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56Y1 -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156Y1
KR200299156Y1 KR20-2002-0027528U KR20020027528U KR200299156Y1 KR 200299156 Y1 KR200299156 Y1 KR 200299156Y1 KR 20020027528 U KR20020027528 U KR 20020027528U KR 200299156 Y1 KR200299156 Y1 KR 200299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astening
support
support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이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수 filed Critical 이완수
Priority to KR20-2002-0027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영유아기의 어린이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는 라운드진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딩홈 사이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의 체결홈이 다단으로 형성된 받침판과,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함몰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슬라이딩홈에 대응되는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가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시트구조체와, 체결홈의 길이보다는 좁은 폭으로 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시트구조체의 하부 각 다리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하부측으로 받침판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와 유사한 폭으로 되어 후단부가 체결부재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체결부재와 나란히 시트구조체의 하부 각 다리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에는 조정손잡이가 형성되어 조정손잡이를 통해 체결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와, 체결부재와 조정부재의 연결부위와 시트구조체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시 체결부재와 조정부재의 연결부위를 시트구조체의 하면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Safety chair for young child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기의 어린이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의 시트 및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되어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압박하였던 바, 이를 감안하여 유아들의 몸에 맞는 사이즈로 안락한 시트부위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위의 외측에 안전벨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자동차의 시트에 얹어 유아들을 안락하게 앉히는 데에는 적당하나 그 형상 자체가 고정되어 있어 자동차용으로밖에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유아들은 자거나, 먹거나, 놀거나, 졸거나 하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세가 요구되는데 대해 일반적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제한적인 각도 조절만 가능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었고, 그 바닥 부위와 시트의 접촉면적이 작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아들의 경우 다리의 길이가 짧으므로 다리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발판이 필요한데, 발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발판이 있더라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안전의자의 각도조절에 따라 달라지는 유아들의 몸상태에 맞게 발판으로 유아들의 다리부위를 받쳐주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야기하게 됨은 물론 성장기에 있는 유아들을 바른 자세로 성장시켜주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통상의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경우 2점식 또는 3점식의 안전벨트를 통해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급출발, 급제동, 충돌, 추돌 등에 의해 유아 안전의자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고 심지어는 시트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유아 안전의자를 보다 강하게 홀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에 얹혀지는 받침판부위와 받침판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시트부위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용 안전의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시트부위만 별도로 흔들의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하고, 시트부위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며, 받침판을 통해 시트부위와 넓은 면적으로접촉되게 하여 안정성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시트부위의 하부 전면측에 발판을 마련하여 시트의 각도에 따라 발판이 같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키가 작은 유아들이 어떠한 자세이건 발판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어 유아들의 피로감을 해소하고, 균형잡힌 체형으로 성장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견지로는, 받침판의 하부에 받침판고정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받침판고정구가 시트와 시트백의 사이, 차체의 바닥에 각각 고정되게 하여 어떠한 외력에 대해서도 유아 안전의자의 위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각도 조절부위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받침판고정구 상세도로서,
(a)는 받침판고정구 사시도.
(b)는 받침판고정구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받침판이 시트에 얹혀질 때의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시트구조체와 받침판이 결합된 상태.
(b)는 체결부재와 받침판의 체결관계가 해제된 상태.
