판(24)에서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돌기(29)는 저면의 4개소에 형성되며 던지거나 발로 밟고 사용할 때 일차적인 완충을 담당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사용전후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결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후면판(24)의 전선관(25)에는 외주면으로 삽착되는 결착구(3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처럼 콘센트(10)가 커버(20)에 수용되고 후면판(24)과 전선관(25)이 맞물려 닫힌 후 전선관(25)의 외면으로 결착구(30)를 눌러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전선관(25)의 외주면은 경사면이 아니더라도 결착구(30)의 내면은 약간의 구배를 두는 것이 좋다. 도 5에서, 결착구(30)는 커버(20)보다 경질의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데, 일단의 외주면에 환형턱(30b)을 형성하면 전선관(25)에 손으로 밀어 넣거나 빼기 편리하다.
이때, 전선관(25)과 결착구(30)는 상호 요홈(25a)(30a) 상에서 긴밀하게 맞물린다. 도 5처럼 전선관(25)의 요홈(25a)은 오목하게 하고 결착구(30)의 요홈(30a)은 볼록하게 하여 맞물리도록 한다. 결착구(30)가 삽착될 때 전선관(25)이 탄성변형되어 가압력을 유지하기는 하지만 사용과정에서 충격이 반복되면서 서서히 미끄럼 이탈이 발생한다. 반면 본 고안의 요홈(25a)(30a)을 두면 정지마찰 저항이 증가되어 긴밀한 결속이 유지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2구의 콘센트(1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3구, 4구, 5구, 7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단지 커버(20)의 길이와 상면개구(22)의 수만 증가될 뿐 후면판(24), 전선관(25), 걸이판(26) 등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생산현장과 같이 열악한 사용환경에서도 콘센트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생산차질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체의 제조를 매우 쉽게 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종래의 절반수준 이하로 제조 가능하며, 특히 제조하기가 매우 쉬워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콘센트(10)의 외면을 감싸 보호하는 상태로 플러그의 삽착을 허용하는 커버(20)에 있어서:
    상면에 플러그를 출입하기 위한 상면개구(22)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이판(26)이 형성되고,
    후면에 콘센트(10)를 출입하고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후면판(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용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4)은 각각 상면과 저면에서 V형홈(24a)을 개재하여 굴신되도록 연장되고, 상호 맞물려 접하는 중간부분에 각각의 전선관(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용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4)의 전선관(25)에는 외주면으로 삽착되는 결착구(30)를 더 구비하되, 전선관(25)과 결착구(30)는 상호 요홈(25a)(30a) 상에서 긴밀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보호용 커버.
KR20-2002-0027711U 2002-09-16 2002-09-16 콘센트 보호용 커버 KR20029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11U KR200299252Y1 (ko) 2002-09-16 2002-09-16 콘센트 보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11U KR200299252Y1 (ko) 2002-09-16 2002-09-16 콘센트 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252Y1 true KR200299252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11U KR200299252Y1 (ko) 2002-09-16 2002-09-16 콘센트 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2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14Y1 (ko) 2010-10-21 2011-01-18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101017955B1 (ko) * 2008-12-15 2011-03-02 김성숙 콘센트 커버
KR200459008Y1 (ko) 2011-04-13 2012-03-21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의 코드 인출구 가변구조
KR200483194Y1 (ko) * 2016-06-02 2017-04-19 최유리 콘센트용 안전커버
KR200490758Y1 (ko) *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55B1 (ko) * 2008-12-15 2011-03-02 김성숙 콘센트 커버
KR200451914Y1 (ko) 2010-10-21 2011-01-18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0459008Y1 (ko) 2011-04-13 2012-03-21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의 코드 인출구 가변구조
KR200483194Y1 (ko) * 2016-06-02 2017-04-19 최유리 콘센트용 안전커버
KR200490758Y1 (ko) *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753A (en) Electrical insulator and conductor cover
US20150083454A1 (en) Electrical outlet wall plate configured for cable retention
KR200299252Y1 (ko) 콘센트 보호용 커버
US2891102A (en) Electrical outlet protector
US6056564A (en) Safety receptacle structure
US2878456A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wall sockets
US4293733A (en) Safety cover for electrical outlets
GB2546750A (en) A cable splice closure
KR101509714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200451914Y1 (ko) 콘센트 보호커버
US5630726A (en) Locking electrical cord
KR200318213Y1 (ko) 배선용 덕트
US6739887B1 (en) Security device of power receptacle
KR200494515Y1 (ko) 부품 해제 도구
CN206003642U (zh) 一种用于电气自动化设备的脚踏开关
KR200451171Y1 (ko) 콘센트 보호 커버의 코드 인출 구조
KR102450984B1 (ko) 배선 덕트
US20080093098A1 (en) Electrical stringer outlet box
CN211351553U (zh) 整线装置
CN218386531U (zh) 配线槽组装工具
CN211970307U (zh) 一种锂电池保护套
TWM636415U (zh) 組裝配線槽工具
WO2017095629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rain relief assembly therefor
SE513886C2 (sv) Dragavlastningsanordning för elektriska kablar företrädesvis i en apparat- eller kopplingsdosa
KR1016359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