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09Y1 -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09Y1
KR200298109Y1 KR2020020027756U KR20020027756U KR200298109Y1 KR 200298109 Y1 KR200298109 Y1 KR 200298109Y1 KR 2020020027756 U KR2020020027756 U KR 2020020027756U KR 20020027756 U KR20020027756 U KR 20020027756U KR 200298109 Y1 KR200298109 Y1 KR 200298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fety net
bracket
auxiliar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혁
Original Assignee
이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혁 filed Critical 이우혁
Priority to KR2020020027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09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두리에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안전망을 건물 외벽에 고정되어 중간부가 접어지는 지지대에 설치시 건물의 내측에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다리 형태로 일단에 지지대 브라켓이 장착되어 건물의 발코니 외벽에 상기 지지대 브라켓의 조임쇠로 고정가능하고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며 타단에 걸고리가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양측에 두고 테두리부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걸고리에 걸어져 설치되는 안전망과; 일단에 보조 브라켓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의 타단과 회동 가능토록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소정 각도로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안전망의 와이어를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측면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걸고리는 안전을 위하여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Using Install Safety Ne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낙하방지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두리에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안전망을 건물 외벽에 고정되어 중간부가 접어지는 지지대에 설치시에 건물의 내측에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는 좁은 공간에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물을 높게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고층에서 작업도중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공구나, 건자재 및 작업자등이 낙하하는 일이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 따랐었다.
도 1은 종래 공사장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공사장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하측비계(6)에 브라켓(3)으로 끝단부를 고정시킨 낙하물 방지장치(1)와,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1)의 내부로 결합되어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판(2)과,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1)를 소정의 각도로 현가시키기 위하여 낙하물 방지장치(1)의 외측 끝단부와 상측비계(5)를 연결하는 림(4)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사장에 설치된 하측비계(6)에 낙하물 방지장치(1)의 브라켓(3)을 결합한 뒤 낙하물 방지장치(1)를 도2의 가상선과 같이 세워서 다수개의 받침판(2)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1) 끝단부에 림(4)의 일단부를 보울트로 고정시키고 상기 림(4)의 타단부는 상측비계(5)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의 림(4)은 힌지부에 의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1)가 세워진 상태에서 낙하물 방지장치(1)를 서서히 밀어서 도 2의 실선 위치까지 내려놓으면 낙하물 방지장치(1)의 설치 작업이 완료 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1)는 현장에서 직접 조립을 하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약 4m가 넘는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1)에 여러개의 받침판(2)들을 끼우기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동시에 많은 작업시간을 소요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받침판(2)들을 낙하물 방지장치(1)에 끼울 때에도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게 되므로 안전에 상당한 신경을 기울여야 했다.
또한,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1)의 해체 시에도 상당한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낙하물 방지장치(1)는 개별적으로 한 개씩 설치가 되어 지는 바, 중량이 큰 낙하물이 떨어지면 한 개의 낙하물 방지장치(1)에 집중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낙하물 방지장치(1)가 휘어지면서 낙하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도록 허용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지상으로 떨어지는 낙하물에 의한 대형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사다리 형상의 지지대를 작업자가 건물 내부에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고, 테두리에 와이어가 부착된 안전망을 상기 지지대에 걸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약 4m정도의 길이를 갖는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를 접어지게 함으로서 건물 내부에서 안정망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해체시에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해체 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상기 지지대의 간격을 넓게하여도 상기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자재비를 줄이고 신속하게 상기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사다리 형태로 일단에 지지대 브라켓이 장착되어 건물의 발코니 외벽에 상기 지지대 브라켓의 조임쇠로 고정가능하고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며 타단에 걸고리가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양측에 두고 테두리부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걸고리에 걸어져 설치되는 안전망과;
