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063Y1 - 접착식 전선 - Google Patents

접착식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63Y1
KR200297063Y1 KR2020020027635U KR20020027635U KR200297063Y1 KR 200297063 Y1 KR200297063 Y1 KR 200297063Y1 KR 2020020027635 U KR2020020027635 U KR 2020020027635U KR 20020027635 U KR20020027635 U KR 20020027635U KR 200297063 Y1 KR200297063 Y1 KR 200297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dhesive
electric wire
electric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7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63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벽 등에 편리하게 고정 설치되면서 전선 상호간의 접합이 용이한 접착식 전선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 코어부와, 전선 코어부를 둘러싸는 전선 피복부를 포함하는 전선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외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한 제 1 표면;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1 접착면; 이웃하는 타 전선의 전선 피복부의 대응 외부 표면과 동일한 단면 모양을 가지는 제 2 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전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착식 전선{An Adhesive Wire}
본 고안은 전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벽 등에 편리하게 고정 설치되면서 전선 상호간의 접합이 용이한 접착식 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전화기, 오디오, 비디오,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등의 전기·전자제품이 많이 사용되며 그 사용을 위해서는 각각의 제품에 전기신호 내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부로부터 전기·전자제품까지를 연결하여 주는 전선이 필요하다.
그런데, 예를 들어 스피커선, 전화선, 유선방송케이블, 고속인터넷통신회선 등 전원 내지 본체로부터 전기·전자제품까지의 연결 거리가 긴 경우에는 전선 고정에 따른 어려움이 따르며, 예를 들어 기존 전선을 사용하여 1M 이상의 장거리간 연결할 때 선 정리가 불편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연속된 전선의 일정 거리마다 고정못이나 건카터를 이용하여 전선을 벽면에 고정하거나, 몰딩(쫄대)을 이용하여 일정 구간의 전선 전체를 숨기면서 벽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고정못, 건카더, 쫄대 등 전선 이외의 추가 장치가 필요하므로 사용시 추가적인 비용이 들고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한 가닥의 전선이 아니라 전화선, 유선방송케이블, 고속인터넷통신회선 등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한 묶음으로 결속하여 벽면의 미감 내지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전선고정용 타이(Tie) 등을 이용하여 여러 묶음의 전선을 타이의 돌출판 내부에 압착하여 결속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 또한 추가 장치가 필요하고 미관상으로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에 효과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동시에 여러 전선을 동시에 결속하기에도 용이한 접착식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식 전선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전선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사각형 전선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선 코어부와 전선 코어부를 둘러싸는 전선 피복부를 포함하는 전선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외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한 제 1 표면;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1 접착면; 이웃하는 타 전선의 전선 피복부의 대응 외부 표면과 동일한 단면 모양을 가지는 제 2 표면;을 포함하는 접착식 전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2 접착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전선 피복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삼각형 내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착식 전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식 전선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착식 전선(10)은 다수의 전선 코어부(12a, 12b, 12c)와 전선 코어부를 둘러싸는 전선 피복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 코어부(12a, 12b, 12c)는 양호하게는 구리선 기타 전도체를 재료로 하는 선으로 구성되어 전기적 신호, 전원 등을 대상 제품에 제공하는 전달 통로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선 피복부(14)는 상기 전선 코어부(12a, 12b, 12c)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외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한 제 1 표면(14a) 및 이웃하는 타 전선과의 접착을 위한 제 2 표면(14b)을 포함한다. 전선 피복부(14)의 단면 모양은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외부 벽면 및 타 전선과의 접착을 위하여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며, 도 1에서는 그 일예인 삼각형을 도시한다.
상기 제 1 표면(14a)은 그 위에 외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층으로 형성된 제 1 접착면(16)이 구비된다. 즉, 제 1 접착면(16)의 접착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표면(14a)이 외부 벽면에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전선(10)이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표면(14b)은 이웃하는 타 전선과의 접착을 위하여 타 전선의 전선 피복부의 대응 외부 표면과 동일한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표면 위에는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2 접착면(18)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2 접착면(18)의 접착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 2 표면(14b)이 이웃하는 타 전선의 대응 표면과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선(10)이 이웃하는 전선과 결속된다. 그러나, 이웃하는 타 전선의 대응 표면 위에 형성된 접착면의 접착력으로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전선(10)이 반드시 제 2 접착면(18)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전선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좌측 전선(10)의 제 2 표면(14b)이 중간 전선(20)의 제 2 표면(24b) 위에 형성된 제 2 접착면(28)과 접착되며, 중간 전선(20)의 또 다른 제 2 표면(24b)이 우측 전선(30)의 제 2 표면(34b) 위에 형성된 제 3 접착면(38)과 접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세 개의 전선(10, 20, 30)이 하나로 결속된다. 각 전선은 동일한 삼각형 단면 형상이므로 삼각형의 한 면 상에 형성된 제 2 접착면(28, 38)을 통해 이웃 삼각형과 용이하게 접속되며, 또한 삼각형의 다른 면 상에 형성된 접착면(16, 36)을 통하여 벽면과 용이하게 접속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전선의 단면도이다. 사각형 전선(40) 또한 도 1의 삼각형 전선과 유사하게 다수의 전선 코어부(42a, 42b, 42c, 42d)와 전선 피복부(44)로 이루어지며, 전선 피복부(44)는 제 1 표면(44a), 제 2 표면(44b), 제 1 접착부(46)를 포함하며, 또한 제 2 접착부(4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수의 사각형 전선(40, 50, 60, 70, 80, 90)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나의 전선 상에 형성되는 제 1 표면, 제 2 표면, 제 1 접착부, 제 2 접착부의 수는 다각형의 면 수에 따라 또는 접착이 요구되는 외부 벽면의 모양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상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의 이해를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당업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외부 벽면에 용이하게 접착되는 동시에 다수의 전선을 하나로 결속하기에도 용이한 전선을 제공하여 전선의 접착 및 정리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각형, 사각형 등 정리된 다각형 형상의 전선을 제공하여 미관상으로도 수려한 형태를 지니면서 벽면 등에 고정되며 상호간 결속되는 전선을 제공한다.

