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970Y1 - 한방용 연속 자침기 - Google Patents

한방용 연속 자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970Y1
KR200296970Y1 KR2020020025352U KR20020025352U KR200296970Y1 KR 200296970 Y1 KR200296970 Y1 KR 200296970Y1 KR 2020020025352 U KR2020020025352 U KR 2020020025352U KR 20020025352 U KR20020025352 U KR 20020025352U KR 200296970 Y1 KR200296970 Y1 KR 200296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s
stored
storage unit
sali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숙
추래흥
Original Assignee
추래흥
윤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래흥, 윤희숙 filed Critical 추래흥
Priority to KR2020020025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970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방용 연속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방용 연속 자침기는, 다수 개의 침이 일렬로 적층되어 저장되는 침저장부와; 침저장부에 침을 투입하기 위한 침투입부와; 시술하려는 위치에 접촉되고 침저장부에 저장된 침이 통과할 수 있는 침배출구가 형성된 침돌출부와; 침저장부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을 침돌출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침이동수단과; 시술시 침저장부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하나를 침돌출부 방향으로 밀어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자침하는 시술조작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사용하면 다수 개의 침을 저장해 두고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시술시간의 단축 및 침의 보관과 관리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한방용 연속 자침기 {THE APPARATUS OF CONTINUOUS PRICKING NEEDLES FOR A HERB DOCTOR}
본 고안은 한의원이나 한방병원 등에서 침을 놓을 때 사용하는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침을 저장해 두고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시술 시간의 단축 및 침의 보관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동양에서 널리 알려진 침술은 침을 인체의 경혈에 꽂아 인체의 음양에 관련된 기를 조절하여 각종 병을 치료하는 한의학의 한 치료법이다.
일반적으로 침술에 사용되는 침은 도 1과 같이 가늘고 긴 강재로 된 침봉의 선단을 연마한 첨예(尖銳)부를 갖으며 그 후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침병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침의 시술은 침병을 손으로 잡고 첨예부를 시술부위에 꽂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침술은 인체의 기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침만을 놓기보다는 다수 개의 침을 인체에 꽂아 기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침을 정확한 시술부위에 놓아야 하므로 심혈을 기울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상당한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많은 환자를 상대하기 때문에 시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침을 한 손에 쥐고 다른 한 손으로 시술하기도 하는데 한 손으로 시술하기 위해서는 많은 숙련이 필요하고, 한 손에 많은 침을 쥐는 경우 침에 손을 자주 찔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시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다수 개의 침을 소독된 거즈에 미리 꽂아 준비해 두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의료진들이 상당한 시간을 들여야 하는 반면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 의료진이 많은 환자를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서 더욱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침관에 침을 삽입한 후 시술부위에 대고 삽입된 침의 침병을 손끝으로 쳐서 시술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 침관에 침을 미리 삽입, 고정해 두고 손끝으로 침을 쳐서 시술하는 한방용 침(실용신안등록 제0250631호, 출원번호 20-2001-0021180호)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침관을 사용한 방법도 시술시간을 조금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침을 저장해 두고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침의 보관과 관리가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시술시 간단한 조작만으로 시술함으로써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침술에 사용되는 침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사용하여 침을 시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침이동수단을 뒤로 밀어 침투입부를 개방시킨 후 침을 투입하는 상태의 개략도
