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05Y1 -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05Y1
KR200295905Y1 KR2020020024192U KR20020024192U KR200295905Y1 KR 200295905 Y1 KR200295905 Y1 KR 200295905Y1 KR 2020020024192 U KR2020020024192 U KR 2020020024192U KR 20020024192 U KR20020024192 U KR 20020024192U KR 200295905 Y1 KR200295905 Y1 KR 200295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sdom
present
ornaments
wisdom toot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민 filed Critical 홍성민
Priority to KR2020020024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05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랑니를 발치한 후 그 발치를 이용하여 만든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신구에 있어서, 사랑니 형태를 갖는 금속성형물(18)의 표면에 광택가공이된 두툼한 형태를 갖는 하단몸체부(21), 표면에 스크래칭무니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홈(22)이 있어 양쪽으로 뾰족한 봉우리(23) 형태를 갖는 상단몸체부(24), 상기 상단몸체부의 선단에 연결된 고리 체결부(25), 상기 고리체결부(25)를 결속하는 환형고리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30)이다.

Description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PERSONAL ORNAMENTS OF WISDOM TOOTH SHAPE}
본 고안은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랑니를 발치한 후 그 발치를 이용하여 만든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랑니(지치, wisdom tooth)는 17세에서 23세 경에 봉출되는 어금니로서 영구치 중 가장 늦게 나오며 앞에서부터 8번째 위치한 가장 뒤쪽에서 나는 치아를 말한다. 사랑니는 똑바로 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현상은 아래턱이 인간의 진화과정 중에 점차 작아져서 이가 날 자리가 좁아서 제대로 나지 못하는 것이다. 치아가 날 자리가 좁아서 이들이 울퉁불퉁 나는 현상은 사랑니가 아닌 다른 치아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원시인들의 화석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치아를 모두 36개를 지닌 경우가 발견되어 사랑니 뒤에 제 2의 사랑니가 있었던 것이 알려진 바 있다. 이는 원시사회에서는 씹는 기능이 대단히 중요하고 또 턱도 잘 발달되어 아래위턱 특히 아래턱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턱 사랑니의 대부분은 앞쪽으로 기울어져 봉출하다가 바로 앞의 치아(제 2대구치)를 앞으로 밀게 되고, 또 그 앞의 치아들을 연속적으로 밀어서 앞니들을 삐뚤어지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제 2대구치의 뒤에 삐뚤게 위치하거나 닿아 있어서 그 부분에 음식물이 잘 끼게되어 쉽게 충치가 생기고 또 제 2대구치도 충치가 발생하여 심한 경우 이 치아까지 희생될 수 있다. 사랑니 주위에는 구조적으로 음식물이 잘 끼게 되고 칫솔이 잘 닿지 않아서 염증이 항상 존재한다.
염증은 대개 만성적으로 진행하며 며칠 아프다가 다시 통증을 느끼지 않는게 보통이다. 그러다가 술을 마시거나 피곤하여 우리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면다시 염증이 발생하고 안면부로 염증이 퍼져 사랑니 주위 잇몸부위는 물론 바깥쪽 뺨까지도 붓고, 심하게 아파서 치과를 찾게 된다.
간혹 매스콤에서 사랑니 때문에 잘못되어 환자가 사망하였다는 보도가 있으나 이는 사랑니 주위의 염증을 너무 무심하게 방치하여 급성 염증으로 안면부 농양으로 파급되거나 환자의 전신상태가 극도로 나빠진 경우에 해당된다. 간혹 턱이 커서 사랑니가 잘 나와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일부러 뺄 필요는 없으나, 사랑니가 턱뼈 속에 매복되어있거나 삐뚤게 나와 방치되어있는 경우 염증질환 이외에도 다른 많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턱뼈 속에 치성낭종이나 종양, 드물게는 구강암까지도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랑니는 구강사랑을 위하여 조기에 발치를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로 치과에서 발치된 사랑니는 대부분 본인들에서 주게된다. 이경우 대부분의 발치자들은 성인이 되었다는 증거로 발치된 사랑니를 본인이 소지 또는 보관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발치를 보관하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는 경우 혐오감을 주거나 분실되기 쉽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색이 일어나기도 해서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스포츠 스타나, 대중 인기 연예인들의 소장품이나 기념품 등을 수집하거나 간직하려고 하나, 사진 등 일부 제한된 품목이외에는 산업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하여 이를 장신구로 보급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발치된 사랑니를 가지고 그 모형을 본떠서 장신구로 제조하여 자신의 발치된 사랑니 형태의 장신구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스포츠 스타나 대중 인기 연예인들의 발치된 사랑니를 장신구로 만들어 이를 산업적으로 대량으로 제조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1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2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3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4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5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6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7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8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9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장신구를 구현하는 제 10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를 목걸이로 착용한 참고도 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장신구에 있어서, 사랑니 형태를 갖는 금속성형물(18)의 표면에 광택가공이된 두툼한 형태를 갖는 하단몸체부(21), 표면에 스크래칭무니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홈(22)이 있어 양쪽으로 뾰족한 봉우리(23) 형태를 갖는 상단몸체부(24), 상기 상단몸체부의 선단에 연결된 고리 체결부(25), 상기 고리체결부(25)를 결속하는 환형고리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30)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현예를 참조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본 고안의 제 1단계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치된 사랑니(1)를 세척건조하고, 이어서 상기 사랑니(1)를 금속틀(2)안에 내장된 하단실리콘고무층(3) 위에 고정하고, 이어서 상기 하단 실리콘고무층과 동일한 크기 및 두께의 상단 실리콘고무층(4)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발치된 사랑니를 고정할 때 주입통로(5)가 이후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실리콘고무층은 상온에서도 약간의 유동성을 띠는 무색 또는 희미한 황색의 탄성고체이어서, 사랑니의 최초 본을 뜨는데 사용하는 재료이다.
