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40Y1 - 분통 - Google Patents

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40Y1
KR200297640Y1 KR2020020019994U KR20020019994U KR200297640Y1 KR 200297640 Y1 KR200297640 Y1 KR 200297640Y1 KR 2020020019994 U KR2020020019994 U KR 2020020019994U KR 20020019994 U KR20020019994 U KR 20020019994U KR 200297640 Y1 KR200297640 Y1 KR 200297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utton
jaw
lid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김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열 filed Critical 김중열
Priority to KR2020020019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4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분첩이 구비되어진 분통에 관한 것으로 사용의 편의성과 구조의 간편화를 위하여 분통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 다단으로 구성된 분통이 탈착토록 하기 위하여는 하부분통의 상단에는 단턱테를 구비하여 단턱테에 삽입부와 끼임부를 갖고 상부분통의 하단에는 단턱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격실을 갖도록 하고 상기 격실의 내벽에는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갖게 됨으로서 상부분통과 하부분통을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에 맞추지 않을 경우에는 쉽게 결합되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뚜껑의 개폐를 위한 시건장치를 상부분통의 전방을 천공하여 버튼이 전방으로 노출토록 한 후 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탄력지지대가 버튼의 가압에 의한 반동을 받도록 상부분통의 내부에는 별도의 받침수단을 갖는 내통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분통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던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부분통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가이드부에 의한 안내수단에 의하여 끼임부와 연결토록 함으로서 자동적으로 끼이도록 하였고, 시건장치도 분첩에 격실을 구비하여 격실에 절첩버튼을 내입토록 함으로서 내통의 사용이 없이 간편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분첩

Description

분통{A powder contianer}
본 고안은 분통에 관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구분되어짐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편의성을 갖도록 되는 분통에 관한 것이고, 특히 탈착시의 용이성과 뚜겅의 개폐를 위한 수단의 사용에도 분통의 구조를 간단하게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약한 피부는 마찰이나 습에 의하여 피부의 손상 등이 발생됨으로 통상 분을 이러한 부분에 도포함으로서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시켜 피부의 손상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을 저장하는 용기는 통상 원형의 통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분을 넣고 분첩을 이용하여 분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나 이러한 분의 사용이 피부의 사용부위에 따라 분첩의 형태가 달라지게 됨으로 복수개의 분통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분통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분통의 구조는 분통이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분통은 탈착되어지도록 됨으로서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탈착시키면서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탈착을 위한 수단이 적층되어지는 또 다른 분통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질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개구되어지는 삽입부와 삽입부에서 일정폭으로 끼임부를 갖도록 된 하단부로 이루어져 결합돌기를 삽입부에 삽입코자할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고, 만일 찾지 못할 경우에는 쉽게 결합이 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결합된 이후에도 플라스틱의 수축 팽창에 의하여 결합돌기가 끼임부에서 임의대로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뚜껑의 개폐를 위한 시건장치를 분통의 전방을 천공하여 형성된 구멍에 노출되어지도록 버튼이 구비되고, 버튼의 후단으로는 뚜껑에 형성된 내향턱과 맞물리도록 외향턱이 돌설되어지도록 되고, 그 후방으로는 양측으로 벌어진 탄력지지대가 구비토록 하고, 상기 탄력지지대는 버튼의 가압에 의한 반동을 받도록 분첩의 내부에 받침수단을 갖는 내통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분통과 별도의 내통이 구비되어야 함으로 그의 조립구조가 복잡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분통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길게 연장되어지는 가이드부에 의한 안내수단에 의하여 끼임부와 연장되게 형성토록 하고, 삽입부와 연결되어지는 끼임부에는 별도의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끼임부에 끼여질 경우에 가압되면서 꽉물리어지도록 함으로서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시건장치도 분통에 격실을 구비하여 격실에 절첩버튼을 내입토록 함으로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상부분통 11 : 격실
12 : 지지판 12a: 만곡면
13 : 외향턱 14 : 버튼
15 : 힌지핀 16 : 해지돌기
17 : 수용실 18 : 결합돌기
20 : 하부분통 21 : 단턱테
22 : 가이드테 23 : 끼임부
24 : 턱 25 : 걸림돌기
30 : 뚜껑 31 : 개구부
32 : 힌지핀 33 : 내향턱
34 : 끼임돌축 40 : 받침대
41 : 받침수용실 42 : 받침결합돌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통은 크게 뚜껑(30)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면서 개폐토록 하는 상부분통(10)과 상부분통과 결합되는 하부분통(20)과 하부분통의 하단이나 하부분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받침대(4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때 상부분통에서 절첩되어지는 뚜껑(30)은 상부분통(10)의 후단에 돌설되어진 지지판(12)과 지지판에 끼워지는 개구부(31)를 갖는 뚜껑이 힌지핀(32)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것이고, 뚜껑의 절첩시에도 뚜껑과 상부분통의 긴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12)의 후단은 만곡면(12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뚜껑의 개폐를 위한 시건장치는 뚜껑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3)이 형성되는 끼임돌축(34)과 상기 끼임돌축(34)이 출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상부분통(10)의 격실(11)의 내측의 후단으로는 끼임돌축(34)의 내향턱(33)과 맞물리도록 외향턱(13)을 형성하고, 좌우측단으로는 절환되어지는 버튼(14)이 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핀(15)에 의하여 절환되어지도록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개구되어지는 전단으로는 버튼(14)의 해지돌기(16)가 형성되어 끼임돌축(34)의 선단(34a)을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서 맞물려 있는 내향턱(33)과 외향턱(13)을 해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분통과 하부분통의 탈착을 위하여는 하부분통의 상단에는 상부분통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실(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턱테(21)를 구비하고, 상기 단턱테(21)에는 턱이지게 가이드테(22)를 구비하고, 가이드테(22)와 연장되는 끼임부(23)의 전단으로는 가이드테(22)와 동일선상보다 하향되게 턱(24)이지도록 형성하면서 끼임부(23)를 갖도록 하고, 상기 끼임부(23)에는 걸림돌기(25)를 형성하여 걸림돌기(25)와 맞물리는 수용실(17)의 결합돌기(18)가 가압되어지면서 끼임부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내측에 안착되어지면서 상부분통(10)과 하부분통(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대로 탈리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분통이 2단일 경우에는 하부분통의 하단에도 상단과 동일한 단턱테의 구조를 갖도록 하고, 그 하단에 받침대를 장착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분통이 3단일 경우에는 하부분통의 하단은 상부분통의 하단과 동일한 결합돌기(18)를 갖는 수용실(17)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다단으로서의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대(40)의 구조는 받침수용실(41)을 갖고 수용실의 내벽으로는 받침결합돌기(42)가 형성토록 됨으로서 결합된 상태에서는 받침대로서의 역할과 또한 분리되어지는 분통에서는 덮개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분통의 구조에 있어서, 뚜껑(30)의 시건장치가 상부분통(10)에 형성된 격실(11)에 의하여 버튼(14)이 장착되어짐으로 구조의 간편화는 물론 외관의 미려함을 갖추게 되는 것이고, 뚜껑(30)과 상부분통(10)의 결합이 지지판(12)의 만곡면(12a)에 의한 결합이기 때문에 뚜껑(30)이 절첩될 경우에도 틈이 없이 긴밀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부분통(10)과 하부분통(20)의 결합시 가이드테(22)에 의한 끼임부(23)의 결합으로 인하여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결합된 이후에는 끼임부(23)의 걸림돌기(25)에 의하여 수용실(17)의 결합돌기(18)가 안착되어짐으로 임의대로 결합된 상태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통의 구조의 간편화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이러한 구조의 변화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Claims (4)

