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18Y1 -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18Y1
KR200298218Y1 KR2020020027088U KR20020027088U KR200298218Y1 KR 200298218 Y1 KR200298218 Y1 KR 200298218Y1 KR 2020020027088 U KR2020020027088 U KR 2020020027088U KR 20020027088 U KR20020027088 U KR 20020027088U KR 200298218 Y1 KR200298218 Y1 KR 200298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hair
bracket
folding
connection memb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동성 Naik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 Naiki filed Critical (주)동성 Naiki
Priority to KR2020020027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18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느 하나의 절첩식 의자와 그 이웃하는 절첩식 의자를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절첩식 의자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파이프 형상의 소정 개소에 부착하여 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포함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상의 일정 개소에 끼움·고정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나사공이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에 형성된 나사공 중에서 각각 대응되는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 1브라켓트 및 그 제 1브라켓트가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 2브라켓트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FOLDER TYPE CHAIR WITH CONNECTION MEMBER}
본 고안은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도록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절첩식 의자가 소정 연결부재에 의해 이격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첩식 의자는 휴대 및 보관의 용이성, 공간 활용성을 위해 절첩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앞다리 지지부재(10)와 뒷다리 지지부재(20)의 상단부 일정개소가 절첩되게 힌지·결합되고, 그 앞다리 및 뒷다리 지지부재(10,2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50) 또한 힌지 결합되어 접을 수 있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의자의 좌판(30)도 앞다리 지지부재(10)와 뒷다리 지지부재(20)에 힌지·결합되고, 등받이부(40)는 앞다리 지지부재(10)의 연장부위에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절첩식 의자는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링크(50)의 양측단에 설치된 힌지축과 좌판(30)이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다리(10)(20)와 좌판(30)을 절첩시켜 의자의 부피를 최소로 줄인 상태로 이를 적층시켜 운반하거나 보관시키고,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의 동작으로 각각의 다리(10)(20)와 의자의 좌판(30)을 펼쳐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이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절첩식 의자는 어느 장소에 좌석(의자)이 고정·설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임의로 설치 및 제거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높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정리정돈이 되지 않는 경우에 난잡하게 보여줄 수 있다.
즉, 체육관이나 강당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 절첩식 의자를 배열시킬때에는 행과 열을 제대로 맞출수가 없어 통일된 느낌을 제공할 수 없었다. 예컨대 절첩식 의자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 제공하는 한편 이를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별도의 연결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연결 자체가 어려움은 물론 줄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때에는 그 과정이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첩식 의자를 배열할 때 어느 하나의 절첩식 의자와 그 이웃하는 절첩식 의자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연결부재가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절첩식의자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파이프 형상의 소정 개소에 부착하여 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포함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상의 일정 개소에 끼움·고정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나사공이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에 형성된 나사공 중에서 각각 대응되는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대략사다리꼴 형상의 제 1브라켓트 및 그 제 1브라켓트가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 2브라켓트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형상과 접촉하는 몸체부의 내주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절첩식 의자를 배열시 이웃하는 절첩식 의자와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절첩식 의자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수직방향의 지지부재에 장착된 연결부재의 평단면도 및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의 브라켓트가 90°회전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몸체부의 측면 나사공에 브라켓트가 결합되어 절첩식 의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5a 및 도 5b의 브라켓트가 90°회전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D-D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부, 112 : 내주면,
114a: 중앙 나사공, 114b: 측면 나사공,
116 : 돌기, 120, 130 : 제 1 및 제 2브라켓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에서 기재한 절첩식 의자에 부여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부재(100)는 절첩식 의자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인 앞다리 및 뒷다리 지지부재와 링크(10,20,50) 즉, 파이프형상의 일정 개소에 끼움·고정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나사공(114a,114b)이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110),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나사공 중에서 각각 대응되는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122,132)가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 1브라켓트(120) 및 그 제 1브라켓트(120)가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 2브라켓트(130)로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형상과 직접 접촉되는 몸체부(110)의 내주면(112)에는 파이프형상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마찰력을 높이도록 다수의 돌기(116)가 형성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는 도 1과 같이 절첩식 의자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그 대응되는 개소에 각각 부착하고, 