(c)는 각도 조정후 시트구조체와 받침판이 결합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구조체 11 : 좌판부 12 : 등받이부
13 : 다리 14 : 고정홀 20 : 받침판
21 : 슬라이딩홈 22 : 체결홈 23 : 지지홈
24 : 지지대수납홈 30 : 체결부재 31 : 체결돌기
32,42 : 브라켓 40 : 조정부재 41 : 조정손잡이
50 : 탄성부재 60 : 홀더 61 : 가이드홈
70 : 발판구조체 71 : 발판 72 : 가이드부
773 : 파지홈 80 : 받침판고정구 81 : 고정대
82 : 연결대 83 : 지지대 84 : 끼움부재
85 : 받침부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가 "Y"자 형으로 각각 연결되어 자동차의 안전벨트(미도시)에 의해 시트(S)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있어서, 상부 양측에는 라운드진 슬라이딩홈(21)이 각각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홈(21) 사이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의 체결홈(22)이 다단으로 형성된 받침판(20)과, 좌판부(11)와 등받이부(12)가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함몰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슬라이딩홈(21)에 대응되는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13)가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시트구조체(10)와, 체결홈(22)의 길이보다는 좁은 폭으로 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시트구조체(10)의 하부 각 다리(13)의 사이에서시트구조체(10) 저면에 고정된 브라켓(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하부측으로 받침판(20)의 체결홈(22)에 끼워지는 체결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30)와, 체결부재(30)와 유사한 폭으로 되어 후단부가 체결부재(30)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체결부재(30)와 나란히 시트구조체(10)의 하부 각 다리(13)의 사이에서 시트구조체(10)의 저면에 고정된 또 다른 브라켓(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에는 조정손잡이(41)가 형성되어 이 조정손잡이(41)를 통해 체결부재(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40)와, 체결부재(30)와 조정부재(40)의 연결부위와 시트구조체(1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시 체결부재(30)와 조정부재(40)의 연결부위를 시트구조체(10)의 하면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50)로 구성된다.
또한, 조정부재(4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라켓(42)이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홈(61)을 갖는 홀더(60)가 설치되고, 전면은 넓은 면적으로 발판(71)을 이루며 발판(71)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가이드부(72)가 연장 형성된 발판구조체(70)가 그 가이드부(72)를 통해 홀더(60)의 가이드홈(6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발판(71)의 중앙부에는 조정손잡이(4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홈(73)이 형성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판구조체(70)의 가이드부(72)가 홀더(60)의 가이드홈(61)에 3단 정도로 걸리고 외측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하는 조정홈 및 스토퍼가 가이드홈(61)과 가이드부(72)의 접촉부위에 구비된다.
또한, 받침판(20)의 하면 양측에는 전후가 통하도록 각각 지지홈(23)을 형성하고, 지지홈(23)에는 받침판고정구(80)를 고정하여 유아 안전의자를 차체에 고정되게 하되, 받침판고정구(80)는 각 지지홈(23)에 끼워져 고정되는 2개의 고정대(81)와, 각 고정대(81)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대(82)와, 연결대(82)의 중간에 2중관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83)와, 각 고정대(81)의 후단에 형성되어 시트(S)와 시트백(B)의 사이공간에 끼워지는 원추형의 끼움부재(84)와, 지지대(83)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상하조정가능하게 위치되어 차체의 바닥을 받쳐주는 받침부재(85)로 구성하게 되며, 받침판(20)의 하면 중앙부에는 지지홈(23)과 평행하게 전후가 통하도록 지지대수납홈(24)을 형성하여 지지대(83)를 사용하지 않을 시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시트구조체(10)의 각 다리(13)는 타부위보다 후미에서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시트구조체(10)를 받침판(20)에 끼울 때에는 후미측으로부터 끼우게 되고, 받침판(20)의 하면은 자동차의 시트(S)와 넓은 면적에서 밀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좁아지게 돌출 형성되며, 받침판(20), 시트구조체(10) 등의 부재는 기본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철재를 이용하여 프레스방법으로 성형할 수도 있고, 철판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합성수지재로 인서트 사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4는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켜 유아 안전의자를 자동차의 시트(S)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는 자동차용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시트구조체(10)를 별도로 떼어내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자동차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시트구조체(10)와 받침판(20)을 조립한 상태로 자동차의 시트(S)에 얹어 놓고,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풀어 고정홀(14)을 통과시켜 타이트하게 조여주면 자동차의 시트(S)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받침판(20)은 일반적인 유아 안전의자의 바닥부위보다는 넓은 면적을 가지며, 그 하면이 테두리부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좁아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 자동차의 시트(S)와 넓은 면적에서 밀착될 수 있으므로 시트구조체(10)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유아들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자거나, 먹거나, 놀거나, 졸거나 하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세가 요구되며, 이럴 경우에는 시트구조체(10)의 다리(13)를 받침판(20)의 슬라이딩홈(21)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간단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조정손잡이(41)를 상방향으로 당겨주면 조정부재(40)가 중간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력이 체결부재(30)에 전달되어 이 역시 그 중간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체결돌기(31)가 받침판(20)의 체결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체결부재(30)가 받침판(20)으로부터 자유상태가 된다.
