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92Y1 -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 Google Patents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92Y1
KR200298292Y1 KR2020020012050U KR20020012050U KR200298292Y1 KR 200298292 Y1 KR200298292 Y1 KR 200298292Y1 KR 2020020012050 U KR2020020012050 U KR 2020020012050U KR 20020012050 U KR20020012050 U KR 20020012050U KR 200298292 Y1 KR200298292 Y1 KR 200298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ce
electromagnet
working
su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원
Original Assignee
김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원 filed Critical 김효원
Priority to KR2020020012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92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로의 반작용 없이도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이동체의 내부에 반발력과 흡인력에 의해 힘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제1,제2 작용 작석 및 복수의 반작용 전자석을 설치하되, 상기 제1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흡인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반작용 전자석은 상기 제1, 제2 작용 자석과의 반발력 및 흡인력에 의해 그 중심이 고정된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도록 설치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제까지의 모든 동력장치가 외부로의 반작용에 의해 추진력을 갖게 되던 개념에 비해 외부로의 반작용이 없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동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POWER DEVICE THAT HAS A INSIDE POWER SOURCE}
본 고안은 동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용. 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되, 외부로의 반작용 없이도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체가 운동을 하려면 작용.반작용에 의하여 그 추진력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작용.반작용은 서로 직선상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예를 들어, 로켓의 발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켜 밖으로 분출시키는 반작용에 의해 로켓은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가 사용하는 자동차, 비행기, 배 등 모든 추진장치는 외부에 반작용을 가함으로써 그 추진력을 얻어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제까지의 모든 동력장치가 외부로의 반작용을 가하여 추진력을 얻던 것과는 달리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되, 작용의 힘은 직선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반작용의 힘은 제자리 원운동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외부로의 반작용 없이도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상세도.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체 M1,M2 : 작용 자석
EM1,EM2 : 반작용 전자석 P1,P2 : 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는, 이동체의 내부에 반발력과 흡인력에 의해 힘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제1, 제2 작용 자석 및 복수의 반작용 전자석을 설치하되; 상기 제1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흡인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그 축이 회전가능토록 상기 이동체에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이 각각의 반작용 전자석의 중심에 끼워지는 형태로 된 상기 복수의 반작용 전자석은 상기 제1, 제2 작용 자석과의 반발력 및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축과 함께 회전운동 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10)의 내부에 반발력과 흡인력에 의해 힘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작용 자석(M1,M2) 및 반작용 전자석(EM1,EM2)을 설치한다.
상기 작용 자석(M1)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EM2)과 서로 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작용 자석(M2)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EM2)과 서로 흡인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EM2)은 상기 작용 자석(M1,M2)과의 반발력 및 흡인력의 작용.반작용에 의해 그 중심이 고정된 축(P1,P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도록 설치된다.여기서, 상기 축(P1)은 이동체(10)에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P1)은 전자석(EM1)의 중심에 끼워지는 형태로, 축(P1)의 일측에는 축(P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전극(r1,r2)이 부착되고, 이에 근접하게 바테리(BAT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고정전극(b1,b2)이 설치되어, 바테리(BAT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고정전극(b1,b2)으로부터 축(P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전극(r1,r2)에 전류가 유기되어 이에 따라 반작용 전자석(EM1)이 자화되어 자성을 띠도록 설치되며, 이는 상기 축(P2)과 반작용 전자석(EM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상기 이동체(10) 내부의 작용 자석(M1)과 반작용 전자석(EM1)이 서로 동일한 극(예 : N극)을 갖도록 반작용 전자석(EM1)의 고정전극(b1,b2)에 전류를 인가하면, 회전전극(r1,r2)에 전류가 유기되어 이에 따라 반작용 전자석(EM1)이 자화되어 작용 자석(M1)과 반작용 전자석(EM1)은 반발력에 의해 작용 자석(M1)은 F1방향으로의 추진력을 갖게 되고, 반작용 전자석(EM1)은 축(P1)을 중심으로 축(P1)과 함께 F2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작용 자석(M1)과의 반발력에 의해 반작용 전자석(EM1)이 A1의 위치로부터 A2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작용 자석(M2)은 반작용 전자석(EM1)과 흡인력을 갖도록 설치되므로, 작용 자석(M2)과 반작용 전자석(EM1)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작용 자석(M2)은 F1방향으로의 추진력을 갖게 되고, 반작용 전자석(EM1)은 F2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이 상기 작용 자석(M2)과의 흡인력을 받는 위치 즉, A2의 위치에 도달하여 반작용 전자석(EM1)과 작용 자석(M2)간에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면, 반작용 전자석(EM1)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한다.