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28Y1 - Box for breeding sprouts - Google Patents

Box for breeding sprou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28Y1
KR200298128Y1 KR2020020029042U KR20020029042U KR200298128Y1 KR 200298128 Y1 KR200298128 Y1 KR 200298128Y1 KR 2020020029042 U KR2020020029042 U KR 2020020029042U KR 20020029042 U KR20020029042 U KR 20020029042U KR 200298128 Y1 KR200298128 Y1 KR 200298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x
present
box
hole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0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20029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2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28Y1/en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시에 모가 육묘상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육묘상자가 모자리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box configured so that the seedling box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edling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edling box during transport.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된 종래의 육묘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0.2mm 내지 1.5mm 직경의 다수의 관통공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seedling box consisting of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four side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0.2mm to 1.5mm diameter at regular intervals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육묘 상자{BOX FOR BREEDING SPROUTS}Seedling box {BOX FOR BREEDING SPROUTS}

본 고안은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시에 어린 모가 육묘상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육묘상자가 모자리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box configured so that the seedling box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edling without leaving the young mother during the transport.

일반적으로 육묘란 종자의 발아(發芽)에서부터 정식(定植)할 때까지 온상 또는 냉상에서 집약적으로 관리하여 어린 모를 충실하고 건전하게 키우는 것을 의미하다.In general, raising seedlings means cultivating young mothers faithfully and soundly by intensive management in hot or cold phases from germination of seeds to formalization.

육묘상자란 이러한 육묘를 위해 모를 발아 생장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를 의미한다.Seedling box means a box used for germinating and growing hair for such seedlings.

도 5a는 종래의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육묘상자는 바닥면(100), 측면(200), 관통공(160)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5a, the conventional seedling box is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100, the side surface 200, the through hole 160.

상기 바닥면(100)은 상기 육묘상자(A)의 하부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직사각형 형태이다.The bottom surface 100 is a portion formed under the seedling box A, and has a rectangular shape.

상기 측면(200)은 상기 육묘상자(A)를 다수개 적층할 수 있으며, 운반시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면(100)에 대해 일정 높이로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이다.The side surface 200 may be a plurality of stacking the seedling box (A), it is a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00 with a height to facilitate transport.

상기 관통공(160)은 종자를 어린 모로 키우도록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구멍으로서, 대략 3mm 정도의 직경으로 다수 개가 상기 바닥면(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holes 160 are holes formed to supply moisture to raise seeds into young mothers,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100 with a diameter of about 3 mm.

도 5b는 도 5a의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이다.5B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eedling box of FIG.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육묘상자(A)에서는 모가 자라면서 길어지는 모의 뿌리(A)가 상기 바닥면(100)에 형성된 관통공(160)을 통하여 자라서 땅속에 뿌리 내리게 되어 상기 육묘상자(A)가 지표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5B, in the conventional seedling box A, the root of the mock root A, which grows as the hair grows, gr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6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0 to be rooted in the grou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ox A is stuck to the surface.

이는 상기 관통공(160)의 직경 크기가 4mm 이상이므로, 모의 뿌리(A)들이 충분히 상기 관통공(160)을 통해 자라서 땅에 고착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6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4 mm, so that the simulated roots A sufficiently grow through the through hole 160 and are easily attached to the ground.

이에 상기 뿌리(A)가 땅에 내리지 않도록 하는 육묘상자가 개발되었다.Thus, a seedling box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root (A) from falling to the ground.

도 6은 종래의 다른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육묘상자(A)는 바닥면(100), 측면(200), 관통공(160), 부직포(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A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100, a side surface 200, a through hole 160, and a nonwoven fabric 300.

즉, 도 6에 도시된 육묘상자(A)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육묘상자(A)에서 그 바닥면(100)에 반투과성의 부직포(300)를 내장시켰다.That is, in the seedling box A shown in FIG. 6, the semi-permeable nonwoven fabric 300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100 of the seedling box A shown in FIG. 5.

즉, 상기 부직포(300)를 통해 수분이 이동되지만, 모의 뿌리(A)는 육묘상자(A)의 관통공(160)을 통하여 땅속으로 자라지 않게 되므로 육묘상자(A)가 땅에 고착되지 않도록 하였다.That is, the moisture is mov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300, but the mock root (A) does not grow into the ground through the through hole 160 of the seedling box (A) so that the seedling box (A) is not fixed to the ground. .

