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414Y1 -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414Y1
KR200298414Y1 KR2020020029550U KR20020029550U KR200298414Y1 KR 200298414 Y1 KR200298414 Y1 KR 200298414Y1 KR 2020020029550 U KR2020020029550 U KR 2020020029550U KR 20020029550 U KR20020029550 U KR 20020029550U KR 200298414 Y1 KR200298414 Y1 KR 200298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hole
chair
seat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김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철 filed Critical 김태철
Priority to KR2020020029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41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좌판의 높이 및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판 하단에 구성된 한 개의 작동레버에 의해 모든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받침대의 고정축관 상에 승강축봉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승강축봉상에 고정체와 고정판 및 좌판이 조립 구성되게 하되, 고정체(200)의 수장실(220) 내에 작동구(230)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작동구(230)는 고정체(200) 일측에 연결된 작동레버(240)와 연결되게 하고,상기 작동레버(240)의 조작에 의해 작동구(230)가 좌우 이동하거나 하향으로 눌려지게 하므로서 좌판(110)의 높이 및 경사각 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Adjusting device of a seat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판의 높이 조정과 각도조정이 한 개의 작동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의자는 종류에 따라 좌판의 높이만 조정되는 의자가 있고, 상기 의자보다 조금 더 고급의자인 경우에는 좌판의 높이조정과 각도조정이 가능케 구성된 의자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좌판의 높이 조정 기능만 있는 의자의 경우에는 좌판하단에 높낮이 조정을 위한 한 개의 작동레버가 장치되어 있다.
그러나 높이조정과 각도조정의 두가지 기능이 가능한 의장의 경우에는 높이 조정용 작동레버와 각도조정용 작동레버가 좌우 2개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그에 맞는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높이를 조정하거나 각도를 조정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높이 조정기능과 각도 조정기능을 겸한 의자인 경우에는 의자 좌판 아랫쪽에 두가지 기능의 장치를 별도로 하여야 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작동레버 역시 좌우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계로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될뿐 아니라, 조작이 번거로운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좌판의 높이 조정과 경사각도 조정이 가능케 한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 개의 작동레버로 조정 가능케 구성하므로서 구성을 간단히 하고, 그에 따른 제작경비를 줄임과 동시에 조작을 단순화 하여 좌판의 높이 및 경사각도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좌판의 높이 및 경사각 조정이 가능케 한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축봉상에 고정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체 상에 좌판을 체결 고정하는 고정판을 축핀으로 체결 고정하여 일정각도 전후 회전 조정 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하향 돌출된 걸림턱과 절개공이 뚫려 있고, 고정판을 지지하는 고정체의 내면 수장실에는 작동구를 끼운 다음 고정체 일측에서 관통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연결되게 하되, 작동레버의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작동구가 고정체의 수장실 내에서 좌우로 일정 거리 이동되게 하고, 상기 작동구의 좌우 이동에 의해 작동구의 눌름편에 끼워진 걸림돌봉이 고정판의 걸림턱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하거나, 눌름편 및 걸림돌봉이 고정판의 절개공 직하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게 하여 좌판의 회전각도 조정이 가능케 하고, 상기 작동구는 작동레버를 윗쪽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작동구에 구성된 눌름편이 승강되게 하고, 상기 눌름편의 승강작동에 의해 고정구의 축공에 끼워진 승강축봉의 작동핀이 눌러지게 하므로서 승강축봉이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의자의 정면 구성도.
도 2 : 본 고안 의자의 측면 구성도.
도 3 : 본 고안 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 장치의 요부 사시도로서, 고정체에 작동구가 끼워진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작동구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6 : 도 4의 평면 구성도.
도 7 : 도 5의 평면 구성도.
도 8 : 본 고안의 작동구와 고정판의 작동상태도로서, 작동구의 걸림돌봉이 고정판의 돌부상에 위치한 상태도. (좌판이 고정된 상태)
도 9 : 도 9의 상태에서 작동구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눌름편이 절개공 아래에 위치한 상태도.(좌판이 뒷쪽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
도 10 : 본 고안의 고정체와 고정판 및 작동구의 조립 상태도로서 작동구가 외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도.
도 11 : 도 10의 상태에서 작동구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도.
도 12 : 본 고안 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13 : 본 고안 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작동구의 눌름편이 절개공 직하방에 위치한 상태도.
