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02Y1 -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02Y1
KR200295902Y1 KR2020020024176U KR20020024176U KR200295902Y1 KR 200295902 Y1 KR200295902 Y1 KR 200295902Y1 KR 2020020024176 U KR2020020024176 U KR 2020020024176U KR 20020024176 U KR20020024176 U KR 20020024176U KR 200295902 Y1 KR200295902 Y1 KR 200295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adhesive tape
button
cutter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석
Original Assignee
고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석 filed Critical 고재석
Priority to KR2020020024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02Y1/ko

Link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단하여주는 커팅장치를 개선하여 커팅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상태에서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커팅된 접착테이프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사용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접착테이프의 끝단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지관(30)에 일정길이를 권취한 접착테이프(31)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3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35)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커팅바디(36)를 구비하여 상기 커팅바디(36)의 양측에는 접착테이프(31)와 결합할 수 있는 브리지(37)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커팅바디(36)의 내측에는 접착테이프(31)를 직접 절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커터(40)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40)는 커팅바디(36)의 전방에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날(41)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팅날홀(42)과;
상기 커팅바디(36)의 후방에 구비되어 커팅날(41)의 출입을 선택하는 버턴(43)과;
상기 버턴(43)과 커팅날홀(42) 후방에 형성되는 작동홀(45)에 구비되어버턴(4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44,46)과;
상기 작동홀(45)전방에 구비되어 커팅날(41)을 수용하여 버턴(43)과 바(46)로 연결되는 작동자(47)와;
상기 작동자(47)의 선측과 작동홀(45)의 선측 상간에 개재되어 커터(40)를 항상 후퇴시키도록 하는 바스프링(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 커팅장치{Cutting tool for scotchtape}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테이프의 커팅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팅날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선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지관에 일정길이를 권취한 것으로서 각종 종이나 박판부재를 연결하거나손상된 부위를 마감할 때 또는 포장을 위한 용도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주기적으로 접착테이프를 절단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를 칼이나 가위를 이용하였으나 상당한 불편함이 있어 개선한 것이 커팅장치이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커팅장치를 도 1,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커팅장치(1)는 박판의 판상부재를 이용하여 양측으로는 브리지(2)를 돌출시키고 전방으로는 첨예한 요철돌기(3)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커터(4)를 돌출되게 형성한 베이스(5)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커팅장치(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접착테이프(6)에 베이스(5)를 밀착시킨 후 양측의 브리지(2)를 절곡시켜 접착테이프(6)를 감싸도록 하고, 커터(4)는 상향경사지게 절곡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를 사용하기 위하여 절단할 때에는 인출한 접착테이프의 끝단을 잡고 커터방향으로 젖혀줌으로서 접착테이프가 커터에 의하여 절단되는 형상이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접착테이프는 커터에 의하여 요철형태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한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곳에도 미관이 수려하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접착테이프 자체에 남아있는 끝부분도 요철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시킬 때 요철모양에 의하여 갈라지기 때문에 접착테이프로 부터 끝부분을 분리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요철모양의 커터가 항상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과정이나 노약자 특히 어린이들의 부주의로 손을 손상하게되는 경우가 다발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상당히 많은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단하여주는 커팅장치를 개선하여 커팅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상태에서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커팅된 접착테이프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사용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접착테이프의 끝단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접착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접착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1실시예가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접착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커터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커터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사용상태가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가)는 본 고안의 2실시예가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단면구성도, (나)는 (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1; 접착테이프
35; 커팅장치
36; 커팅바디
40; 커터
41; 커팅날
43; 버턴
47; 작동자
48; 바스프링
50; 연결판
51; 탄성판
60; 케이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1실시예가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접착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커터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커터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지관(30)에 일정길이를 권취한 접착테이프(31)를 사용시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35)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장치(35)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커팅바디(36)의 양측으로 브리지(37)를 돌출시켜 접착테이프(3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리지(37)는 절곡성이 좋은 금속박판을 이용하거나 시계줄이나 혁대의 버클과 같은 단속수단을 가지는 밴드타입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커팅바디(36)에는 접착테이프(31)를 직접 절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커터(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터(40)는 커팅바디(36)의 전방에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날(41)이 출입할 수 있도록 커팅날홀(42)을 형성하고, 상기 커팅바디(36)의 후방에는 커팅날(41)의 출입을 선택하는 버턴(43)이 구비된다.
