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876Y1 - 기능성 바지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876Y1
KR200316876Y1 KR20-2003-0008156U KR20030008156U KR200316876Y1 KR 200316876 Y1 KR200316876 Y1 KR 200316876Y1 KR 20030008156 U KR20030008156 U KR 20030008156U KR 200316876 Y1 KR200316876 Y1 KR 200316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barrel
functional
auxiliar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영 filed Critical 이수영
Priority to KR20-2003-0008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절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바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7부바지의 바지통부 밑단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보조바지통부의 다양화로 9부바지 및 10부바지로 변경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한가지 의복으로 복수 의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바지{A Functional Breeches}
본 고안은 계절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바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바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지부의 양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바지통부의 밑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지통부로 7부바지, 9부바지 및 10부바지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바지는 남성의 경우, 반바지와 긴바지로 나뉘어지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계절에 따라 무릎위로 밑단이 형성되는 7부바지와, 무릎과 발목 사이에 밑단이 형성되는 7부바지와, 발목에 밑단이 형성되는 9부바지와, 발바닥까지 밑단이 형성되는 10부바지로 나뉘어 진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의 경우에는 바지의 종류와 디자인이 다양하여 비용이 많이 들뿐 만 아니라 자신에 맞는 기호도에 적극적으로 부합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바지는 대부분 긴바지(10부바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착용자기 미리 10부바지를 착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7부바지를 착용해야 하는지 선택해여야 한다. 그러므로 착용자가 최초로 선택해서 입은 옷을 착용하고 외출할 시 마음에 들지 않으면 집으로 다시 들어와 다른 바지를 바꾸어 착용하고 다시 외출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지의 길이에 따라 바지의 종류가 달라짐으로, 재질과 디자인이 비슷한 여러벌의 바지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평시에 착용하는 바지만 자주 입고 다른 바지들은 장농에다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단벌의 의상으로 여러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계절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바지의 길이를 조절할수 있어 한가지 바지로 복수 바지 효과를 갖질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7부바지의 바지통부 밑단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보조바지통부의 다양화로 9부바지 및 10부바지로 변경하여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중앙에 높이방향을 따라 지퍼가 구비되는 바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무릎과 발목 사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밑단이 형성되는 바지통부와, 상기 바지통부의 밑단이 서로 상통하도록 결합되는 소정길이의 보조바지통부와, 상기 바지통부 및 보조바지통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바지통부의 밑단 및 보조바지통부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암프레스버튼 및 숫프레스버튼과, 상기 바지통부의 밑단 외측 및 보조바지통부의 상단 내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각 암프레스버튼 및 숫프레스버튼이 일정간격마다 장착되는 제 1밴드부 및 제 2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지통부는 상기 바지통부와 더불어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바지통부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기 바지통부과 달리 털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지통부 및 보조바지통부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차단되도록 상기 바지통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 1밴드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 1밴드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향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바지부 20: 바지통부
21: 제 1밴드부 21a: 암프레스버튼
30: 보조바지통부 31: 제 2밴드부
31a: 숫프레스버튼 40: 장식부
100: 기능성 바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지에 대해서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100)는 계절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바지통부(20)의 길이를 조절하여 7부 및 10부바지로 입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지(100)는 지퍼가 구비되는 바지부(10)와, 상기 바지부(10)의 양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바지통부(20)와,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지통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바지통부(20)는 상기 바지부(10)의 지퍼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부분이다. 이 때 상기 바지통부(20)는 그 밑단이 무릎과 발목 사이의 해당지점에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형상은 7부바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에는 내부가 상통하는 별도의보조바지통부(3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바지통부(20)와 보조바지통부(30)는 각각 밑단 및 상단에 제 1밴드부(21)와 제 2밴드부(31)가 봉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밴드부(2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17개의 암프레스버튼(21a)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바지통부(20)의 외주연에 봉재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 1밴드부(21)의 상부로는 상기 바지통부(20) 밑단의 마감재로서 상기 제 1밴드부(21)를 덮을 수 있도록 실크로 이루어진 레이스 형태의 장식부(40)가 봉재 결합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바지부(10)를 외부에서 보았을 경우, 밑단이 레이스로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평시에는 상기 바지부(10)만을 착용하여 일반적인 7부바지로만 착용할 수도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40)는 실크 재질의 레이스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 상기 바지부(10)와 동일 재질를 갖는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인조가죽, 천연가죽 및 모피털로 이루어진 가죽류도 본 고안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지통부(30)의 상단은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 외측에 봉재결합된 제 1밴드부(2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바지통부(30)의 상단 내측으로는 숫프레스버튼(31a)이 구비된 제 2밴드부(31)가 봉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밴드부(31)는 상기 제 1밴드부(21)의 각 암프레스버튼(21a)과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17개의 숫프레스버튼(31a)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바지통부(20)의 외측에 봉재 결합된 제 2밴드부(31)에 대응시켜 손으로 압박 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스버튼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바지통부(30)는 상기 바지통부(20)와 결합시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바지통부(20)의 하단을 절개한 나머진 부분을 재활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조바지통부(30)의 밑단은 성인의 발목이하, 즉 성인의 발바닥 해당부위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과 결합하였을 경우 10부바지의 형태로 입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에 소정길이의 보조바지통부(30)를 결합하여 7부바지의 형태로 입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바지통부(20)의 밑단에는 털실로 이루어진 보조바지통부(30) 결합하여 보온성과 새로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지통부(30)는 털실을 상기 바지통부(20)의 내경에 마추어 짠 것으로, 상단 내측으로는 17개의 숫프레스버튼(31a)이 구비된 제 2밴드부(31)가 봉재 결합된다.