그러나, 상기 부직포(300)를 내장시킨 육묘상자(A)는 별도의 부직포(300)가 필요하며, 상기 부직포(300)를 내장시키는 작업 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원가가 증가되며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seedling box A incorporating the nonwoven fabric 300 requires a separate nonwoven fabric 300,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increased because the work process for embedding the nonwoven fabric 300 is add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

또한, 상기 부직포(300)는 파손이 용이하므로, 사용 도중에 상기 부직포(300)가 파손되면 도 5에 도시된 육묘상자(A)와 동일하게 되어 모의 뿌리(A)가 땅속으로 자라게 되는 단점이 그대로 유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nonwoven fabric 300 is easily broken, if the nonwoven fabric 300 is broken during use, the nonwoven fabric 300 becomes the same as the seedling box A shown in FIG. 5, and thus the disadvantage that the mock root A grows into the ground is intact. maintain.

이에 상기 부직포(30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땅속에 모의 뿌리(A)가 내리지 않도록 구성된 육묘상자(A)가 개발되었다.Thus, the seedling box (A)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mock root (A) does not fall in the ground without using the nonwoven fabric 300.

도 7a는 종래의 또 다른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다.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또 다른 육묘상자(A)는 바닥면(100), 측면(200), 관통공(160), 홈(4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7a,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A) is composed of the bottom surface 100, the side surface 200, the through hole 160, the groove 400.

즉, 도 7a에 도시된 육묘상자(A)에서는 그 바닥면(100) 내측에 상광하협의 홈(4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러개의 홈(400) 중 하나에 관통공(160)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the seedling box A illustrated in FIG. 7A, the groove 400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s is formed inside the bottom surface 100, and the through hole 160 is formed in one of the grooves 400. It is.

도 7b는 도 7a의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7B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eedling box of FIG. 7A. FIG.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묘상자(A)를 사용하여 모를 키우는 경우에는 상기 모의 뿌리(A)가 육묘상자(A) 안에서 서로 뭉치고 상자(A) 밖으로는 뻗지 않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육묘상자(A)와 동등한 효과를 얻게 된다.As shown in FIG. 7B, when raising seedlings using the seedling box A, the roots of the seedlings A are aggregated together in the seedling box A and do not extend out of the box A, as shown in FIG. 6. The effect equivalent to the seedling box (A) is obtained.

그러나, 상기 상광하협의 홈(400)이 형성된 육묘상자(A)에서는 모의 뿌리(A)가 상자(A)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모가 육묘상자(A)에 전혀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However, in the seedling seedling box A in which the groove 400 of the ordinary light lower strait is formed, since the simulated root A does not come out of the box A, the seedlings are not attached to the seedling seedling box A at all.

도 8은 육묘상자를 들고 이동하는 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for moving the seedling box.

대개의 경우 모를 이양하기 위해서 상기 육묘상자(A)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묘상자(A)의 바닥면(100)이 측면으로 오도록 하여 상기 육묘상자(A)를 들게된다.In most cases, in the case of carrying the seedling box A in order to transfer the hair, as shown in FIG. 8, the bottom surface 100 of the seedling box A is brought to the side so that the seedling box A is moved. Will be heard.

이러한 경우 상기 육묘상자(A)에는 모가 전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모가 이양하기 전에 이동 중 외부로 이탈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hair is not attached to the seedling box (A) at 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ir is separated to the outside during transfer before handing ov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육묘상자가 모자리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육묘상자의 운반시 모가 육모상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육묘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ling box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edling box and the hai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edling box when carrying the seedling box.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시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된 육묘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ling box that is firmly configured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us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육묘상자의 배면도.Figure 2 is a rear view of the seedling box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종래의 육묘상자의 사시도.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5b는 도 5a의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FIG. 5B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eedling box of FIG. 5A; FIG.

도 6은 종래의 다른 육묘상자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7a는 종래의 또 다른 육묘상자의 사시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eedling box.

도 7b는 도 7a의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Fig. 7B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eedling box of Fig. 7A.

도 8은 육묘상자를 들고 이동하는 상태도.8 is a state diagram to move holding the seedling box.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00: 바닥면 12: 내측 바닥면10,100: bottom 12: inner bottom

14: 외측 바닥면 16,160: 관통공14: outer bottom surface 16, 160: through hole

20,200: 측면 30: 보강돌조20,200: side 30: reinforcement protrusion

40: 돌출부 300: 부직포40: protrusion 300: nonwoven fabric

400: 홈 A: 육묘상자400: home A: seedling box

B: 뿌리B: roo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는 직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된 종래의 육묘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미세한 직경의 다수의 관통공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seedling box consisting of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four side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has a plurality of fine diameter Th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0.2mm 내지 1.5mm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들의 간격은 0.4mm 내지 30mm이 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may be 0.2mm to 1.5mm, the interval of the through hole may be 0.4mm to 30mm.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기 위한 보강돌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보강돌조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ement protrusion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higher than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nd the like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육묘상자의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of the seedling box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A)는 바닥면(10), 측면(20), 관통공(16), 보강돌조(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10, side 20, through-hole 16, reinforcing protrusions (30).