도 14 : 본 고안 장치의 요부 측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의자 (110)--좌판
(120)--승강축봉 (121)--유압작동핀
(130)--받침대 (140)--고정축관
(200)--고정체 (210)--축공
(220)--수장실 (221)--측벽
(222)--안내면 (223)--걸림턱
(224)--안내편 (225)--체결공
(226)--지지공 (227)--받침부
(230)--작동구 (231)--관체
(233)--안내편 (234)--눌름편
(235)--관통공 (236)--지지편
(237)--체결공 (238)--걸림돌봉
(240)--작동레버 (241)--축봉
(242)--핀공 (243)--고정핀
(244)--손잡이 (300)--고정판
(310)--축핀 (320)--절개공
(330)--연결편 (331)--관통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가 조립된 의자(100)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주요장치는 의자(100)의 좌판(110)과 승강축봉(120)을 연결하는 고정체(200)와 고정판(300)에 구성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대(130)에 구성된 고정축관(140) 상에 승강축봉(120)을 결합하고, 상기 승강축봉(120) 상에 고정체(200)를 체결 고정한다.
상기 고정체(200)와 승강축봉(120)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조립되는 의자의 조립구성과 동일하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체(200)에 구성된 축공(210)에 승강축봉(120)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하므로서 승강축봉(120) 상에 구성된 유압작동핀(121)이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체(200) 윗쪽으로 돌출 구성되게 한다.
상기 고정체(200)는 내면에 수장실(220)을 구성하므로서 양측에 측벽(221)이 구성되게 하고, 뒷쪽에는 안내면(222)과 걸림턱(223)이 형성되게 하며, 수장실(220) 내면 일측에는 안내편(224)이 돌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221)에는 체결공(225)과 지지공(226)을 구성하되, 체결공(225)은 양측벽(221)에 구성되게 하고, 지지공(226)은 일측에만 구성되게 하며, 승강축봉(120)이 끼워진 축공(210) 일측에는 받침부(227)를 약간 돌출되게 구성한다.
고정체(200)에 구성된 수장실(220)에는 작동구(230)를 끼운 다음 고정체(200)의 측벽(221)에 뚫린 지지공(226)에 작동레버(240)의 축봉(241)을 끼워 축봉(241)의 단부에 작동구(230)가 연결되게 하되, 상기 작동구(230)는 작동레버(240)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좌우 이동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작동구(230)의 구성 및 작동레버(240)와의 조립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작동구(230)는 관체(231) 전후방에 눌름편(234)과 안내편(233)을 돌출 구성하고, 아랫쪽에는 한 쌍의 지지편(230)이 하향 돌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체(231)에는 작동공(232)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작동공(232)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더 길게 뚫려져 있고, 눌름편(234) 일측에는 관통공(235)이 뚫려 있으며, 한 쌍의 지지편(236)에는 체결공(237)이 뚫려 있다.
따라서 고정체(200)의 측벽(221)에 뚫린 지지공(226)에 작동레버(240)의 축봉(241)을 끼워 축봉(241)의 선단부가 지지공(226)을 관통하게 하고, 지지봉(226)을 관통한 축봉(241)은 다시 작동구(230)의 지지편(236)에 뚫린 체결공(237)에 끼워지게 한 다음 양측 지지편(236) 사이에 위치하는 축봉(241)의 핀공(242)에 고정핀(243)을 끼워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단부에 작동구(230)가 체결 고정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축봉(241)에 구성된 핀공(242)이 작동구(230)의 지지편(236) 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핀공(242)에 고정핀(243)이 끼워져 조립되게 하므로서 작동구(230)와 작동레버(240)의 조립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240)는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가능케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작동구(230)의 눌름편(234) 단부에 뚫린 관통공(235)에는 걸림돌봉(238)을 끼워 구성하되, 상기 걸림돌봉(238)의 하단부는 받침부(227)의 상단에 위치되어 좌우 이동 가능케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구(230)의 눌름편(234) 직하방에는 승강축봉(120)의 유압 작동핀(121)이 위치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체(200) 상에 작동구(230)가 끼워지고, 작동구(230)가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선단부에 체결되어 좌우 이동가능케 된 상태에서 고정체(200) 윗쪽에 고정판(300)을 축핀(310)으로 연결 고정되게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체(200) 상부에 고정판(300)을 안치하여 고정판(300)의 중앙 양측에 절곡 구성된 연결편(330)이 고정체(200)의 양측에 위치되게 하면서 연결편(330)에 뚫린 관통공(331)이 고정체(200)의 측벽(221)에 뚫린 체결공(225)과 일치되게 한 다음 일측에서 축핀(310)을 끼워 관통공(331)과 체결공(225)을 관통되게 함과 동시에 작동구(230)의 작동공(232)과 체결공(225) 및 관통공(331)을 차례로 관통되게 한다.
상기 고정판(300)의 앞쪽 중앙에는 장방형의 절개공(320)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절개공(320) 일측에는 하향 돌출된 돌부(321)가 돌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절개공(320) 및 돌부(321) 직하방에 작동구(230)의 눌름편(234)과 걸림돌봉(238)이 위치되게 하고, 고정판(300)에 구성된 절개공(320)의 크기는 작동구(230)의 눌름편(234)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구(230) 뒷쪽에 구성된 안내편(233)은 고정체(200)의 뒷쪽에 구성된 안내면(222) 상에 안치되게 하고, 안내면(222) 뒷쪽에는 단턱(223)이 돌출 구성되어 있다.