B: 투입된 침이 침이동수단에 의하여 일렬로 정렬되고 침투입부가 닫힌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다수 개의 침을 한 번에 투입할 수 있는 침투입부가 침저장부의 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저장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침저장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침이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이동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이동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저장부 11. 침병이 접촉되는 부분
12. 덮개 13. 가이드돌기
20. 침돌출부 21. 침배출구
30. 침 31. 침병
32. 침몸 33. 첨예부
40. 시술조작부 41. 가이드구멍
42. 케이스부 43. 가이드봉
44. 조작용스프링 45. 이탈방지수단
46. 시술봉 47. 깊이조정수단
50. 침투입부 60. 침이동수단
61. 이동판 62. 탄성체
63. 이동판고정수단 70. 피부
본 고안은 한의원이나 한방병원 등에서 침을 놓을 때 사용하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방용 연속 자침기는
다수 개의 침이 일렬로 적층되어 저장되는 침저장부와;
침저장부에 침을 투입하기 위한 침투입부와;
시술하려는 위치에 접촉되고 침저장부에 저장된 침이 통과할 수 있는 침배출구가 형성된 침돌출부와;
침저장부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을 침돌출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침이동수단과;
시술시 침저장부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하나를 침돌출부 방향으로 밀어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자침하는 시술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저장부(10)는 다수 개의 침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50개 정도의 침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한 손에 가볍게 파지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30)은 침돌출부(20)를 통하여 시술되고 배출되어야 하는데 시술부위에는 한 개의 침만이 시술되어야 하기 때문에 저장된 침(30)은 순서대로 하나 씩 배출되어야 한다. 저장된 침(30)을 하나 씩 순서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된 침(30)을 일렬로 적층시켜 배출될 위치에 하나 씩 놓이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침을 일렬로 적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침저장부(10)의 크기를 침병(31)의 직경 및 침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하여 저장된침(30)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침저장부(10)에 저장되어 시술 준비중인 침(30)이 시술조작부(40)에 의하여 시술되었을 때 시술된 침의 침병(31)부분을 비롯한 대부분은 침저장부(10)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위로 들어올리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술된 침이 침저장부(10)에 존재할 때에는 시술된 침이 시술준비중인 다른 침과 접촉되어 시술된 침을 자침기로부터 이탈시키려 할 때 잘 빠져나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저장부(10)는 시술 준비중인 침의 침병이 접촉되는 부분(11)에 침병 두께의 1/2정도 두께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술된 침이 침저장부(10)에 존재하고 새로운 침이 시술된 침이 위치하던 자리에 새롭게 위치되더라도 두 침이 서로 접촉되지 않아 시술된 침을 침저장부(10)으로부터 이탈시킬 때 매끄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 설사 시술 준비중인 침과 시술된 침이 다소 접촉된다 하더라도 침몸(32)과 침병(31)이 접촉되는 정도이어서 두 침이 접촉된 부분의 마찰력은 매우 미세한 정도이므로 시술된 침을 이탈시키는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침저장부(10)는 저장되어 순서대로 이동되는 침의 첨예부(33)가 침저장부(10)의 바닥부분에 닿지 않도록 하여 침의 첨예부(33)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도 6과 같이 침저장부(10)에 저장되어 이동되는 다수 개의 침 중 시술될 위치에 놓인 침을 제외한 침의 침병(31) 밑부분을 받쳐 이동되는 침(30)의 첨예부(33)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돌기(13)를 침저장부(10)에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이 가이드돌기(13)에 걸려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므로 침(30)의 첨예부(33)가 바닥에 닿지 않으며, 침(30)이 이동시에 큰 저항없이 부드럽게 이동된다. 물론 가이드돌기(13)가 시술될 위치에 놓인 침의 침병 밑부분은 받치지 않고 있으므로 시술될 위치에 놓인 침은 가이드돌기(13)에 걸리지 않고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투입부(50)는 침저장부(10)에 다수 개의 침을 투입할 수 있는 곳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 및 도3과 같이 침배출구(21)의 뒤쪽에 형성하되 다수 개의 침을 투입한 후 침이동수단(60)을 조립하고 침투입부(50)를 덮개(12)로 막도록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또, 도 4와 같이 침을 하나 씩만 투입하도록 침투입부(50)의 크기를 침의 크기보다 조금 만 크게 형성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도 5와 같이 침저장부(10)의 측면에 다수 개의 침을 동시에 투입할 수 있는 침투입부(50)를 설치하여 한 번에 다수 개의 침을 투입한 후 투입된 침을 침저장부(10)에 일렬로 나열시키고 개폐된 침투입부(50)를 닫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돌출부(20)는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중 시술 준비중인 침(30)이 시술조작부(40)의 작동에 의하여 시술된 후 배출되는 곳이다. 따라서 침돌출부(20)는 시술하려고 하는 인체 부위에 직접 접촉된다. 