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514Y1 - 치공구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치공구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514Y1
KR200296514Y1 KR2020020006956U KR20020006956U KR200296514Y1 KR 200296514 Y1 KR200296514 Y1 KR 200296514Y1 KR 2020020006956 U KR2020020006956 U KR 2020020006956U KR 20020006956 U KR20020006956 U KR 20020006956U KR 200296514 Y1 KR200296514 Y1 KR 200296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cket
tool holder
shaf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
Original Assignee
최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 filed Critical 최흥
Priority to KR2020020006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514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버 스탠드(Bur stand), 치공구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보관 재치가 작은 면적을 차지하며 다량을 보관 재치할 수 있도록 한 치공구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자성체를 내장하고,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둘레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칸막이용 리브가 돌출되고, 그 하부 일방으로는 버 받침대용 리브가 횡설된 본체; 와
상기 본체의 양측 단을 힌지 결합하는 브래킷을 구비한 거치대로 구성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측의 브래킷과 본체 측면에만 홈 및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측의 본체에는 손잡이 축이 브래킷에 축 결합되어 연결되는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 축과 결합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가 거치대의 브래킷에서 선회되다가 정 위치에서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브래킷의 돌기와 홈 및 돌기와 손잡이 축 둘레의 동심원상의 브래킷 안쪽 면에 도넛 편형 철편을 설치해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치공구용 거치대{HANGER FOR TOOTH TOOL}
본 고안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버 스탠드(Bur stand), 치공구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보관 재치가 작은 면적을 차지하며 다량을 보관 재치할 수 있도록 한 치공구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회전공구의 예컨대 드릴과 같이, 기계장치에 결합하여 회전시키면서 환자의 치아에 홈을 형성하거나, 갈아내는 등의 치료시 사용되는 버는 그 치수와 사용처에 따라 그 수가 다양하다. 이러한 버를 보관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의 거치대는 도 1에서와 같이 개략 삼각의 거치대(100)상의 정면에 상하 두 줄의 고무자석(200)을 부착 설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거치대의 전면에 줄 맞추어서 버를 세워서 부착 재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그 줄을 맞추기가 쉽지 않으며, 그 재치 면적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별도의 칸막이가 없기 때문에 버들을 재치할 때 근접된 것끼리 마찰 접촉하는 등으로 버가 쉬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공간에 비교적 많은 양의 버들을 재치하는 것과, 안착되는 버들간에 간섭을 배제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자성체를 내장하고,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둘레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칸막이용 리브가 돌출 되고, 그 하부 일방으로는 버 받침대용 리브가 횡설된 본체; 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을 힌지 결합하는 브래킷을 구비한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와 거치대의 힌지축 결합은 양측 브래킷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본체에 형성된 돌기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손잡이가 없이 본체를 잡고 돌리는 것에 의해 작동될 것이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측의 브래킷과 본체 측면에만 홈 및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측의 본체에는 손잡이 축이 브래킷에 축 결합되어 연결되는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 축과 결합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가 거치대의 브래킷에서 선회되다가 정 위치에서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브래킷의 돌기와 홈 및 돌기와 손잡이 축 둘레의 동심원상의 브래킷 안쪽 면에 도넛 편형 철편을 설치해서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는 정사각의 단면을 가지게 형성하므로써 비교적 짧은 버가 많은 치공구용 버의 수용에 적당하게 할 수 있고, 직사각으로 그 본체를 형성하므로써 긴 버와 짧은 버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많은 버의 보관을 위해 적어도 그 단면이 오각 이상으로 실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체를 삼각의 단면을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 단면도.
도 5는 손잡이가 없이 형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들의 본체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체의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본 고안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들의 본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한편 도 5는 손잡이가 없이 단순히 본체가 브래킷에 힌지 축 결합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내부에 자성체(10M)를 내장하고,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둘레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칸막이용 리브(11)가 돌출 되고, 그 하부 일방으로는 버 받침대용 리브(12)가 횡설된 본체(10); 와
상기 본체(10)의 양측 단을 힌지축 결합하는 브래킷(21,22)을 구비한 거치대(20)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리브(11)는 횡으로 복수로 재치되는 버들간의 구획을 위한 경계벽으로 작용하여 버들간의 부딪힘 등으로 인한 마모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리브(12)는 상기 리브(11) 사이에 개재되어 버를 세워 설치 고정하는 걸림대로 작용한다. 한편 자성체(10M)는 ND자석으로 그 자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상기 리브(11,12)에 장착되어 이탈되는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본체(10)와 거치대(20)의 힌지축 결합은 도 2 및 도 3의 사시도에서의 본체 도면을 감안하여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즉, 양측 브래킷(21,22)에 형성된 홈(21a,21b)과 대응되는 본체(10)에 형성된 돌기(10a,10b)에 의해 서로 회전 자유롭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예는 손잡이가 없이 본체를 잡고 돌리는 것에 의해 작동될 것이다.
