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83Y1 - Hoist switch structure - Google Patents

Hoist switch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83Y1
KR200296783Y1 KR2020020027613U KR20020027613U KR200296783Y1 KR 200296783 Y1 KR200296783 Y1 KR 200296783Y1 KR 2020020027613 U KR2020020027613 U KR 2020020027613U KR 20020027613 U KR20020027613 U KR 20020027613U KR 200296783 Y1 KR200296783 Y1 KR 200296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pendant switch
motor
push butt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6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020027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83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릴레이 제어박스를 설치하여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DC24V로 낮추어 누전되어도 감전우려가 전혀 없는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oist pendant switch structure having no fear of electric shock even when a short circuit is applied to the pendant switch by lowe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endant switch to 24 VDC.

Description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HOIST SWITCH STRUCTURE}Pendant switch structure for hoist. {HOIST SWITCH STRUCTURE}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분리용 기판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용하는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전압을 낮추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pendant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dant switch structure for a hoist configured to safely operate by lowering an applied voltage to a pendant switch used by a driver by installing a power separation board.

통상적으로, 호이스트(Hoist)는 공장, 창고, 야외 저장소 등에서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주행로 상에서 수평이동 및 권상 ·권하 작업을 수행하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호이스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general, a hoist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lifting and moving a heavy object to a desired position while performing horizontal movement, hoisting, and hoisting operations on parallel runway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eiling in a factory, warehouse, or outdoor storage. As a configuration of the hoist performing this function is shown in FIG.

즉, 전술한 호이스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이스트 본체(10)의 일측단에는 상 ·하 모터와 횡행 ·주행 모터로 구성된 권상모터(12)가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통상의 기어 박스(14)와 브레이크 박스(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본체(10)의 저면부에는 와이어로프(18)가 권취되어 있는 훅 아세이(Hook Ass'y)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로프(18)에는 중량물을 이송하기 위한 후크(20)가 연결되어 있다.That is, in the hois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a hoisting motor 12 composed of an up / down motor and a transverse / running motor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ist main body 10, and on the other side, a normal gear box 14 is provided. ) And the brake box 16 are installed. In addition, a hook assembly in which a wire rope 18 is wound is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hoist body 10, and a hook 20 for transferring a heavy object is connected to the wire rope 18. It is.

한편 전술한 호이스트(10)에는, 바람직하게는 권상모터(12)에는 다수개의 푸쉬버튼을 구비한 펜던트 스위치(22)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펜던트스위치(22)는 권상모터(12)를 구동시켜 호이스트(10)를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ist 10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hoist motor 12 is connected to a pendant switch 22 having a plurality of push buttons by wire or wirelessly. The pendant switch 22 is a hoist motor 12. ) To move the hoist 10 in the up / down, left / right, and front / rear direction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호이스트는 운전조작용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AC 220V이므로 접촉시 감전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특히 습도가 많은 날에는 누전현상이 발생하여 감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hois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iving operation pendant switch is AC 220V, so that the electric shock is not only exposed to contact, but also a short circuit occurs on a humid day, causing an electric shock.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분리용 기판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용하는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전압을 낮추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hoist pendant switch structure configured to safely operate by lowering the applied voltage to the pendant switch used by the driver by installing a power separation boar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누전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ist pendant switch structure that can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후크가 연결된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를 권취하고 호이스트를 작동시키는 권상모터와 상기 권상모터를 작동시키는 펜던트 스위치로 구성된 통상의 호이스트에 있어서;In a first aspect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hoist consisting of a wire rope connected with a hook, a hoisting motor for winding the wire rope and operating a hoist, and a pendant switch for operating the hoisting motor. In;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권상모터를 구동시키는 다수개의 푸쉬버튼들과,A plurality of push buttons that are switched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to drive the hoist motor;

상기 푸쉬버튼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의 각 부품들의 부하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들과,Magnetic contactors for controlling the load of the components of the hois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push button,

상기 푸쉬버튼에 인가되는 AC 220V의 전압을 DC 24V로 낮추는 릴레이를 구비하는 전원분리용 기판을 포함하는 펜던트 스위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pendant switch comprising a power separation substrate having a relay for lowering the voltage of AC 220V applied to the push button to DC 24V.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이스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ist that is commonly used.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의 회로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hoist pendan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2: 펜던트 스위치22: pendant switch