때문에 상기 7부바지 형태의 바지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발목으로 상기 보조통바지부(1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 다음, 전혀 새로운 코디를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지(100)에 있어서, 상기 바지통부에(20) 봉재 결합된 암프레스버튼(21a)을 포함하는 제 1밴드부(21)와, 상기 보조바지통부(30)에 봉재결합된 숫프레스버튼(31a)을 포함하는 제 2밴드부(31)를 상호간 교체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스버튼의 개수가 17개 인 것 이외에, 상기 바지부(10)의 사이즈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지통부(20) 및 보조바지통부(30)의 결합부위가 프레스버튼을 포함하는 밴드(21, 31)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 지퍼, 벌크로테잎 및 단추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을 대퇴부와 무릎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5부바지 형태로도 착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바지통부(30)의 밑단은 무릅과 발목 사이 해당지점에 형성하여, 상기 바지통부(20)와 결합할시 7부바지의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식부(40)가 레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 가죽으로 이루어진 매듭이나, 상기 바지통부(20)와 동일 재질의 레이스에 자수와 같은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바지통부(30)의 밑단을 착용자의 발목길이 만큼으로 제작하여 상기 바지통부(20)와 결합시 9부바지 형태로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버튼(21a, 31a)을 사용하여 치마나 티셔츠의 소매와 같은 의복에서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바지에 따르면, 계절에 따라 바지의 길이를 조절하고, 또한 별도로 분리되는 보조바지통부의 다양화로, 한가지 의복으로 복수 의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른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바지통부와 보조바지통부의 분리 결합으로, 때가 많이 묻는 보조바지통부만을 별도로 세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의복 자체의 수명을 연장하고 부수적으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중앙에 높이방향을 따라 지퍼가 구비되는 바지부(10);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무릅과 발목 사이에 해당되는 지점에 밑단이 형성되는 바지통부(20);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이 서로 상통하도록 결합되는 소정길이의 보조바지통부(30);
    상기 바지통부(20) 및 보조바지통부(30)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과 보조바지통부(3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암프레스버튼(21a) 및 숫프레스버튼(31a); 및
    상기 바지통부(20)의 밑단 외측 및 보조바지통부(30)의 상단 내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각 암프레스버튼(21a)이 일정간격마다 장착되는 제 1밴드부(21) 및 제 2밴드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지통부(30)는 상기 바지통부(20)와 더불어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지통부(30)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기 바지통부(20)과 달리 털실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통부(20) 및 보조바지통부(30)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차단되도록 상기 바지통부(20)의 하단에는 상기 제 1밴드부(2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 1밴드부(21)를 덮을 수 있도록 하향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장식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KR20-2003-0008156U 2003-03-19 2003-03-19 기능성 바지 KR200316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56U KR200316876Y1 (ko) 2003-03-19 2003-03-19 기능성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56U KR200316876Y1 (ko) 2003-03-19 2003-03-19 기능성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876Y1 true KR200316876Y1 (ko) 2003-06-19

Family

ID=4940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156U KR200316876Y1 (ko) 2003-03-19 2003-03-19 기능성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29A (ko) 2021-12-28 2023-07-05 정수영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청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829A (ko) 2021-12-28 2023-07-05 정수영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청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537A (en) Detachable multisectional hosiery
US5729836A (en) Detachable multisectional body stocking hosiery
US7971272B2 (en) Expandable children garment with an improved adjustable feature
US8185970B2 (en) Faux-shirt girdle
US6076187A (en) Elacticized form fitting shirt
US20070214547A1 (en) Interchangeable Garment
US20140304893A1 (en) Pants with Interchangeable Gusset Inserts
US4866791A (en) Woman&#39;s convertible shirt
US6226800B1 (en) Thonged hosiery garment
US20160278439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US7712154B1 (en) Cheekers
KR200316876Y1 (ko) 기능성 바지
KR200404490Y1 (ko) 간편 상의
Kumar et al. Elucidation of the Indian salwar kameez
CN217184899U (zh) 运动无束缚感外套
JP3205203U (ja) 多用途浴衣
CN214710415U (zh) 一种外穿式时尚点缀个性裤袜
CN219270201U (zh) 一种内置橡筋腰头牛仔裤
CN219982191U (zh) 一种透气保暖的针织开衫
CN211793659U (zh) 一种宠物服
CN201612211U (zh) 具有服装结构的鞋
KR101890728B1 (ko) 피케셔츠
JP3062695U (ja) 動作適応可能な衣服
CN210203420U (zh) 不规则下摆连衣裙
CN110074479B (zh) 滑爽型色纺女士居家服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