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781Y1 - 의복용 단추 - Google Patents

의복용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781Y1
KR200298781Y1 KR2020020028735U KR20020028735U KR200298781Y1 KR 200298781 Y1 KR200298781 Y1 KR 200298781Y1 KR 2020020028735 U KR2020020028735 U KR 2020020028735U KR 20020028735 U KR20020028735 U KR 20020028735U KR 200298781 Y1 KR200298781 Y1 KR 200298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ner space
pin member
button body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우
Original Assignee
박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우 filed Critical 박장우
Priority to KR2020020028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781Y1/ko
Priority to PCT/KR2003/001901 priority patent/WO2004028286A1/en
Priority to AU2003264956A priority patent/AU2003264956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0Screw-button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추에 유동가능한 핀부재가 구비되어 옷자락에 관통시키고 안쪽에서 체결자로 고정토록 되어 의복에의 착탈이 용이하여 단추달기에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켜 주고, 세탁시에는 단추를 떼어놓도록 하여 단추 및 옷감의 손상이 방지되며, 아울러 단추가 떨어질 염려가 없고, 의복에 당김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럽고 편안한 복장이 되도록 하는 한편, 여분의 단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한 여분의 단추를 실이나 바늘 같은 도구 필요없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용 단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추는 옷에 달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실과 바늘이 수반되어야 함으로 단추달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착용 중 망실될 염려가 있으며, 탈착이 자유롭지 못함으로 세탁시 코팅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고 옷자락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단추의 얼굴이 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부재 걸림부의 유동결합을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단추 본체와; 상기 단추 본체에 구비된 내부공간에 거치되어 유동이 자유롭기 위한 구형 걸림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외연에 나사가 형성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연에 널링 돌기가 형성된 체결자와; 상기 단추 본체와 체결자 사이의 핀부재에 결합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복용 단추{A BUTTON FOR CLOTHES}
본 고안은 단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추에 유동가능한 핀부재가 구비되어 옷자락에 관통시키고 안쪽에서 체결자로 고정토록 되어 의복에의 착탈이 용이하여 단추달기에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켜주고, 세탁시에는 단추를 떼어놓도록 하여 단추 및 옷감의 손상이 방지되며, 아울러 단추가 떨어질 염려가 없고, 의복에 당김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럽고 편안한 복장이 되도록 하는 한편, 여분의 단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한 여분의 단추를 실이나 바늘 같은 도구 필요없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용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의복의 일측 자락에 취부되어 다른 측 자락에 대응하여 형성된 단추구멍에 꿰어서 좌우 옷자락을 채워 고정시키거나 장식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통상 단추의 취부 고정은 바늘과 실을 이용하여 되는데 단추를 고정한 실이 손상될 경우 단추가 망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추를 잃어버릴 경우 같은 디자인의 단추를 구하기가 어렵고, 특히 외출상태에서 단추가 떨어지면 옷핀 등을 이용하여 어렵게 임시조치를 취하기도 하지만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추는 돌출 취부됨으로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시 특히 금속재 단추의 경우에는 코팅이 벗겨지고 녹이 발생되며 옷자락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의 단추는 옷에 달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실과 바늘이 수반되어야 함으로 단추달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착용 중 망실될 염려가 있으며, 탈착이 자유롭지 못함으로 세탁시 코팅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고 옷자락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추에 유동가능한 핀부재가 구비되어 옷자락에 관통시키고 안쪽에서 체결자로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복에의 착탈이 용이하여 단추달기에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켜 주는 한편, 세탁시에는 단추를 떼어 놓고 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으로 인한 단추 및 옷감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단추가 떨어질 염려가 없음으로 특히 외출시 단추 망실로 인한 어려움을 당할 염려가 없으며, 옷에 당김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럽고 편안한 복장이 되도록 하는 한편, 여분의 단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한 여분의 단추를 실이나 바늘 같은 도구 필요없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용 단추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핀부재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a도는 일부 단면도
b도는 a도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의복용 단추 100: 단추 본체
101: 내부 공간 102: 핀공
110: 전면부재 120: 단턱부재
200: 핀부재 210: 구형 걸림부
230: 돌조 300: 체결자
310: 나사 320: 널링 돌기
300: 스페이서 350: 십자홈
410: 나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단추는,
단추의 얼굴이 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부재 걸림부의 유동결합을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단추 본체와;
상기 단추 본체에 구비된 내부공간에 거치되어 유동이 자유롭기 위한 구형 걸림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외연에 나사가 형성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연에 널링 돌기가 형성된 체결자와;
상기 단추 본체와 체결자 사이의 핀부재에 결합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전면부를 형성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후방에 결합체결되어 단턱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외연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내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내연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결합부가 구비된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숫나사가 외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를 돌출형성하고, 전방에서 단턱부로 통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핀부재의 구형 걸림부가 거치 조립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전방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핀공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핀부재의 구형 걸림부가 거치 조립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핀부재의 걸림부는 반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에 힌지 결합부를 구비되고,
상기 핀부재의 걸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돌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자는 캡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추 본체와 핀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는 볼록 걸림부가 구성되고,
상기 체결자는 상기 볼록 걸림부에 체결되기 위한 십자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의복용 단추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의복용 단추(1)는 단추의 얼굴이 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부재 걸림부(210)와의 유동결합을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단추 본체(100)와, 상기 단추 본체(100)에 구비된 내부공간에 거치되어 유동이 자유롭기 위한 구형 걸림부(210)가 일측에 구비되고 외연에 나사(220)가 형성된 핀부재(200)와, 상기 핀부재(200)에 체결되기위한 암나사(310)가 형성되고 외연에 널링 돌기(320)가 형성된 체결자(300)와, 상기 단추 본체(100)와 체결자(300) 사이의 핀부재(200)에는 스페이서(400)가 결합 구비된다.