본 고안은 상기 전류인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구비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류를 차단하여도 반작용 전자석(EM1)은 즉각적으로 멈추지 않고 진행하던 힘에 의해 축(P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반작용 전자석(EM1)이 다시 A1의 위치에 도달하면 반작용 전자석(EM1)에 전류를 인가하여 반작용 전자석(EM1)이 작용 자석(M1)과 동일한 극을 갖도록 하여 상기와 같이, 반발력에 의해 F2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시켜 이동체(10)가 추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F1의 힘은 반작용 전자석(EM1)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약간 왼쪽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과 대칭의 반작용 전자석(EM2)을 축(P2)를 중심으로 F3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이동체(10)가 직선 F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반작용 전자석(EM2)의 회전운동도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의 회전운동과 마찬가지로, 작용 자석(M1)과의 반발력 및 작용 자석(M2)와의 흡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EM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반작용 전자석을 다수쌍 구성하여 더 효율적인 추진엔진을 이룰 수 있음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이동체(10) 내부에 복수 개로 구비할 경우, 보다 강력한 추진엔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반작용 전자석을 다수쌍 구비할 경우, 반작용 전자석 사이의 반발력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자기력계 뿐만 아니라, 화약, 자동차 엔진, 제트엔진 등과 같이 모든 반발력을 갖는 에너지 종류가 사용 가능하며, 그 구성의 효율성을 높여 보다 강력한 추진력을 가능하게 하여, 외부로의 반작용 없이 지상, 강, 바다, 공중, 우주 등 모든 공간에서의 복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추진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되, 작용의 힘은 직선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반작용의 힘은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외부로의 반작용 없이도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이제까지의 동력장치가 외부로의 반작용을 가함으로써 추진력을 얻던 것과는 전혀 다른 신개념의 동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동력장치를 잠수함에 적용할 경우, 통상의 배나 잠수함은 스큐류를 통해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물살이 일게 되나, 본 개념의 동력장치를 적용할 경우, 외부로의 반작용이 없으므로 통상의 배나 잠수함에서의 스큐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스큐류에 의한 물살이 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동력장치를 헬리콥터에 적용할 경우, 헬리콥더가 내려앉을 때 외부로의 반작용이 없으므로 바람이 일지 않게 되며, 먼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반작용의 힘에 의한 회전운동을 발전기 등과 같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이동체의 내부에 반발력과 흡인력에 의해 힘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제1, 제2 작용 자석 및 복수의 반작용 전자석을 설치하되; 상기 제1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반발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작용 자석은 상기 반작용 전자석과 서로 흡인력을 갖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그 축이 회전가능토록 상기 이동체에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이 각각의 반작용 전자석의 중심에 끼워지는 형태로 된 상기 복수의 반작용 전자석은 상기 제1, 제2 작용 자석과의 반발력 및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축과 함께 회전운동 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KR2020020012050U 2002-04-20 2002-04-20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KR200298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050U KR200298292Y1 (ko) 2002-04-20 2002-04-20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050U KR200298292Y1 (ko) 2002-04-20 2002-04-20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743A Division KR20030083278A (ko) 2002-04-20 2002-04-20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92Y1 true KR200298292Y1 (ko) 2002-12-18

Family

ID=7307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050U KR200298292Y1 (ko) 2002-04-20 2002-04-20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608B2 (en) Method of propulsion
JP2005047500A (ja) 飛行マシン
WO2009009193A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surface control to a guidable projectile
WO2007037380A1 (ja) 磁界制御方法および磁界発生装置
JP7076201B2 (ja) 多自由度電磁機械及びその制御方法
US11664690B2 (en) Combined propellant-less propulsion and reaction wheel device
US5273465A (en) Magnetohydrodynamic boundary layer control system
US20120280588A1 (en) Magnetic rotational device
KR200298292Y1 (ko)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US20090179432A1 (en) Gravitational magnetic energy converter
KR20030083278A (ko) 내부 추진력을 갖는 동력장치
CA3136656C (en) Combined propellant-less propulsion and reaction wheel device
US11211837B2 (en) Actuator with individually computerized and networked electromagnetic poles
KR100726291B1 (ko) 전자식 무소음 무진동 수중 추진 시스템
TWM526542U (zh) 離心力推進器結構
WO2022000517A1 (zh) 磁动机
JP2007154734A (ja) 磁力推進飛行体
JPS62131754A (ja) 回転運動力を単一方向推進力に変換する装置
JPH10164822A (ja) 永久モーター及びその応用モーター
KR100322383B1 (ko) 원심력을이용한추진력발생방법및그장치
US20220033043A1 (en) Robotic fish with multiple torque reaction engines
JP2000220562A (ja) 遠心力を用いた推進力発生装置
JPS62135257A (ja) 回転運動力を単一方向推進力に変換する装置
JPH11262239A (ja) 磁力回転装置
KR20040090014A (ko) 동력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