제 2단계
본 고안의 제 2단계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1단계의 실리콘고무층(3, 4)으로 피복된 금속틀(2)을 열압축기(6)로 위치시킨 후, 압축기(7)로 누르면서 120℃ ~ 14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50분간 압력을 가해 실리콘고무를 단단하게 굳히는 단계이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압축기로 누르는 동안 온도는 120℃ ~ 140℃의 온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범위 미만인 경우 실리콘고무가 굳어지는 시간이 오래 걸려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온도 이상인 경우 실리콘고무가 너무 급속하게 굳어져서 굳어진 실리콘고무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열압축시간은 상기 온도범위에서 30분 내지 5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지하며, 상기 시간미만인 경우 충분하게 열압착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시간이상으로 압착하는 경우 더 이상 열압착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 3단계
본 고안의 제 3단계는 도 3에 나타나 바와 같이 이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굳어진 실리콘고무층(3,4)을 수평방향으로 메스(8)에 의해 이등분 절단하여 상기 사랑니(1)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메스(8)로 수평방향으로 이등분 절단할 때 이후단계에서 다시 봉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지그재그로 절단하도록 한다.
상기 제 3단계에서 사랑니(1)를 뽑아냄에 의해 굳어진 실리콘고무층(3,4)에는 사랑니의 형태가 음각(9)으로 형성되어진다.
제 4단계
본 고안의 제 4단계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3단계에서 사랑니를 추출하여 그 형태가 음각(9)으로 형성된 실리콘고무틀(3,4)을 다시 봉합하고 봉합된 내부에 음각된 치아형태의 공동(空洞)으로 왁스주입기(10)에 의해 왁스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제 4단계에서 왁스를 주입하는 경우, 적절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실리콘고무틀(3,4) 내부 홈에 충진할때 기포 또는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제 5단계
본 고안의 제 5단계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4단계에서 왁스가 주입된 실리콘고무틀(3,4)을 실온 냉각하여 봉입부를 다시 절개하여 치아형태의 왁스성형물(11)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제 6단계
본 고안의 제 6단계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5단계에서 형성된 치아형태의 왁스성형물(11)을 석고주조기둥(12)에 나뭇가지 형태로 붙인 후 석고주조틀(13)을 씌우고 주조틀 안으로 석고(14)를 인가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6단계에서도 주조틀(13)에 쏟아 붓게 되는 석고에 기포나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인가하여야 하며, 석고의 점도도 굳은 후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제 7단계
본 고안의 제 7단계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단계에서 석고를 인가한 후 틀(13)안에 석고가 굳어지면 전기로(15)에 인가하고 12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석고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720℃에서 40분간 가열하여 치아형태의 왁스성형물(11)을 완전히 녹여 석고외부로 용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7단계에서 석고틀(13)안에 쏟아 넣은 석고가 응고되어 굳어지면, 전기로(15) 내부로 인가하고, 1차로 석고 안에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하게 증발시켜 건조하기 위하여 120℃에서 20분간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석고 안에 남아있는 수분에 의해 석고틀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석고의 수분을 완전하게 증발시키는 1차가 열이 완결된 후 이어서, 2차로 720℃에서 40분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전기로에서 2차가열은 석고내부에 있는 왁스성형물(11)과 왁스로 형성된 가지가 녹아 석고틀 외부로 용출되어 흘러나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2차가열이 완료되면 석고틀 안에 사랑니 형태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게 된다.