100: 푸쉬버튼100: pushbutton

200: 릴레이200: relay

300: 전자접촉기300: magnetic contactor

400: 전원분리용 기판400: power separation boar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의 개념을 살펴보면, 릴레이 제어박스를 설치하여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DC 24V로 낮추어 누전되어도 감전우려가 전혀 없는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First of all, the concept of the hoist pendant switch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pendant switch by installing a relay control box to DC 24V to propose a hoist pendant switch structure without any electric shock. .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의 구조는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펜던트 스위치(22)는 호이스트(10)를 운전하기 위해 조작 케이블과 연결되고 방향표시가 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운전할 수 있는 스위치 박스로서 다수개의 푸쉬버튼(100)과 전자접촉기(300)들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hoist pendant switch proposed above is as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2, the pendant switch 22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cable to operate the hoist 10, is indicated by a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witch boxes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in a desired direction. The push button 100 and the magnetic contactors 300 are provided.

상기 푸쉬버튼(100)은 통상 6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한 권상모터(12)를 구동시켜 와이어로프(18)를 감는 푸쉬버튼 "PBI(UP)" 과 상기 와이어로프(18)를 풀어 후크(2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푸쉬버튼 "PB2(DOWN)"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상모터(12)를 구동시켜 호이스트(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PB3(EAST)" 및 "PB4(WEST)" 와 상기 호이스트(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PB5(NORTH)" 및 "PB6(SOUTH)" 로 구성된다.The push button 100 is generally composed of six buttons, preferably the push button " PBI (UP) " winding the wire rope 18 by driving the hoisting motor 12 shown in Fig. 1 and the wire rope. It is composed of a push button " PB2 (DOWN) " which releases the 18 and moves the hook 20 downward. In addition, "PB3 (EAST)" and "PB4 (WEST)" to move the hoist 10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by driving the hoisting motor 12 and "" to move the hoist 10 in the forward / rear direction PB5 (NORTH) "and" PB6 (SOUTH) ".

전자접촉기(300)는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권상모터(12)나 기어박스(14), 브레이크 박스(16) 등의 부하를 운전/정지시킴으로서 부하를 보호,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본 고안에서는 6개의 접자접촉기(MC1~MC6)가 설치된다.The magnetic contactor 300 serves to protect and control the load by driving / stopping the load of the hoist motor 12, the gear box 14, the brake box 16, and the lik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on / off switching. In the present invention, six contactor contactors MC1 to MC6 are installe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펜던트 스위치(22)의 회로부에는 전원분리용 기판(400)이 설치되는데, 이 기판(400)은 푸쉬버튼(100)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어, 바람직하게는 AC 220V의 전압을 DC 24V로 낮추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각 푸쉬버튼(PB1~PB6)에는릴레이(200)(R1-R6)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릴레이(200)는 권상모터(12)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즉 상기 푸쉬버튼(100)의 스위칭에 따라 전자접촉기(300)를 여자시켜 DC 24V의 전압을 권상모터(12)에 인가한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portion of the pendant switch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separation substrate 400, the substrate 400 lower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ush button 100, preferably a voltage of AC 220V Lowers to 24 VDC to allow the operator to work safely. That is,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above-described push buttons PB1 to PB6 is connected with a relay 200 (R1-R6), and the relay 200 supplies power supplied to the hoisting motor 12. The magnetic contactor 300 is excited according to the control, that is, the switching of the push button 100, and a voltage of 24 V DC is applied to the hoisting motor 12.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호이스트(10)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고자 할 때는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20)를 중량물에 고정시킨 후, 도 2에 도시한 펜던트 스위치(22)의 푸쉬버튼(100) "PB1" 을 눌러 스위칭'온' 시킨다. 그러면 상기 펜던트 스위치(22)의 전원분리용 기판(400)은 N상의 전기가 통전되어 릴레이(200) "R1" 이 동작되며, 상기 접점 R1에 의해 전자접촉기(300) "MC1" 이 여자되고, 여자된 MC1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권상모터(12)에 DC 24V의 전원이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권상모터(12)는 소정의 구동력으로 와이어로프(18)를 감게 된다. 여기서 푸쉬버튼(100) "PB3" 를 눌러 스위칭 '온' 시키게 되면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호이스트(1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lifting the heavy object using the hoist 10, as shown in FIG. 1, the hook 20 is fixed to the heavy object, and then the pendant switch shown in FIG. 22) Push button 100 of " PB1 " to switch on. Then, the N-phas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substrate 400 for power separation of the pendant switch 22 to operate the relay 200 "R1", and the magnetic contactor 300 "MC1" is excited by the contact R1. The DC 24V power supply is applied to the hoisting motor 12 shown in FIG. 1 by excited MC1. Subsequently, the hoist motor 12 winds the wire rope 18 with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In this case, when the push button 100 "PB3" is pressed to switch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hoist 10 moves forward.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 분리용 기판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사용하는 펜던트 스위치에 인가전압을 낮추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누전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o install a power separation board to safely operate by lowering an applied voltage to a pendant switch used by a driver, and also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Claims (1)