그러므로 침돌출부(20)를 뾰족한 형태로 돌출 시켜 침돌출부(20)가 어느 부분에 접촉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침을 원하는 시술부위에 보다 정확히놓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침이동수단(60)은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시술 준비중인 침이 시술되어 배출되면 저장된 다른 침이 시술 준비상태가 되도록 소정의 위치로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3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침이동수단(6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상기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과 접촉되는 이동판(61)과, 일측이 이동판(61)과 접촉되어 탄성력으로 이동판(61)을 밀어주는 탄성체(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술 준비중인 침이 시술되어 전진되면 시술된 침이 위치되었던 자리에 뒤쪽의 침이 자동으로 위치되어 시술 준비중인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동판(61)을 밀어주는 탄성체(62)로는 스프링이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침이 자동적으로 이동되는데 시술자의 조작으로 침의 이동과 멈춤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상기와 같이 이동판(61)과 탄성체(62)를 갖는 구조에서 이동판(61)이 탄성체(62)에 의하여 밀릴 때 소정의 위치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하는 이동판고정수단(63)을 추가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침이동수단(60)의 다른 예로는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과 접촉되는 이동판(61)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침을 시술할 때마다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시술조작부(40)는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하나를 침돌출부(20) 방향으로 밀어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자침할 수 있도록 시술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시술조작부(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2와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도 2의 시술조작부(40)는, 가이드구멍(41)이 형성된 케이스부(42)와, 일측이 가이드구멍(41)에 삽입되고 타측이 케이스부(42)의 외부로 돌출 되며 가이드구멍(4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봉(4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일측이 가이드봉(43)과 연결되어 가이드봉(43)을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가이드봉(43)을 케이스부(4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조작용스프링(44)을 갖는다. 또, 가이드봉(43)이 조작용스프링(44)에 의하여 밀릴 때 소정의 길이 이상 밀리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45)을 구비하고 있다. 또,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의 상부에 위치되고 가이드봉(43)과 함께 움직이며 가이드봉(43)이 케이스부(42)의 내측으로 움직일 때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하나를 침돌출부(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시술봉(4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45)으로는 가이드봉(43)에 너트를 체결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시술부위에 침돌출부(20)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이드봉(43)을 누르면 가이드봉(43)과 함께 시술봉(46)이 케이스부(42)의 내측으로 내려가고 가이드봉(43)이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시술 준비중인 침을 밀어 침을 시술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술된 침은 일부가 침저장부(10)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한방용 연속 자침기를 위로 들어올려 자침기로 부터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이탈된 침은 한 손을 사용하여 시술부위에 조금 더 깊이 꽂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침이 접촉되는 부분은 위생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침이 시술조작부(40)에 의하여 시술될 때 시술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깊이조정수단(4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깊이조정수단(47)으로는 도 2 및 도3과 같이 가이드봉(43)에 너트를 체결하여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 가이드봉(43)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침돌출부(10)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 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70은 시술되는 피부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 개의 침을 저장해 두고 저장된 침을 시술부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시술 준비를 위한 침의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하고, 시술시 간단한 조작만으로 연속적인 시술을 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침이 침돌출부를 통해 시술되기 때문에 침을 시술부위에 보다 정학히 시술할 수 있어 심혈을 기울여 침을 시술하여야 하는 정신적 피로에서 벗어날 수 있다.