고정체(200) 상에 체결된 고정판(300) 상에는 의자용 좌판(110)을 체결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500)은 축볼트, (510)은 탄성관체, (520)은 팔걸이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통상의 의자(100)와 같이 사용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의자(100)는 좌판(110) 하단에 위치한 한 개의 작동레버(240)로 좌판(110)의 높이 조정과 전후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의자(100)의 좌판(110) 높이 조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조작하면 된다.
고정체(200)에 연결 구성된 작동레버(240)를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도 9에서와 같이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단부에 연결된 작동구(230)가 일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작동구(230)의 눌름편(234) 직하방에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40)의 손잡이(244)를 윗쪽으로 당겨 올린다.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레버(240)의 손잡이(244)를 윗쪽으로 당겨 올리면 작동레버(240)의 축봉(241)은 고정체(200)의 지지공(226)을 축으로 손잡이(244)쪽은 상승하나 타측단부, 즉 고정체(200) 내에 위치하는 축봉(241)은 하강하게 된다.
축봉(241)의 하강으로 축봉(241)의 단부에 끼워진 작동구(230)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작동구(230) 전면에 구성된 눌름편(234) 역시 하강하면서 눌름편(234) 직하방에 위치한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을 누르게 되므로 승강축봉(12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작동레버(240)를 윗쪽으로 당겨올려 작동구(230)의눌름편(234)이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을 눌린 상태에서 좌판(110)에 하중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축봉(120)이 상승하여 좌판(110)의 높이를 높게 조정하게 되고, 위와는 반대로 작동레버(240)를 윗쪽으로 당겨 올린 상태에서 좌판(110)에 하중을 가할 경우에는 승강축봉(120)이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좌판(110)의 높이 역시 낮아지게 된다.
상기 좌판(110)의 높이조정은 작동레버(240)를 위와는 반대 즉,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레버(240)를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도 작동레버(240)를 당겨올리면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단부에 연결된 작동구(230)가 하강하면서 이와 일체로 구성된 눌름편(234)이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을 누르기 때문에 좌판(110)의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좌판(110)의 높이조정 과정에서 좌판(110)이 필요한 높이로 위치하게 되면 당겨올렸던 작동레버(240)를 놓으면 작동레버(240)는 원위치 하면서 원복하게 되고, 동시에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을 누르고 있던 눌름편(234) 역시 작동구(230)와 함께 상승하게 되면서 높이의 설정이 완료된다.
상기 좌판(110)의 높이 조정과정에서 작동레버(240)를 당겨 올릴때 축핀(310)에 끼워진 작동구(230)가 하강할 수 있는 것은 축핀(310)이 끼워지는 작동구(230)의 작동공(232)이 상하 방향으로 약간 길게 뚫려 있으므로 작동레버(240)의 조작에 의한 작동구(230)의 하강에는 문제가 되지 않게 되며, 또한 작동구(230)의 뒷쪽으로 돌출 구성된 안내편(233)은 고정체(200)의 안내면(222)에 안치되어 있어 작동구(230)의 뒷쪽 즉, 안내편(233)은 하강하지 않고 앞쪽에 위치한 눌름편(234)만 하강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의자(100)의 좌판(110) 높이를 설정하여 사용 중 필요에 따라 좌판(110)을 뒷쪽으로 회전시켜 안락한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작동레버(240)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고정체(200) 일측에 연결된 작동레버(240)를 내측방향으로 밀어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위치되게 한다.