일단에 보조 브라켓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의 타단과 회동 가능토록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소정 각도로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안전망의 와이어를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측면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걸고리는 안전을 위하여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브라켓과 클램프를 이용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대 브라켓의 조임쇠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지지대의 중간부는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는 로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사장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공사장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지지대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에 이용되는 보조 지지대를 로우프로 대체하여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200 : 지지대 브라켓
210 : 클램프 220 : 조임쇠
225 : 고정대 250 : 보조 브라켓
300 : 지지대 310 : 걸고리
330 : 측면고리 350 : 보조 지지대
400 : 안전망 410 : 와이어
500 : 로우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100)는 우선 건물의 발코니 외벽에 지지대 브라켓(20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일측에 구비된 클램프(210)에 의하여 사다리 형태의 지지대(300) 일단이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0)는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이 고정되어 있는 발코니 보다 상층의 발코니 외벽에는 보조 브라켓(250)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보조 브라켓(25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지지대(35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지지대(350)의 타단은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는 걸고리(310)가 부착되어 있어 테두리에 와이어(410)가 삽입된 안전망(40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망(400)은 한 쌍의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100) 사이에 설치되는데 양측에 설치된 상기 걸고리(310)에 상기 와이어(410)를 걸고 상기 와이어(410)의 양단은 양측의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하에서 도 4 ~ 도 6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100)와 안전망(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지지대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안전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100)는 건물벽에 고정되는 지지대 브라켓(200)에 지지대(3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 보조 지지대(350)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보조 브라켓(250)에 의하여 건물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 및 보조 브라켓(250)을 지지점으로 상기 지지대(300)와 보조 지지대(350)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는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작업자가 안전망(4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위험하게 지지대(300)를 타고 올라가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00)의 양측이 0°~ 180°범위안에서만 접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지지대(3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중간부의 힌지점이 상기 지지대(300)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지지대(300) 프레임의 양측이 서로 맞부딪히게 되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구조이다.
더욱이, 상기 지지대(300)의 중간부가 접어지면서 건물벽으로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편안하고 안전하게 발코니에 서서 한 층 이내에서 안전망(400)의 설치작업을 충분히 해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300)의 총 길이는 약 4m 정도로서 중간부를 접게 되면 그 길이가 반으로 줄게 되어 약 2m정도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지지대(300)가 설치된 층의 발코니에서 안전망(400)의 설치작업을 마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망(400)은 테두리에 와이어(410)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300)에 걸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망(400)은 다른 로프를 이용하여 바느질 하듯 감아서 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대(300)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측면고리(330)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고리(330)는 후크와 같은 형태로 구비하여 한 번 걸어진 와이어(410)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을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망(400)의 와이어(410)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고리(310)는 안전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낙하물의 충격시에 큰 인장력을 받는 상기 걸고리(310)를 두 개 이상 구비함으로서 인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양측에서 팽팽하게 잡아당기며 상기 안전망(400)을 설치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보조 지지대(350)도 상기 지지대(300)와 마찬가지로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대(300)의 중간부가 접어짐에 따라 상기 보조 브라켓(250)의 지지점으로부터의 거리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과 상기 보조 브라켓(250)의 지지점과의 거리 변화를 볼 때, 상기 지지대(3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거리가 상기 지지대(300)가 접어진 상태의 거리보다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거리변화에 대한 대응을 중간부의 힌지결합부가 접어지면서 대응하게 된다.
이 때, 지지대 브라켓(200)은 쌍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양단에 나사형태의 조임쇠(22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건물 벽의 양측에 상기 조임쇠(220)와 고정대(225)가 맞물리고 상기 조임쇠(220)를 조여서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중간영역에 구비된 바에는 클램프(210)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300)의 단부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클램프(210)는 양측으로 두 개 정도를 고정함으로서 좌우로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단부에는 힌지결합에 의하여 사다리 형태의 지지대(300)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수단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00)를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에 대하여 좌우 유동없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무방하다.