Claims (5)

  1. 수지침 시술에 사용되는 용품에 있어서,
    다수 개의 침이 일렬로 적층되어 저장되는 침저장부(10)와;
    상기 침저장부(10)에 침을 투입하기 위한 침투입부(50)와;
    시술하려는 위치에 접촉되고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30)이 통과할 수 있는 침배출구(21)가 형성된 침돌출부(20)와;
    상기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을 침돌출부(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침이동수단(60)과;
    시술시 상기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30) 중 하나를 침돌출부(20) 방향으로 밀어 저장된 침(30)을 시술부위에 자침하는 시술조작부(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저장부(10)는 시술 준비중인 침의 침병이 접촉되는 부분(11)이 침병(31) 두께의 1/2정도 두께로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저장부(10)는 시술 될 위치에 놓인 침을 제외한 침의 침병 밑부분을 받쳐 침의 첨예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돌기(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연속자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이동수단(60)은
    상기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과 접촉되는 이동판(61)과;
    일측이 상기 이동판(61)과 접촉되어 탄성력으로 이동판(61)을 밀어주는 탄성체(62)와;
    상기 이동판(61)이 탄성체(62)에 의하여 밀릴 때 소정의 위치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하는 이동판고정수단(6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조작부(40)는
    가이드구멍(41)이 형성된 케이스부(42)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구멍(41)에 삽입되고 타측이 케이스부(42)의 외부로 돌출 되며 가이드구멍(4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봉(43)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봉(43)과 연결되어 가이드봉(43)을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가이드봉(43)을 케이스부(4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조작용스프링(44)과;
    상기 가이드봉(43)이 조작용스프링(44)에 의하여 밀릴 때 소정의 길이 이상밀리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45)과;
    상기 침저장부(10)에 저장된 침의 상부에 위치되고 가이드봉(43)과 함께 움직이며, 가이드봉(43)이 케이스부(42)의 내측으로 움직일 때 침저장부(10)에 저장된 다수 개의 침 중 하나를 침돌출부(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시술봉(4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2020020025352U 2002-08-26 2002-08-26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200296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52U KR200296970Y1 (ko) 2002-08-26 2002-08-26 한방용 연속 자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52U KR200296970Y1 (ko) 2002-08-26 2002-08-26 한방용 연속 자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843A Division KR100497115B1 (ko) 2002-07-18 2002-07-18 한방용 연속 자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970Y1 true KR200296970Y1 (ko) 2002-12-05

Family

ID=7312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352U KR200296970Y1 (ko) 2002-08-26 2002-08-26 한방용 연속 자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26B1 (ko) 2005-12-06 2007-06-18 정하철 한방용 침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26B1 (ko) 2005-12-06 2007-06-18 정하철 한방용 침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8852C (zh) 植入设备
RU2361627C2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введения имплантата
US60539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ant removal
EP2653148B1 (en) Safety needle
JP3398170B2 (ja) 植込みデバイス
US20130211374A1 (en)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Proportional Injection, Extraction during the Syringe's Insertion, Retraction
KR100497115B1 (ko)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20070112144A (ko) 임플란트 삽입용 어플리케이터
US20150238698A1 (en) Aspiration syringe accessory
JP2016511089A (ja) 失禁スリング及び配送装置
JP7011469B2 (ja) 尿失禁の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
KR200296970Y1 (ko) 한방용 연속 자침기
EP3087951B1 (en) Breast implant introducer
US11109885B2 (en) Buttonhole tool
US9149585B2 (en) Multi-needle injection device
CN216022483U (zh) 一种用于美容的无痛注射美肤仪
WO2016007004A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tennis elbow by means of percutaneous intervention, as well as a holder for use with such an apparatus
CN2536238Y (zh) 一次性注射式埋线针
CN218607366U (zh) 穴位埋线针具
CN216754567U (zh) 一种穴位埋线针
CN105582612B (zh) 缓释针具
CN109602601A (zh) 一种尺板式拇指推针进针器
KR102568863B1 (ko)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644428Y2 (ja) 針管付き鍼灸毫針
KR200309205Y1 (ko) 침 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