상기 단추 본체(100)는 전면부를 형성하며 내부공간(111)이 구비되는 전면부재(110)와, 상기 전면부재(110)의 후방에 결합체결되어 단턱을 형성하며 내부공간(12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121)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122)이 형성된 단턱부재(1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공(122)은 상기 핀부재의 구형걸림부(210)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추 본체(100)는 후방으로 외연에 나사(115)가 형성된 돌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3)에 내부 공간(111)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전면부재(110)와, 상기 전면부재(110)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암나사(125)가 내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12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121)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122)이 형성된 단턱부재(120)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a)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a)는 도 3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내연에 나사(116)가 형성된 돌출결합부(113)가 구비된 전면부재(110)와, 상기 전면부재(110)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숫나사(126)가 외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12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121)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122)이 형성된 단턱부재(120)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추 본체(100a)는 도 3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자(110)에 돌출결합부(113)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b)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핀공(102)이 형성된 단턱부(130)를 돌출형성하고, 전방에서 단턱부(130)로 통하는 내부공간(101)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01)에 핀부재(200)의 구형 걸림부(210)가 거치 조립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c)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c)는 도 5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40)에 전방이 개방되는 내부공간(101)이 구비되며 일측에 핀공(102)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01)에 핀부재의 구형 걸림부(210)가 거치 조립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추 본체(100c)는 도 5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1)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에도 돌출부(141)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핀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가 반구형 걸림부(211)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 본체(100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힌지 결합부(150)을 구비되고, 상기 핀부재(200)의 걸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150)에 결합되기 위한 돌조(230)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체결자(300)는 후방이 반구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자(300)는 캡너트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페이서(400)는 내주면에 나사(410)가 형성된다.
도 8의 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1a)의 구성도이며, b도는 a도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추(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추 본체(100)와 핀부재(200)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핀부재(200)의 단부에는 볼록 걸림부(250)가 구성되고, 상기 체결자(300)는 상기 볼록 걸림부(250)에 체결되기 위한 십자홈(3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와 핀부재가 일체로 구성된 단추(1a)는 주로 얇은 옷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는 단추가 취부되는 옷자락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단추(1)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본 고안은 단추 본체(100)에 유동 가능토록 조립 구비된 핀부재(200)를 옷자락(2)에 관통시켜 체결자(300)로 고정토록 되어 단추가 떨어져 망실될 염려가 없고, 의복에의 탈착이 간편 용이한 것이다.
제복이나 외투와 같이 두께를 갖는 의복에 취부되는 단추는 여며지는 다른 자락의 옷자락이 채워질 수 있도록 단추 본체와 체결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구비되어야 하고 단추의 회전 유동이 자유로워야 의복에 당김 등이 발생되지 않고 단추채움이 자연스럽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핀부재(200)는 구형 걸림부(210)가 소정 범위 내에서 단추 본체(100)의 유동이 자유롭도록하며, 핀부재(200) 상에 결합되는 스페이서(400)를 구비함으로써 단추 본체(100)와 체결자(300) 사이에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단추를 채울 때 의복의 다른 자락이 채워지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 동작에 따른 단추의 움직임이 유연하여 단추 채움이 편안하게 이루어지고 의복에 당김 또는 구겨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단추 본체(100)에 결합된 상기 핀부재(200)에 스페이서(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자(300)의 체결 및 분리에 의하여 간단히 의복에의 탈착이 이루어짐으로 언제, 어느 장소에서도 단추달기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추의 착탈이 간편하므로 세탁시에는 단추를 떼어 놓고 하여 세탁으로 인한 단추의 손상 및 옷감 손상을 방지토록 하여 늘 새것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와 같이, 본 고안은 단추에 유동가능한 핀부재(200)가 구비되어 옷자락(2)에 관통시키고 안쪽에서 체결자(300)로 고정하여 착용토록 구성됨으로써 의복에의 착탈이 간편 용이하여 단추달기에 시간과 인력이 절감되며, 세탁시에는 떼어 놓고 세탁하도록 하여 세탁으로 인한 단추 및 옷감의 손상이 방지된다.