상기 바닥면(10)과 상기 측면(20)은 도 5a의 종래의 육묘상자(A)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10 and the side surface 20 ar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seedling box A of FIG. 5A.

상기 관통공(16)은 종자를 어린 모로 키우도록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구멍으로서, 미세한 직경이며 상기 바닥면(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16 is a hole formed to supply moisture to raise seeds into young mothers, and has a plurality of minute diameters and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10.

상기 관통공(16)의 직경은 0.2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6 is preferably 0.2mm to 1.5mm.

이는 상기 관통공(16)의 직경이 0.2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기술상 제조하기가 어렵게 되며, 상기 관통공(16)의 직경이 1.5mm 이상인 경우에는 종래의 도 5a에 도시된 육묘상자(A)와 같이 뿌리(A)가 상기 육묘상자(A)의 관통공(16)을 통해 땅에고착되기 때문이다.This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echnically whe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6 is smaller than 0.2mm, whe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6 is 1.5mm or more and the seedling box (A) shown in Figure 5a of the prior art This is because the root (A) is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through hole 16 of the seedling box (A).

또한 상기 관통공(16)들의 간격은 0.4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16 is preferably 0.4mm to 30mm.

이는 상기 관통공(16)의 간격이 0.4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기술상 제조하기가 어렵게 되며, 상기 관통공(16)의 간격이 30mm 이상인 경우에는 모가 자라기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16 is smaller than 0.4 mm,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m technically, and when the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16 is 30 mm or more, sufficient moisture for hair growth may not be supplied.

상기 보강돌조(30)는 상기 바닥면(10)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기 위해 상기 바닥면(10)에 형성된 부분이다. 다량의 모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모의 성장함에 따라 그 무게가 증가되므로 상기 바닥면(10)의 중앙 부분이 휘어질 우려가 있는바, 그 내측 바닥면(12)에 보강돌조(30)를 설치하였다.The reinforcement protrusion 30 is a portion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0. In the case of cultivating a large amount of hair, the weight increases as the hair grows,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 may be bent, and a reinforcement protrusion 30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2.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서는, 상기 육묘상자(A)의 외측 바닥면(14)에 상기 보강돌조(30)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3과 같이 상기 육묘상자(A)의 내측 바닥면(12)에만 또는 내측 및 외측 바닥면(12,14) 모두에 상기 보강돌조(30)를 형성(미도시)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einforcing protrusions 30 are form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14 of the seedling box (A), the seedling box (A) as shown in FIG. The reinforcing protrusions 30 may be formed (not shown) only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2 of or on both the inner and outer bottom surfaces 12 and 14.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A)는 바닥면(10), 측면(20), 관통공(16), 보강돌조(30), 돌출부(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10, a side surface 20, a through hole 16, a reinforcement protrusion 30, and a protrusion 40. It is composed.

상기 바닥면(10), 측면(20), 관통공(16), 보강돌조(30)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A)와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10, the side surface 20, the through hole 16, the reinforcing protrusions 30 ar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돌출부(40)는 모의 뿌리(A)가 상기 육묘상자(A)에 어느 정도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면(10)에 상기 보강돌조(30)보다 높게 형성된다.The protruding portion 40 is a portion formed so that the simulated root A may be seated to the seedling box A to some extent,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30 on the bottom surface 10.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A)의 기능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edl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A)에는 그 바닥면(10)에 직경은 0.2mm 내지 1.5mm이며, 간격이 0.4mm 내지 30mm인 관통공(16)들이 형성되어 있다.3 and 4,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of 0.2mm to 1.5mm in the bottom surface 10, the through hole having a gap of 0.4mm to 30mm (16) are formed.

상기 관통공(16)의 직경과 간격이 상기 범위 이내이므로, 모가 자라기에 충분한 양의 수분이 상기 육묘상자(A)에 제공된다.Since the diameter and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16 are within the above ranges, a sufficient amount of moisture is provided to the seedling box A for hair growth.

또한 도 5a에 도시된 종래의 육묘상자(A)에서 4mm 이상의 직경인 관통공(16)을 통해 모의 뿌리(A)가 길고 두껍게 생장하던 것과 달리, 본 고안의 육묘상자(A)에서 관통공(16)의 직경은 0.2mm 내지 1.5mm로 미세하므로, 뿌리(A)가 얇고 짧게 나오게 되므로, 상기 뿌리(A)가 상기 관통공(16)을 통과하여 땅에 고착되지 않으나, 상기 모가 어느 정도 상기 육묘상자(A)에 안착하기에는 충분하게 된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root seedling (A) shown in Figure 5a through the through hole 16 having a diameter of 4mm or more through the through hole 16 is long and thick growth, the through hole in the seedling box (A) of the present invention ( Since the diameter of 16) is 0.2mm to 1.5mm, the root A is thin and short, so that the root A does not stick to the groun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6, but the hair is somewhat to the above. It is enough to be seated in the seedling box (A).