후크(20)가 연결된 와이어로프(18) 및 상기 와이어로프(18)를 권취하고 호이스트(10)를 작동시키는 권상모터(12)와 상기 권상모터(12)를 작동시키는 펜던트 스위치(22)로 구성된 통상의 호이스트에 있어서,It consists of a wire rope 18 to which the hook 20 is connected, a hoisting motor 12 winding the wire rope 18 and operating the hoist 10 and a pendant switch 22 for operating the hoisting motor 12. In a normal hoist, 상기 펜던트 스위치(22)는;The pendant switch (22);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권상모터(12)를 구동시키는 다수개의 푸쉬버튼(100)들과,A plurality of push buttons 100 that are switched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to drive the hoist motor 12; 상기 푸쉬버튼(12)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10)의 각 부품들의 부하를 제어하는 전자접촉기(300)들과,Magnetic contactors 300 for controlling the load of the components of the hoist 10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push button 12, 상기 푸쉬버튼(100)에 인가되는 AC 220V의 전압을 DC 24V로 낮추는 릴레이(200)를 구비하는 전원분리용 기판(4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펜던트 스위치 구조.The hoist pendant switc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eparation board 400 having a relay 200 for lowering the voltage of AC 220V applied to the push button 100 to DC 24V.
KR2020020027613U 2002-09-10 2002-09-10 Hoist switch structure KR2002967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13U KR200296783Y1 (en) 2002-09-10 2002-09-10 Hoist switch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13U KR200296783Y1 (en) 2002-09-10 2002-09-10 Hoist switch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83Y1 true KR200296783Y1 (en) 2002-11-30

Family

ID=7307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613U KR200296783Y1 (en) 2002-09-10 2002-09-10 Hoist switch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2698B (en) Braking device of lifter, lifter and method for controlled stop of lifter
KR200296783Y1 (en) Hoist switch structure
JP2021109733A (en) Electrically-driven hoist, crane equipped with the same and electrically-driven driving device
KR200248255Y1 (en) remote hoist crane
CN204096814U (en) Economize on electricity elevator
US10850955B2 (en) Controller for hoist capable of multi-stage speed control and hoist including the same controller
JP2586203B2 (en) Braking device for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CN211908351U (en) Driving control system
JPH0711101Y2 (en) Electric hoisting device
JPH0238507B2 (en)
KR101678184B1 (en) interlock safety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2009067492A (en) Elevator car holding device
KR200284753Y1 (en) Electrically powered wire hoist
KR101990088B1 (en) Controller for hoist capable of multi speed control and hoist including the same controller
KR200395845Y1 (en) device of prevetion over reel for a hoist
JP2000289964A (en) Passenger conveyor
WO2018016045A1 (en) Dynamic brake circuit, and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dynamic brake circuit
CN213960544U (en) Highway intelligence tunnel lighting control device
CN214399404U (en) Construction elevator band-type brake control system
JP4909029B2 (en) Control device for load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device
KR200289777Y1 (en) Electric hoist using high torque pole changing motor
JP2562660Y2 (en) Hoist control device
JPH051785U (en) Overwound Limit Switch Mechanism in Electric Hoist
JPWO2003008322A1 (en) Passenger conveyor control device
JP2024017149A (en) Hoist type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