이는 본체(10)의 양측 단에 본체보다 둘레로 더 돌출되는 측판(13a, 13b)의 계단형 걸림턱(14)을 잡고 돌리면서 보다 양호할 것이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4와 도 6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어느 일측의 브래킷(21)과 본체(10) 측면에만 홈(21a) 및 돌기(10a)를 형성하고, 반대측의 본체(10) 측판(13b)의 중심에는 각형 단면의 결합축(10c)이 돌출되어 손잡이(3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축(10c)이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각형 단면의 홈(30c)을 갖는 축(30)이 상기 브래킷(22)의 구멍(22h)에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가 거치대(20)의 브래킷(21, 22)에서 회전 자유롭다가 정 위치에서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브래킷(21, 22)의 홈(21a, 21b), 또는 홈(21a) 및 구멍(22h) 둘레 동심원상의 브래킷 안쪽 면에 도넛 편형 철편(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체(10)를 소요하는 위치로 회전시켜서 버를 꺼내거나 안착시키는 동안 자중 등의 무게 중심에 의해 본체(10)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써 작용되는 것으로 정위치에서 본체(10)내의 자성체(10M)가 브래킷(21,22)의 내측에 부착 설치된 철편(40)에 자력에 의해 붙어서 정 위치에서 스톱핑되는 것이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10)는 정사각의 단면을 가지게 형성하므로써 비교적 짧은 버가 많은 치공구용 버의 수용에 적당하게 할 수 있고, 직사각으로 그 본체를 형성하므로써 긴 버와 짧은 버를 구분 수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버의 보관을 위해 적어도 그 단면이 오각 이상으로 실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체를 삼각의 단면을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버(bur)가 안착되는 곳이 "凹"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를 반원호형이 홈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기본형에 주지의 어떤 기술적 구성을 부가하거나 한정한다 할지라도 본 고안이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적은 공간에 비교적 많은 양의 버들을 재치하는 것과, 안착되는 버들간에 간섭을 배제하고 다종의 버들을 구분지어서 그룹 에어리어로 보관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자성체(10M)를 내장하고,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둘레의 적어도 3면 이상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칸막이용 리브(11)가 돌출되고, 그 하부 일방으로는 버 받침대용 리브(12)가 횡설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단을 힌지축 결합하는 브래킷(21,22)을 구비한 거치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거치대(20)의 힌지축 결합은 양측 브래킷(21,22)에 형성된 홈(21a, 21b)과 대응되는 본체(10)에 형성된 돌기(10a, 10b)에 의해 서로 회전 자유롭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 수단으로, 양측 단에 본체 보다 둘레로 더 돌출되는 측판(13a, 13b)의 둘레에 계단형 걸림턱(14)을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의 브래킷(21)과 본체(10) 측면에만 홈(21a) 및 돌기(10a)를 형성하고, 반대측의 본체(10) 측판(13b)의 중심에는 각형 단면의 결합축(10c)이 돌출되어 손잡이(3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축(10c)이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각형 단면의 홈(30c)을 갖는 축(30)이 상기 브래킷(22)의 구멍(22h)에 힌지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거치대(20)의 브래킷(21, 22)에서 회전 자유롭다가 정위치에서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브래킷(21, 22)의 홈(21a, 21b), 또는 홈(21a) 및 구멍(22h) 둘레 동심원상의 브래킷 안쪽 면에 도넛 편형 철편(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정사각의 단면을 가지게 형성하므로써 비교적 짧은 버가 많은 치공구용 버의 수용에 적당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직사각 단면을 가지게 형성하므로써 긴 버와 짧은 버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오각 이상의 다각 단면을 가지게 형성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공구용 거치대.
KR2020020006956U 2002-03-09 2002-03-09 치공구용 거치대 KR200296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56U KR200296514Y1 (ko) 2002-03-09 2002-03-09 치공구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56U KR200296514Y1 (ko) 2002-03-09 2002-03-09 치공구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514Y1 true KR200296514Y1 (ko) 2002-11-29

Family

ID=7311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56U KR200296514Y1 (ko) 2002-03-09 2002-03-09 치공구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5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34U (ko) 2017-04-24 2018-11-02 김학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KR20190138102A (ko) * 2018-06-04 2019-12-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치공구 스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34U (ko) 2017-04-24 2018-11-02 김학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KR20190138102A (ko) * 2018-06-04 2019-12-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치공구 스탠드
KR102084490B1 (ko) * 2018-06-04 2020-03-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치공구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1339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con una o varias herramientas.
HK1090294A1 (en) Combination comprising n-(3-methoxy-5-methylpyrazin-2-yl)-2-(4-[1,3,4- oxadiazol-2-yl] phenyl)pyridine-3-sulphonamide and a biphosphonate ;
US20130032007A1 (en) Wrench
KR200296514Y1 (ko) 치공구용 거치대
US6126004A (en) Tool display box
US10299653B2 (en) Disk with engagement system for surface cleaning machine
CN108193938A (zh) 一种快速换向执手结构
US20040052595A1 (en) Drill bit point storage system
CN207848616U (zh) 一种水管安装结构
US4703903A (en) Cassette tape winding device
CN220963625U (zh) 箱体以及移动电源
JP4336273B2 (ja) 仮設工事用サポートのピン受け用ナットにおけるキャップ
JP2001239468A (ja) トルクアダプタ
CN211278183U (zh) 一种新型螺丝刀
CN213509977U (zh) 一种旋转组合式围栏
CN210786059U (zh) 一种稳压式水基型灭火器
JP3955227B2 (ja) ナット回転具
JP3144253U (ja) 工具のコネクタ
JP3660262B2 (ja) ナット回転具
JP6979396B2 (ja) 電源タップ
JP3493799B2 (ja) ユニットの支持装置
JP2003194091A (ja) 自在軸継手
JP2003136436A (ja) 電動工具
KR19990007220U (ko)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JPH0647297Y2 (ja) 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