체결부재(30)가 받침판(20)으로부터 자유상태가 되면 받침판(20)은 그대로 둔 채 시트구조체(10)를 밀거나 당겨주게 되며, 그러면 시트구조체(10)의 다리(13)가 받침판(20)의 슬라이딩홈(21)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유아의 상태에 따라 시트구조체(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시트구조체(10)를 원하는 각도로 대략 조정한 후에는 조정손잡이(41)에 가해졌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고, 조정손잡이(41)의 압력이 해제되면 조정부재(40)와 체결부재(30)의 연결부위와 시트구조체(1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0), 즉 인장스프링이 조정부재(40)와 체결부재(30)의 연결부위를 시트구도체(10)의 하면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며, 그러면 체결부재(30)가 다시 그 중간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단부의 체결돌기(31)가 받침판(20)의 체결홈(22)에 걸릴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시트구조체(10)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미세조정하게 되면 체결부재(30) 후단부의 체결돌기(31)가 받침판(20)의 체결홈(2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시트구조체(10)의 각도조정이 완료된다.
또한, 조정부재(40)의 하부측에 위치된 홀더(60)에는 발판구조체(70)가 삽탈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유아를 시트구조체(10)에 앉힐 경우에는 발판구조체(70)를 홀더(60)로부터 빼내어 유아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다리쳐짐을 방지하여 피로감을 해소하고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시트구조체(10)의 각도조정에 따라 이러한 발판구조체(70)이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유아가 어떠한 자세를 갖든 발판구조체(70)는 항상 유아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곳에 위치되어 사용이 편리해짐은 자명하다.
여기서, 발판구조체(70)가 홀더(60)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트구조체(10)의 각도를 조정할 때에는 조정손잡이(41)와 발판구조체(70) 사이의 간격이 좁아 손을 넣기 곤란해지게 되지만 발판구조체(70)의 발판(71) 중앙부에는 파지홈(73)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조정손잡이(41)를 원활히 파지할 수 있게 되어발판구조체(70)의 위치에 상관없이 시트구조체(10)의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경우 통상은 자동차의 2점식 또는 3점식의 안전벨트를 통해 자동차의 시트(S)에 고정하게 되며, 이와 같이 구성하였을 경우 자동차의 급출발, 급제동, 충돌, 추돌 등에 의해 유아 안전의자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고 심지어는 시트(S)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유아 안전의자를 보다 강하게 홀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였던 바,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받침판(20)의 하면 양측에 각각 지지홈(23)을 형성하고, 여기에 받침판고정구(80)의 고정대(81)를 고정하여 유아 안전의자 전체를 지지해주도록 하고, 고정대(81) 후미에 형성된 원추형의 끼움부재가 시트(S)와 시트백(B)의 사이공간에 끼워지게 하여 후위를 지지하고, 고정대(81)의 전방 지지대(83)의 하부에 상하조정가능한 받침부재(85)를 두어 유아 안전의자 전체를 차체에 받쳐주게 한 것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아 안전의자의 상단부에 띠를 연결하여 시트(S)의 뒤쪽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자동차가 아무리 흔들려도 유아용 안전의자가 그 받침판고정구(80)에 의해 원활히 고정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급제동 또는 충돌시 관성에 의해 유아용 의자가 전방으로 쏠릴 때 유아 안전의자에 연결된 띠와 받침판(20)을 받쳐주는 지지대(83)에 의해 과도한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유아 안전의자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고정구(80)를 구비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지지대(83)를 후방으로 접어 받침판(20) 중앙에 형성된 지지대수납홈(24)에 수납한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시트구조체(10)는 그 하부에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13)가 양쪽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구조체(10)를 평평한 바닥에 올려놓으면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13)가 시소 역할을 할 수 있어 자동차용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유아용 흔들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를 시트구조체와 받침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시트구조체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받침판이 자동차의 시트에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접촉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트구조체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시트구조체의 각도를 조정하는 수단이 단순구조로 되어 이를 구성하기 위한 작업이 수월하고 지지력이 향상되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발판이 시트구조체측에 형성되어 있어 유아가 어떠한 자세를 갖든 항상 유아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곳에 발판이 위치될 수 있어 유아의 피로감을 해소하고 올바른 자세로 성장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으며, 시트구조체의 하부에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가 양쪽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 시트구조체만 별도로 일상에서 유아용 흔들의자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안전벨트가 "Y"자 형으로 각각 연결되어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의해 시트(S)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에 있어서,