  1. 뚜껑(30)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면서 개폐토록 하는 상부분통(10)과 상부분통과 결합되는 하부분통(20)과 하부분통의 하단이나 하부분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받침대(40)로 이루어진 분통에 있어서, 하부분통의 상단에는 상부분통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실(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턱테(21)를 구비하고, 상기 단턱테(21)에는 턱이지게 가이드테(22)를 구비하고, 가이드테(22)와 연장되는 끼임부(23)의 전단으로는 가이드테(22)와 동일선상보다 하향되게 턱(24)이지도록 형성하면서 끼임부(23)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부(23)에는 걸림돌기(25)를 형성하여 걸림돌기(25)와 맞물리는 수용실(17)의 결합돌기(18)가 가압되어지면서 끼임부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내측에 안착되어지면서 상부분통(10)과 하부분통(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대로 탈리되지 못하도록 한 분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분통에서 절첩되어지는 뚜껑(30)은 상부분통(10)의 후단에 돌설되어진 지지판(12)과 지지판에 끼워지는 개구부(31)를 갖는 뚜껑이 힌지핀(32)에 의하여 절첩되어지고, 지지판(12)의 후단은 만곡면(12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4. 제1항에 있어서, 뚜껑의 개폐를 위한 시건장치는 뚜껑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3)이 형성되는 끼임돌축(34)과 상기 끼임돌축(34)이 출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상부분통(10)의 격실(11)의 내측의 후단으로는 끼임돌축(34)의 내향턱(33)과 맞물리도록 외향턱(13)을 형성하고, 좌우측단으로는 절환되어지는 버튼(14)이 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핀(15)에 의하여 절환되어지도록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개구되어지는 전단으로는 버튼(14)의 해지돌기(16)가 형성되어 끼임돌축(34)의 선단(34a)을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서 맞물려 있는 내향턱(33)과 외향턱(13)을 해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통.
KR2020020019994U 2002-07-03 2002-07-03 분통 KR200297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994U KR200297640Y1 (ko) 2002-07-03 2002-07-03 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994U KR200297640Y1 (ko) 2002-07-03 2002-07-03 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40Y1 true KR200297640Y1 (ko) 2002-12-12

Family

ID=7312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994U KR200297640Y1 (ko) 2002-07-03 2002-07-03 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14A (ko) * 2015-01-21 2016-07-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의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014A (ko) * 2015-01-21 2016-07-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의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화장품 용기
KR101710897B1 (ko) * 2015-01-21 2017-02-2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품의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10584S1 (en) Portable digital multimedia jukebox
USD450570S1 (en) Cord end
USD449684S1 (en) Inhaler
USD438004S1 (en) Vacuum resealable display and storage cas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8434640B2 (en) Release system for container
USD447866S1 (en) Handbag
USD448167S1 (en) Storage container
USD437711S1 (en) Hair accessory and jewelry organizer
USD497547S1 (en) Container for dry batteries
USD494464S1 (en) Container for dry batteries
KR200297640Y1 (ko) 분통
USD432166S (en) Organizer
KR20100006684A (ko)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0608457B1 (ko) 사물함
USD489253S1 (en) Container for dry batteries
USD472013S1 (en) Cigarette packet with hinged lid
USD470665S1 (en) Folding mirror with sliding door storage compartment
US20050166949A1 (en) Assembled umbrella receiver
USD479645S1 (en) Medical instrument container
CN217893705U (zh) 一种半掀盖式湿巾盒
KR200192322Y1 (ko) 서류 보관함이 형성된 자전거
KR200297624Y1 (ko) 분통
JP3051209U (ja) 携帯用灰皿
KR200333153Y1 (ko) 샤프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