따라서 상기 본 고안의 육묘상자(A)를 모를 이양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가 육묘상자(A)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seedling box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ransfer the hair, as shown in Figure 7c, the problem that the hair is separated from the seedling box (A) does not occu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A)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40) 내부로 모의뿌리(A)가 상기 육묘상자(A)에 더욱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seedling box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40). This is formed so that the simulation root (A) to be better seated in the seedling box (A) into the protrusion (40).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abov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specifical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에 의하면, 어린 모가 땅에 뿌리내리지 않으므로 모자리로부터 육묘상자의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육모상자 분리 및 운반 작업시 모뿌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young seedlings are not rooted in the ground, it is easy to separate the seedling box from the seedlings, and the roots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separating and transporting of the seedling box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에 의하면, 미세한 관통공 및 돌출부에 의하여 육묘상자의 운반시 육묘상자로부터 모가 이탈되지 않는 육묘상자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provide a seedling box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eedling box when the seedling box is transported by the minute through-holes and protrusions.

따라서 종래의 육묘상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가 육묘상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의 육묘상자를 양손으로 잡고 이송시켜야 하므로 노동력이 두 배로 요구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 손에 하나씩 육묘상자를 잡고 이송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 절감에도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seedling box, the labor force is doubled because one seedling box must be transferred with both hands so that the mother does not deviate from the seedling box. As a result, labor savings are also beneficia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에 의하면, 바닥면에 보강돌조를 형성하여 사용시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된 육묘상자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inforcement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to provide a firmly configured seedling box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use.

따라서 모의 생장으로 모의 무게가 증가하여도 상기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되며, 견고하므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weight of the simulation increases with the growth of the simulatio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ort the weight, and because it is robus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에 의하면, 부직포 등을 내설하는 등의 별도의 재료 및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한 육묘상자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material and process, such as to install a nonwoven fabric is not required, thereby providing a seedling box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Claims (4)

직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된 종래의 육묘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0.2mm 내지 1.5mm 직경의 다수의 관통공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육묘상자.A conventional seedling box consisting of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four side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aving a diameter of 0.2 mm to 1.5 mm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의 간격은 0.4mm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is characterized in that 0.4mm to 30mm, seedling box.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기 위한 보강돌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보강돌조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The seedling box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ottom surface has one or more protrusions higher than the reinforcement protrusions.
KR2020020029042U 2002-09-27 2002-09-27 Box for breeding sprouts KR2002981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042U KR200298128Y1 (en) 2002-09-27 2002-09-27 Box for breeding spro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042U KR200298128Y1 (en) 2002-09-27 2002-09-27 Box for breeding sprou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28Y1 true KR200298128Y1 (en) 2002-12-20

Family

ID=7307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042U KR200298128Y1 (en) 2002-09-27 2002-09-27 Box for breeding sprou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2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74B1 (en) 2007-09-10 2008-10-17 혜성엠씨 주식회사 Seedl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74B1 (en) 2007-09-10 2008-10-17 혜성엠씨 주식회사 Seedl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710B2 (en) Nursery mat
CN112586231A (en) Seedling raising tray
JP6035653B2 (en) Vegetable growing equipment
KR200298128Y1 (en) Box for breeding sprouts
CN207754286U (en) A kind of matrix on tobacco seedlings seedlings nursing plate sows cover board
US2870575A (en) Plant propagating devices
JP2001303574A (en) Simple method of planting face of slope or wall face and planting base and planting auxiliary member for use therein
US5979112A (en) Seedling planter
KR200306746Y1 (en) Box for breading sprouts
JP3680481B2 (en) Nursery box
JPH11155385A (en) Seedling mat structure for raising seedling
JP4952986B2 (en) Seedling method
CN212993293U (en) Seedling raising device
JP2005095035A (en) Cultivation supporter and water culture method
JP2000060327A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flowerpot
KR200242455Y1 (en) The breeding box of rice-seed for young rice plant to be dispersed
JP3235463U (en) Nursery shelf
JP2007244265A (en) Nursery stock pot and pla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4236554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JP3627157B2 (en) Nursery box
JP2000262151A (en) Flowerpot.planter
JP3639343B2 (en) Plant stock breeding equipment
JPS6329397Y2 (en)
JPH11113404A (en) Vessel for assorted planting of horticulture plant and assorted planting using the same
KR960001050Y1 (en) Pots for seed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