제 8단계
본 고안의 제 8단계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7단계에서 석고틀(13) 안의 왁스성형물(11)이 녹아 용출되어서 치아형태의 캐비티(cavity) 내로 버너(16)로 용융되는 장식용 금속재료(17)를 용융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8단계에서, 석고틀(13)내부의 캐비티로 충전되는 장식용 금속재료(17)는 버너(16)로 용융된다. 상기에서 장식용 금속재료(17)는 금, 은, 백금, 동(銅), 또는 기타 장식용 금속재료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합금인 재료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원심력을 이용하여 금속재료를 주입하는 것은 캐비티내로 금속재료가 잘 주입되도록 하는 작용도 하지만, 주입된 금속재료가 캐비티내에서 기포 또는 공극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상기에서 캐비티내로 주입하기 위한 금속재료(17)의 용융온도는 금속재료의 융점보다 50℃ ~ 100℃가 높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은(Ag) 함량이 95.0중량% 이상인 경우 960℃ ~ 101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제 9단계
본 고안의 제 9단계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 8단계에서 금속재료가 충전된 석고틀(13)을 냉각한 후 석고내부에 형성된 치아형태의 금속성형물(18)을 인출하는 단계이다.
제 10단계
본 고안의 제 10단계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출된 상기 치아형태의금속성형물(18)의 하단몸체부(21)는 연마기로 광택가공하고, 상단몸체부(24)는 스크래칭 가공하고, 상단몸체부(24)에 고리 체결부(25), 환형고리부(26)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제조단계로 제조된 사랑니 형태의 금속성형물(18)의 표면에 광택가공이된 두툼한 형태를 갖는 하단몸체부(21), 표면에 스크래칭무니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홈(22)이 있어 양쪽으로 뾰족한 봉우리(23) 형태를 갖는 상단몸체부(24), 상기 상단몸체부의 선단에 연결된 고리 체결부(25), 상기 고리체결부(25)를 결속하는 환형고리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30)이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30)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절한 체인이나, 끈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목걸이용 장신구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신구로 사용되는 것이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는 자신의 발치된 사랑니 형태의 장신구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는 스포츠 스타나 대중 인기 연예인들의 발치된 사랑니를 장신구로 제조하므로써 이를 산업적으로 대량으로 제조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장신구에 있어서, 표면에 광택가공이된 두툼한 형태를 갖는 하단몸체부(21), 표면에 스크래칭무니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홈(22)이 있어 양쪽으로 뾰족한 봉우리(23) 형태를 갖는 상단몸체부(24), 상기 상단몸체부의 선단에 연결된 고리 체결부(25), 상기 고리체결부(25)를 결속하는 환형고리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30).
KR2020020024192U 2002-08-13 2002-08-13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KR200295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92U KR200295905Y1 (ko) 2002-08-13 2002-08-13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92U KR200295905Y1 (ko) 2002-08-13 2002-08-13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760A Division KR100452838B1 (ko) 2002-08-13 2002-08-13 사랑니를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05Y1 true KR200295905Y1 (ko) 2002-11-23

Family

ID=7307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192U KR200295905Y1 (ko) 2002-08-13 2002-08-13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5489A1 (en) Indirect Restoration Technology
US5213498A (en) Method for making a custom impression tray
JP3254174B2 (ja) Cad/camを使用する歯科用修復物の形成方法
US7704421B2 (en) Method for preparing dental restorations
DE50010420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keramischen zahnersatzes
AU2014245860C1 (en) Partial dental prosthesis
RU2008122062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FR2602671A1 (fr) Porte-empreinte dentaire
CA2442215A1 (en) Back casting prefabricated incisal veneers
US5810593A (en) Three-dimensional ornamental dental appliance jewelry and method for attaching it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tooth
US3058216A (en) Dent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dental crowns
US4735569A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200295905Y1 (ko) 사랑니 형태를 갖는 장신구
KR100452838B1 (ko) 사랑니를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4881898A (en) Method of forming an anatomical occlusal surface configuration on a tooth-like member and stamp for use in connection therewith
CA2542428A1 (en) Method of making dental device with wax-like polymerizable material
KR20090041380A (ko) 티타늄 합금과 레진으로 이루어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AU662691B2 (en) Ceramic inlay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H07299542A (ja) 金製または他の貴金属製の装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装飾品
US7563096B2 (en) Anomalous synthetic tooth arrangement
JP3218207B2 (ja) 全セラミック性歯構造体の作成方法
JP5068204B2 (ja) 装飾義歯
JP4163936B2 (ja) 人工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8208B1 (ko) 지르코니아-레진 인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200516882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