제 1 및 제 2브라켓트를 슬라이딩 끼워 연결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트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면 한 쌍의 몸체부가 대응되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00)의 몸체부(110)는 측면부의 각각에 나사공(114a,114b)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제공된 앞다리 지지부재(10)에 장착하였을 때 중앙 나사공(114a)에 제 1 및 제 2브라켓트(120,130)를 나사결합하고 절첩식 의자를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및 제 2브라켓트(120,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브라켓트(120,130)만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절첩식 의자를 연결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 3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는 수직방향의 지지부재에 장착된 연결부재의 평단면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이는 도 1과 같이 상호 연결하기 용이한 중앙 나사공(114a)에 한 쌍의 연결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 1브라켓트(120)가 제 2브라켓트(130)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결합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a와 도 3b에서의 제 1브라켓트(120) 및 제 2브라켓트(130)가 90°회전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이는 도 3a 및 도 3b와 비교해서 제 1브라켓트(120) 및 제 2브라켓트(130)를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브라켓트(120) 및 제 2브라켓트(130)의 방향을 처음부터 회전시켜 놓은 후 결합할 수 있거나, 먼저 브라켓트(120,130)를 상호 결합한 후 그 브라켓트(120,130)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몸체부의 측면 나사공에 브라켓트가 결합되어 절첩식 의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C-C선 단면도이다. 이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4a)에 브라켓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절첩식 의자를 쉽게 연결할 수 없을 때 이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절첩식 의자의 수평부재 또는 이를 지지하는 링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a 및 도 6b도 상기 도 5a 및 도 5b의 브라켓이 90°회전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평단면도 및 D-D선 단면도로서, 절첩식 의자를 연결함에 있어 보다 용이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절첩식 의자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절첩식 의자의 좌판대신 티 테이블(Tea Table)을 장착하여 찻잔 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절첩식 의자에 제공되는 연결부재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재에 장착되도록 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몸체부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파이프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그 형상에 대응되는 몸체부의 형상이 제공되어 절첩식 의자를 상호 연결시킬수 있음은 물론, 절첩가능한 절첩식 의자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설치·제거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의자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첩가능하게 제공되는 절첩식 의자의 지지부재, 예컨대 앞다리 지지부재·뒷다리 지지부재 및 링크 등의 소정 개소에 절첩식 의자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가 구비된 연결부재를 끼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트를 슬라이딩 결합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절첩식 의자와 그 이웃하는 절첩식 의자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둘 이상의 절첩식의자가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파이프 형상의 소정 개소에 부착하여 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포함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이프형상의 일정 개소에 끼움·고정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나사공이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에 형성된 나사공 중에서 각각 대응되는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 1브라켓트 및 그 제 1브라켓트가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 2브라켓트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상과 접촉하는 몸체부의 내주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KR2020020027088U 2002-09-10 2002-09-10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KR200298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88U KR200298218Y1 (ko) 2002-09-10 2002-09-10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88U KR200298218Y1 (ko) 2002-09-10 2002-09-10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18Y1 true KR200298218Y1 (ko) 2002-12-16

Family

ID=7312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88U KR200298218Y1 (ko) 2002-09-10 2002-09-10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704A (ko)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씨.월드 접이식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704A (ko)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씨.월드 접이식 테이블
KR102238903B1 (ko) * 2018-08-28 2021-04-29 주식회사 씨.월드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743B2 (en) Folding table
ES2592318T3 (es) Mesa modular plegable
US9609943B1 (en) Collapsible bistro table
US20070107853A1 (en) Modular folding screen
US20040244656A1 (en) Table with center support assembly
US11617448B2 (en) Bed frame
KR200298218Y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GB2441966A (en) Furniture support with detachable legs
US6865985B2 (en) Foldable panel supporter
KR101554111B1 (ko)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CN108813920A (zh) 带有折叠框架的折叠桌及其折叠框架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GB2337696A (en) Folding table with improved hinge.
KR102124294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0586923B1 (ko) 가구용 절첩식 지지 다리
KR20040096159A (ko) 절첩식 테이블
GB2497673A (en) Foldable baby bed frame
US20210045538A1 (en) Bed frame
KR20190108803A (ko) 조립식 테이블
JP4460280B2 (ja) 書籍陳列棚
KR200350479Y1 (ko)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US20040228132A1 (en) Structure of foldable lampshade
JP4173786B2 (ja) 仕切りパネル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