아울러, 단추가 떨어질 염려가 없음으로 특히 외출시 단추 망실로 인한 어려움을 당할 염려가 없고, 의복에 착용시 의복에 당김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아자연스럽고 편안한 복장이 되도록 한다.
또한, 여분의 단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한 여분의 단추를 실이나 바늘 같은 도구 필요없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복용 단추는,
단추에 유동가능한 핀부재가 구비되어 옷자락에 관통시키고 안쪽에서 체결자로 고정하여 착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복에의 착탈이 용이하여 단추달기에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키켜 주는 한편, 세탁시에는 단추를 떼어놓도록 하여 세탁으로 인한 단추 및 옷감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단추가 떨어질 염려가 없음으로 특히 외출시 단추 망실로 인한 어려움을 당할 염려가 없으며, 의복에 착용시 옷에 당김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스럽고 편안한 복장이 되도록 하는 한편, 여분의 단추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한 여분의 단추를 실이나 바늘 같은 도구 필요없이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등 여러면으로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10)

  1. 단추의 얼굴이 되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부재 걸림부의 유동결합을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단추 본체와;
    상기 단추 본체에 구비된 내부공간에 거치되어 유동이 자유롭기 위한 구형 걸림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외연에 나사가 형성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에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연에 널링 돌기가 형성된 체결자와;
    상기 단추 본체와 체결자 사이의 핀부재에 결합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전면부를 형성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후방에 결합체결되어 단턱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외연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내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내연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결합부가 구비된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결합부에 나합되기 위한 숫나사가 외연에 구비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측에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의복용 단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으로 핀공이 형성된 단턱부를 돌출형성하고, 전방에서 단턱부로 통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핀부재의 구형 걸림부가 거치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전방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전방이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에 핀공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핀부재의 구형 걸림부가 거치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의 걸림부는 반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는 후방에 힌지 결합부를 구비되고,
    상기 핀부재의 걸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돌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자는 캡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본체와 핀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는 볼록 걸림부가 구성되고,
    상기 체결자는 상기 볼록 걸림부에 체결되기 위한 십자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
KR2020020028735U 2002-09-25 2002-09-25 의복용 단추 KR200298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35U KR200298781Y1 (ko) 2002-09-25 2002-09-25 의복용 단추
PCT/KR2003/001901 WO2004028286A1 (en) 2002-09-25 2003-09-18 Button for garment
AU2003264956A AU2003264956A1 (en) 2002-09-25 2003-09-18 Button for gar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35U KR200298781Y1 (ko) 2002-09-25 2002-09-25 의복용 단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81A Division KR20040027472A (ko) 2003-11-03 2003-11-03 의복용 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781Y1 true KR200298781Y1 (ko) 2002-12-26

Family

ID=320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35U KR200298781Y1 (ko) 2002-09-25 2002-09-25 의복용 단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8781Y1 (ko)
AU (1) AU2003264956A1 (ko)
WO (1) WO20040282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307A (en) * 1974-10-16 1976-05-25 Hidenosuke Ishizaki Button assembly with rotatable and pivotable button
DE3931804A1 (de) * 1989-09-23 1991-04-04 Raymond A Kg Plastikknopf
US5426828A (en) * 1992-10-13 1995-06-27 Kusano; Yukio Separable button assembly for removable connection to a cloth article or the like
JPH08187110A (ja) * 1995-01-11 1996-07-23 Yukiko Isozaki スティックボタ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8286A1 (en) 2004-04-08
AU2003264956A1 (en) 200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78348U (zh) 成對穿戴物
US4715068A (en) Garment and liner combination
KR200298781Y1 (ko) 의복용 단추
KR20040027472A (ko) 의복용 단추
KR101723208B1 (ko) 의류 장신구
KR20110006340U (ko) 결합식 단추
KR200164345Y1 (ko) 피복용 단추
KR200438608Y1 (ko) 후드형 의류
CN217826803U (zh) 一种便于穿着的长袖衬衫
JP3719564B2 (ja) 防塵上衣
CN219699086U (zh) 一种假两件外套
KR100661926B1 (ko) 와이셔츠용 넥 파스너
CN216601784U (zh) 一种酒店工作制服
JP3224606U (ja) 着用衣服の釦掛け容易具。
CN220631168U (zh) 毛领和衣服
CN217364707U (zh) 一种具有内置肩襻功能的制式衬衣
CN208850684U (zh) 一种全棉免烫衬衫
JP3039313U (ja) 衣 服
KR200419838Y1 (ko) 장식용 메탈 원단의 탈,부착구
KR200193758Y1 (ko) 핸드백을 부착할 수 있는 바지 및 그 핸드백
JPH10273805A (ja) 衣 服
CN216019136U (zh) 一种可拆洗式衬衫
JPH088650Y2 (ja) テープ付き合成樹脂着脱具
CN217337448U (zh) 一种防顶破加厚高耐磨短袜
ITTO20040137U1 (it) Indumento multifunzione perfezion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