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841Y1 -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 Google Patents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841Y1
KR200297841Y1 KR2020020027009U KR20020027009U KR200297841Y1 KR 200297841 Y1 KR200297841 Y1 KR 200297841Y1 KR 2020020027009 U KR2020020027009 U KR 2020020027009U KR 20020027009 U KR20020027009 U KR 20020027009U KR 200297841 Y1 KR200297841 Y1 KR 200297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ocks
user
stitch
s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걸
Original Assignee
조남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걸 filed Critical 조남걸
Priority to KR2020020027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841Y1/ko

Links

Landscapes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주어, 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문양 등을 사용자가 십자수를 통해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를 소홀히 할경우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에게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순 기능을 제공하던 양말의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SHOCKS HAVING CROSS-STITCH PATTERN INDICATION}
본 고안은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주어, 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문양 등을사용자가 십자수를 통해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를 소홀히 할경우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에게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순 기능을 제공하던 양말의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발과 다리 아래 부분에 걸쳐 신을 수 있도록 면이나 나일론 등의 섬유를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는, 발과 신발의 마찰을 줄여 주고, 땀을 흡수해 빨리 건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단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단순 기능을 제공하는 양말은 고도의 기계화된 방적기와 직기의 출현, 합성섬유와 합성염료의 개발에 의해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기술에 의해 개발과 발전이 진행되어 왔다고는 하지만 실재로 이는 어디까지나 수단에 불가하고, 이러한 진행에 있어 원동력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여러 형태와 기능성을 접목시킨 다양한 양말이 개발되어져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즉, 독특한 디자인과 칼라를 접목한 양말, 인체 생체리듬에 맞춰 개발된 기능성 양말, 고 퀄리티(Quality)를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가격대의 양말, 고기능성과고품질의 차별화된 디자인이 접목된 양말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말들은 어디까지나 디자인의 차별과 건강 기능을 접목시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그치는 단조로운 형태와 기능만을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의 차별성과 건강 기능성을 접목시킨 양말은 제품의 코스트(cost)를 높이는 원인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만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주어, 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문양 등을 사용자가 십자수를 통해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를 소홀히 할경우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에게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순 기능을 제공하던 양말의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요부상태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3a, 도 3b는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말 12 : 허리부
14 : 아이다부 16 : 바늘 구멍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요부상태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부(12)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양말(10)이 제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는 본 고안인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이니셜과 같은 문양 등을 사용자가 십자수를 통해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줌에 따라 관리를 소홀히 할경우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에게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순 기능을 제공하던 양말의 기능성과 제품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양말(10)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14) 즉, 바늘구멍(16)이 구비된 공간부를 양말(10)의 허리부(12)에 일체로 형성하여 주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아이다부(14)는 십자수를 놓을 수 있게 칸형태로 나누어져 있다.
이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 양말을 제조하는 방적기와 직기를 조절하여 가동하면 형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작용을 이루는 양말(10) 역시 일반 양말과 별다름 없는 제조방식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 생산된 양말(10)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도 실사용시 아이다부(14)가 공기의 원활한 통기를 도모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기술을 양말에 한정적으로 적용하여 설명한 이유는 시중에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미아방지용 물품(팔찌, 목걸이, 이름표 등.....)은 해체가 용이한 착탈구조를 취하고 있어 쉽게 분실될 우려가 있었음은 물론이고, 무게와 착용시의 불쾌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양말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이 이용하는 물품 중 직물로 제조되는 의복과 가방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이 이용하는 물품 중 직물로 제조되는 의복과 가방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 및 선물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말을 제조시 허리부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주어, 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문양 등을 사용자가 십자수를 통해 임의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리를 소홀히 할경우 실종의 우려가 있는 침해 노인과 장애인 및 유아 등에게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개인의 취향대로 문양을 표현하여 착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순 기능을 제공하던 양말의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사용시 아이다부가 공기의 원활한 통기를 도모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부가 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양말(10)을 제조시 허리부(12)에 사용자가 직접 십자수를 취할 수 있는 아이다(십자수를 놓는 천)부(14)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KR2020020027009U 2002-09-10 2002-09-10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KR200297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09U KR200297841Y1 (ko) 2002-09-10 2002-09-10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09U KR200297841Y1 (ko) 2002-09-10 2002-09-10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841Y1 true KR200297841Y1 (ko) 2002-12-12

Family

ID=7312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09U KR200297841Y1 (ko) 2002-09-10 2002-09-10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8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15568B2 (en) Device for joining garments and textile article comprising said device
US5699557A (en) Embroidered applique fastening system clothing articles
US6032294A (en) Fastener for mating pairs of clothing items
US20100043125A1 (en) Garment cinching apparatus
US9700078B2 (en) Garment with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components
JP2006249586A (ja) 履物類
ITRM980292A1 (it) Indumento maschile di copertura del busto i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un cuscinetto protettivo di rinforzo da utilizzare
US20100101004A1 (en) Garment or article of clothing with concealed religious or spiritual indicia
US20180020742A1 (en) Reversible double ended sock
US20060010573A1 (en) Charm display device and the like
KR200297841Y1 (ko) 십자수 문양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
KR20120139912A (ko) 체형 보정 의류
US20170291112A1 (en) Customizable fabric based article
CN106304837A (zh) 自附接织物及制造自附接织物的方法
US20130239296A1 (en) Decorative lace over the sock anklets for girls
ELsayed et al. Ergonomics approach for fashionable apparel design
JP3200705U (ja) 浴衣
CN210841613U (zh) 一种功能性运动衣
CN215684921U (zh) 一种外套衬衫一体化套装
KR200338298Y1 (ko) 십자수 원단이 부착된 팬티
KR19980086537A (ko) 의류용 장식물의 부착방법
KR200316876Y1 (ko) 기능성 바지
Ampomah Design and production of garments and accessories using macramé technique and locally available yarns
KR200307977Y1 (ko) 칼라에 라벨이 일체로 된 의복
CN2286381Y (zh) 多领衬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