    상부 양측에는 라운드진 슬라이딩홈(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 사이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의 체결홈(22)이 다단으로 형성된 받침판(20);
    좌판부(11)와 등받이부(12)가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함몰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21)에 대응되는 라운드진 스키형상의 다리(13)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시트구조체(10);
    상기 체결홈(22)의 길이보다는 좁은 폭으로 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상기 시트구조체(10)의 하부 각 다리(13)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하부측으로 상기 받침판(20)의 체결홈(22)에 끼워지는 체결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30);
    상기 체결부재(30)와 유사한 폭으로 되어 후단부가 상기 체결부재(30)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중간부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위가 상기 체결부재(30)와 나란히 상기 시트구조체(10)의 하부 각 다리(13)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에는 조정손잡이(41)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손잡이(41)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40); 및
    상기 체결부재(30)와 상기 조정부재(40)의 연결부위와 상기 시트구조체(1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시 상기 체결부재(30)와 상기 조정부재(40)의 연결부위를 상기 시트구조체(10)의 하면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40)를 고정하는 브라켓(42)이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여기에 가이드홈(61)을 갖는 홀더(60)가 설치되고, 전면은 넓은 면적으로 발판(71)을 이루며 상기 발판(71)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정부재(40)의 조정손잡이(41)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홈(73)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71)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가이드부(72)가 연장 형성된 발판구조체(70)가 그 가이드부(72)를 통해 상기 홀더(60)의 가이드홈(6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의 하면은 자동차의 시트(S)와 밀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좁아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의 하면 양측에는 각각 전후가 통하도록 지지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홈(23)에는 받침판고정구(80)를 고정하여 상기 유아 안전의자를 차체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받침판고정구(80)는 상기 각 지지홈(23)에 끼워져 고정되는 2개의 고정대(81)와, 상기 각 고정대(81)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대(82)와, 상기 연결대(82)의 중간에 2중관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대(83)와, 상기 각 고정대(81)의 후단에 형성되어 시트(S)와 시트백(B)의 사이공간에 끼워지는 원추형의 끼움부재(84)와, 상기 지지대(83)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상하조정가능하게 위치되어 차체의 바닥을 받쳐주는 받침부재(85)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83)를 수납할 수 있게 상기 받침판(20)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홈(23)과 평행하게 전후가 통하도록 지지대수납홈(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안전의자.
KR20-2002-0027528U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KR200299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28U KR200299156Y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28U KR200299156Y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156Y1 true KR200299156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28U KR200299156Y1 (ko) 2002-09-13 2002-09-13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1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153B1 (en) Child's travel center
US5277472A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US5507550A (en) Highchair
KR101328828B1 (ko) 어린이 안전시트용 머리받침, 및 어린이용 안전시트
JPH042599Y2 (ko)
US20180098641A1 (en) Convertible rocker
US20030197408A1 (en) Reclining child seat
EP2615946B1 (en) Adjustable booster seat
JP2005313888A (ja) リボードシステム
US6089654A (en) Modular furniture for children
US6676212B1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JPH06227300A (ja) 子供が大人用の乗物シートベルトを使用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安全装置
US20120032477A1 (en) Character form child seat
US7992882B2 (en) Wagon-car seat adapter
KR200299156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US20110057484A1 (en) Ride-on children's toy
JP2006068498A (ja) 幼児用椅子
JP4879169B2 (ja) 乳児/幼児支持体
CN215922300U (zh) 背靠角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JP6770794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
KR200326757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각도조정장치
US3279848A (en) Child's car seat
US11684177B2 (en) Convertible children's seat
KR19990064763A (ko)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KR200232515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