즉, 상기 지지대(300)는 안전망(4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안전망(400)을 팽팽하게 당겨야 하므로 좌우로 유동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300)는 사각형의 사다리 형태로 일단의 양측에 클램프(210) 또는 힌지결합을 이용해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좌우로 비틀림 유동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는 두 개의 보조 지지대(35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보조 지지대(350)의 타단에는 보조 브라켓(250)이 각각 연결되어 건물 외벽에 고정되므로 상기 지지대(300)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보조 지지대(35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300)가 건물 외벽에 대하여 고정되는 각도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의 각도는 상기 지지대(300)에 매여있는 안전망(400)의 각도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기 안전망(400)에물체가 떨어졌을때 바깥으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상기 지지대(300)를 상방향으로 위치하게 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대(350)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는 상기 보조 브라켓(250)은 상기 보조 지지대(350)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 하중에 대하여 지지토록 조임쇠(220)와 고정대(225)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300)의 형상을 삼각형 형태의 사다리 형상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두 지점을 클램프(210)로 지지하고 타단의 꼭지점 부분을 한개의 보조 지지대(350)로 고정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의 목적이 무엇보다도 안전이므로 보다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300)의 형상이 사각형 형태인 사다리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건물의 코너 부분과 같은 모서리에는 상기 지지대(300)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상기 안전망(400)의 중간 영역을 받치는 수단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안전망(400)을 고정시키고 있는 상기 지지대(300)의 거리를 길게 할 경우 상기 안전망(400)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건물 외벽에 지지대(300)를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안전망(400)의 중간 부분에 보조 지지대(350)를 설치하여 상기 안전망(400)을 받치면 상기 지지대(300)를 보다 적게 설치하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상기 지지대(300)의 하측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 시킬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보조 지지대(350)가 인장력을 받는대신 압축력을 받는 차이점이 발생할 뿐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써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하는 경우는 작업시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상기 지지대(300)가 설치되는 건물의 상부에 장애물이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350)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에 이용되는 보조 지지대를 로우프로 대체하여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수직하중의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로우프(500)로 대체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하여도 무관한 특징이 있다.
이 때, 상기 로우프(500)는 재질이 철인 로우프(500)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로우프(500)는 상기 지지대(300)의 무게를 감당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망(400) 위로 떨어지는 낙하물의 충격하중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철재 로우프(500)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상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100)에 의하면, 사다리 형상의 지지대(300)를 작업자가 건물 내부에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고, 테두리에 와이어(410)가 부착된 안전망을 상기 지지대(300)에 걸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게 되었다.
그리고, 약 4m정도의 길이를 갖는 상기 지지대(300)의 중간부를 접어지게 함으로서 건물 내부에서 안전망(400)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체시에도 설치작업과 마찬가지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해체 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300)의 간격을 넓게하여도 상기 와이어(410)를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자재비를 줄이고 신속하게 상기 안전망(4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건물의 내부에서 설치와 해체가 모두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대폭 줄이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사다리 형태로 일단에 지지대 브라켓(200)이 장착되어 건물의 발코니 외벽에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조임쇠(220)로 고정가능하고 중간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하며 타단에 걸고리(310)가 부착된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를 양측에 두고 테두리부에 와이어(410)가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410)가 상기 걸고리(310)에 걸어져 설치되는 안전망(400)과;
    일단에 보조 브라켓(250)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과 회동 가능토록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00)를 소정 각도로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의 측면에는 상기 안전망(400)의 와이어(410)를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측면고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걸고리(310)는 안전을 위하여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과 클램프(210)를 이용한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브라켓(200)의 조임쇠(2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350)의 중간부는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양측이 0°~ 180°범위로 접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대(350)는 로우프(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KR2020020027756U 2002-09-16 2002-09-16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KR200298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56U KR200298109Y1 (ko) 2002-09-16 2002-09-16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56U KR200298109Y1 (ko) 2002-09-16 2002-09-16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09Y1 true KR200298109Y1 (ko) 2002-12-12

Family

ID=7307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56U KR200298109Y1 (ko) 2002-09-16 2002-09-16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867B1 (ko) * 2019-01-30 2020-06-29 김천호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867B1 (ko) * 2019-01-30 2020-06-29 김천호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662B2 (en) Hanging scaffold support
US20060175130A1 (en) Hanging scaffold support bracket
KR200426209Y1 (ko)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KR20130042117A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0298109Y1 (ko) 중간부가 접어지는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5038805B2 (ja) 落下防止部材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120066568A (ko) 시스템 비계 및 그 시공방법
KR200238563Y1 (ko)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KR100529398B1 (ko)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JP2011099259A (ja) 幅木取付け用金具
CN113202281A (zh) 一种建筑模板操作平台
US5615751A (en) Scaffold system used with wood panels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0342714Y1 (ko) 접힘과 회전이 가능한 멍에목 받침수단을 구비하는거푸집 수직지지대
JP2896420B2 (ja) 桁等の架設工法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JPH05163833A (ja) 安全ネット付き建枠
KR200398851Y1 (ko)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0169292Y1 (ko) 건축용 낙하물 받침틀
CN215631489U (zh) 一种建筑模板操作平台
KR102146245B1 (ko) 건축공사용 낙하방지수단 고정구조
JP2602190Y2 (ja) 簡易足場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