Claims (5)

  1. 전선 코어부와, 전선 코어부를 둘러싸는 전선 피복부를 포함하는 전선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외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한 제 1 표면;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1 접착면;
    이웃하는 타 전선의 전선 피복부의 대응 외부 표면과 동일한 단면 모양을 가지는 제 2 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제 2 접착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전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전선.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접착식 전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피복부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전선.
KR2020020027635U 2002-09-14 2002-09-14 접착식 전선 KR200297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35U KR200297063Y1 (ko) 2002-09-14 2002-09-14 접착식 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35U KR200297063Y1 (ko) 2002-09-14 2002-09-14 접착식 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063Y1 true KR200297063Y1 (ko) 2002-11-30

Family

ID=7307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635U KR200297063Y1 (ko) 2002-09-14 2002-09-14 접착식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0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1591A1 (en) Cable for Display and Television System
CA2417067A1 (en) Electrical cable and method
US8916774B2 (en) Posable electrical cable
DE50002024D1 (de) Verbindungskabel mit elektrischer steckverbindung sowie kabelmanager
CN101884229A (zh) 听力设备的挠性连接器
KR200297063Y1 (ko) 접착식 전선
EP1215759A3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JP2000285747A (ja) 高周波同軸ケーブル
US6635826B2 (en) Flat cable
CN111799582B (zh) 一种接线端子及传输设备
CN201075316Y (zh) 多用途超薄粘贴式电缆
US20100006319A1 (en) Cable structure
CN2590134Y (zh) 综合电缆
KR200318487Y1 (ko) 몰딩형 전기케이블
KR19990027018A (ko) 전자제품용 연결코드의 접속구조
JP2003346573A (ja) 電力・光複合線
JP2002152953A (ja) 屋内配線用平形ケーブル及びその連結体
CN201285672Y (zh) 带控制线的电焊电缆线
KR200356328Y1 (ko) 통합 오디오 케이블
KR20230086177A (ko) 배선박스와 전선관의 연결구조
JPH08306236A (ja) ユニットケ−ブル用電源ケ−ブル
JP362552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部形成方法
JPH0713179Y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体
WO2002052603A3 (en) Crt having a focus mask with partially conductive insulator
JP200029901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