이때 작동레버(240)를 고정체(200)의 내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작동레버(240)의 축봉(241)이 고정체(200)의 지지공(226)을 축으로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단부에 연결된 작동구(230) 역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레버(240)의 축봉(241) 단부가 고정체(200) 내면 수장실(220)에 구성된 안내편(224) 측면에 접하게 되면 작동레버(240) 및 작동구(230)의 이동이 멈추게 되고, 동시에 작동구(230)의 전면에 위치한 눌름편(234) 및 눌름편(234)의 관통공(235)에 끼워진 걸림돌봉(238)이 고정판(300)의 절개공(320)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의자(100)의 좌판(110)에 앉은 상태에서 좌판(110)을 뒷쪽으로 재치면 좌판(110)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즉, 좌판(110)을 뒷쪽으로 재치면 좌판(110) 하단에 체결 고정된 고정판(300)은 고정체(200)와 결합하고 있는 축핀(310)을 축으로 역시 뒷쪽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작동구(230)에 구성된 눌름편(234) 및 걸림돌봉(238)은 고정판(300)의 절개공(320) 내로 진입하게 되므로 고정판(300)의 회전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체(200)에 연결된 작동레버(240)를 내측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좌판(110)을 뒷쪽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다시 의자(100)의 좌판(110)을 원복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위에서 사용한 작동레버(240)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의자(100)의 좌판(110)에 앉아 뒷로 재쳤던 몸을 일으켜 세우면 좌판(110)은 탄성관체(510)의 탄성작용에 의해 좌판(110)이 원복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40)의 손잡이(244)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작동레버(240)의 축봉(241)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축봉(241) 단부에 연결된 작동구(230)도 축봉(24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작동구(230)의 눌름편(234)에 끼워진 걸림돌봉(238) 역시 함께 이동하여 도 9에서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작동구(230)의 걸림돌봉(238)이 고정체(200)의 받침부(227)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 완료하게 되면 걸림돌봉(238) 상단부는 고정판(300)의 절개공(320) 일측에 하향 돌출 구성된 돌부(321) 하단에 위치하게 되면서 의자(100) 좌판(110)은 앉은 상태에서 뒷쪽으로 재치드라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작동레버(240)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이동한 작동구(230)의 걸림돌봉(238)의 하단부는 고정체(200)의 받침부(227)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단부는 고정판(300)의 돌부(321) 하단에 접하여 있어 좌판(110)을 뒷쪽으로 재치드라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좌판(110)은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체 일측에 연결된 작동레버의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좌판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고, 동시에 작동레버를 뒷쪽으로 당기면 좌판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 개의 작동레버로 좌판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에 구성된 고정체와 고정판 사이에 작동구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작동구는 작동레버와 연결되게 한 다음 작동레버를 밀고 당기거나 윗쪽으로 당겨올리는 조작에 의해 좌판의 각도조정과 고정 및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구성을 간단히 하고, 그에 따른 제작경비를 줄이고, 조작을 단순화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받침대의 고정축관에 승강축봉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축봉상에 고정체와 고정판 및 좌판이 결합구성된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축봉(120) 상에 조립구성된 고정체(200)에 수장실(220)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220)에 작동구(230)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230)는 고정체(200) 일측에 연결된 작동레버(240)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작동레버(230)가 좌우이동하거나 하단에 위치한 승강축봉(120)의 유압작동핀(121)이 눌려지게 하여 좌판의 각도조정 및 높이조정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의 조정자이.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체(200)의 수장실(220)에 끼워진 작동구(230)는 관체(231) 내면에 작동공(232)이 형성되게 하되 작동공(232)을 통하여 축핀(310)에 끼워져 조립되게 하고, 상기 관체(231) 전면에는 관통공(235)이 뚫린 눌름편(234)을 돌출 구성하고, 상기 관통공(235)에는 걸림돌봉(238)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고정체(200) 윗쪽에 축핀(310)으로 조립된 고정판(300) 전면에는 절개공(320)과 하향 돌출된 돌부(321)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공(320) 및 돌부(321)에 작동구(230)의 눌름편(234) 및 걸림돌봉(238)이 선택적으로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KR2020020029550U 2002-10-02 2002-10-02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KR200298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550U KR200298414Y1 (ko) 2002-10-02 2002-10-02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550U KR200298414Y1 (ko) 2002-10-02 2002-10-02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414Y1 true KR200298414Y1 (ko) 2002-12-20

Family

ID=7312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550U KR200298414Y1 (ko) 2002-10-02 2002-10-02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4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52B1 (ko)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KR102345913B1 (ko) * 2021-07-05 2022-01-0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일체형 조작부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52B1 (ko)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KR102345913B1 (ko) * 2021-07-05 2022-01-0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일체형 조작부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0655A (en) Backrest height adjustment for office chair
US5931536A (en) Adjustable armrest of a chair
US6957867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US6132001A (en) Adjustment device for an arm of a chair
CA2178399A1 (en) Adjusting mechanism for selectively positioning chair components
US6224155B1 (en) Vertical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s
KR200298414Y1 (ko) 의자용 좌판의 조정장치
KR200292591Y1 (ko)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292593Y1 (ko) 의자용 팔걸이
KR102168844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CN209573957U (zh) 一种舒适度高的可调节学习椅
JP3100800U (ja) 事務用椅子
KR102254238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243618Y1 (ko) 의자 높이조절장치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200342419Y1 (ko) 의자용 승강 팔걸이
CN216875687U (zh) 一种档位式轻型转椅底盘
CN219720237U (zh) 一种座椅靠背前后调节机构及座椅
CN212878522U (zh) 可调整升降的扶手结构
KR200269754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위치 조정장치
JPS5927174Y2 (ja) 椅子のバックレスト高さ調節装置
JPWO2005074750A1 (ja) 背座可変椅子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JPS6241623Y2 (ko)
JPS5817494Y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