상기 버턴(43)의 상,하측에는 걸림턱(44)을 형성하여 커팅날홀(42)의 후방에 형성되는 작동홀(45) 후미의 걸림턱(46)과 치합에 의하여 커팅바디(36)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작동홀(45)에는 전방에 커팅날(41)을 수용하고 후방은 버턴(43)과 바(Bar;46)로 연결한 작동자(47)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자(47)의 선측과 작동홀(45)의 선측 상간에는 원호형상의 바스프링(48)을 개재하여 커터(40)를 항상 후퇴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커팅바디(36)의 양측으로 돌출된 브리지(37)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31)에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접착테이프(3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커터(40)의 커팅날(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접착테이프(31)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31)를 사용하면서 절단하여야 할 경우에는 접착테이프(31)본체로 부터 이탈된 접착테이프(31)를 커터(40)를 구성하는 커팅바디(36)의 선측에 구비되는 커팅날홀(42)에 밀착시키고 버턴(43)을 눌러 줌으로서 커팅날(41)이 돌출되어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테이프(31)가 절단된 후 버턴(43)을 놓으면 커팅날(41)은 다시 커팅날홀(42)로 진입하여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커팅바디(36)에 형성되는 작동홀(45)에 구비되는 작동자(47)가 커팅날(41)을 수용하여 후방에 구비되는 버턴(43)과 연결되고 작동자(47)의 선측과 작동홀(45)상간에 바스프링(48)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스프링(48)에 의하여 커팅날(41)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바스프링(48)이 항상 작동자(47)를 작동홀(45)의 후방으로 밀고 있더라도 버턴(43)과 작동홀(45)에 형성되는 걸림턱(44,46)에 의하여 버턴(44)과 작동자(47)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팅장치(35)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할 경우에는 절단된 면이 직선을 이루게 되므로 접착테이프(31)의 사용처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은 물론, 접착테이프(31)를 사용하기 위하여 끝단부를 분리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상기 커터(40)를 항상 후퇴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작동자(47)와 버턴(43)을 판상의 연결판(50)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50)의 양측으로는 커팅바디(36)에 고정되는 박판의 탄성판(51)을 일체로 더 구비한 구성이다.
즉, 커팅날(41)이 노출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는 탄성판(51)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나, 버턴(43)에 의하여 커팅날(41)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탄성판(51)이 전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버턴(43)을 놓음으로서 자체탄성에 의하여 복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팅장치(35)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테이프(31)의 폭에 대응하여 코팅장치(35)의 폭을 넓혀 다양한 크기의 접착테이프(31)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로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접착테이프(31)를 수용하는 케이스(60)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60)에 커팅장치(35)를 브리지(37)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여도 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브리지(37)를 제거한 상태에서 케이스(60) 성형시 함께 매입하거나, 양분되는 케이스(60)에 수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9 (가)는 본 고안의 2실시예가 적용된 접착테이프 커팅장치의 단면구성도, (나)는 (가)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커터(40)를 구성하는 커팅바디(36)를 하부바디(70)와 상부바디(71)로 구성하고 하부바디(70)에는 커팅날(41)을 고정한다.
상기 상부바디(71)는 하부바디(7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접착테이프(31)가 누르는 힘에 의하여 후퇴하고 이때 노출되는 커팅날(41)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바디(71)가 하부바디(70)의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상,하부바디(71,70)의 양측에 수평상태의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72)와 가이드홈(73)를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바디(71,70)의 후방에 개재하여 상부바디(71)를 항상 전방으로 밀어주어 커팅날(41)을 커버하도록 하는 스프링(7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75)에 의하여 상부바디(71)가 커팅날(41)을 커버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접착테이프(31)를 상부바디(71)에 밀착시키면 밀착력에 의하여 상부바디(71)가 후퇴하고 이때 노출되는 커팅날(41)에 의하여 접착테이프(31)가 절단되는 것이다.
물론, 절단 후에는 스프링(7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바디(71)는 전방(초기상태의 위치)으로 이동하여 커팅날(41)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단하여주는 커팅장치를 개선하여 커팅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상태에서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커팅된 접착테이프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사용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접착테이프의 끝단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지관(30)에 일정길이를 권취한 접착테이프(31)를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3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35)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커팅바디(36)를 구비하여 상기 커팅바디(36)의 양측에는 접착테이프(31)와 결합할 수 있는 브리지(37)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커팅바디(36)의 내측에는 접착테이프(31)를 직접 절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커터(40)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40)는 커팅바디(36)의 전방에 접착테이프(31)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날(41)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팅날홀(42)과;
    상기 커팅바디(36)의 후방에 구비되어 커팅날(41)의 출입을 선택하는 버턴(43)과;
    상기 버턴(43)과 커팅날홀(42) 후방에 형성되는 작동홀(45)에 구비되어 버턴(4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44,46)과;
    상기 작동홀(45)전방에 구비되어 커팅날(41)을 수용하여 버턴(43)과 바(46)로 연결되는 작동자(47)와;
    상기 작동자(47)의 선측과 작동홀(45)의 선측 상간에 개재되어 커터(40)를 항상 후퇴시키도록 하는 바스프링(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커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40)를 항상 후퇴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작동자(47)와 버턴(43)을 판상의 연결판(50)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50)의 양측으로는 커팅바디(36)에 고정되는 박판의 탄성판(51)을 일체로 더 구비하여;
    상기 탄성판(51)에 의하여 커터(40)가 항상 후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35)는 접착테이프(31)를 수용하는 케이스(60)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바디(36)를 커팅날(41)을 고정한 하부바디(70)와;
    상기 상부바디(7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73)에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72)를 가지고 결합되는 하부바디(70)로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바디(71,70)의 후방에 개재하여 상부바디(71)를 항상 전방으로 밀어주어 커팅날(41)을 커버하도록 하는 스프링(7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71)가 접착테이프(31)가 누르는 힘에 의하여 후퇴하여 노출되는 커팅날(41)에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20020024176U 2002-08-13 2002-08-13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0295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76U KR200295902Y1 (ko) 2002-08-13 2002-08-13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176U KR200295902Y1 (ko) 2002-08-13 2002-08-13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02Y1 true KR200295902Y1 (ko) 2002-11-23

Family

ID=7307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176U KR200295902Y1 (ko) 2002-08-13 2002-08-13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0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99B1 (ko) 2006-04-19 2007-07-24 김택원 테이프 커터
KR102198717B1 (ko) 2019-08-23 2021-01-05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102236856B1 (ko) 2019-11-29 2021-04-06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220077328A (ko) 2020-12-02 2022-06-09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240036418A (ko) 2022-09-13 2024-03-20 정윤희 테이프 디스펜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99B1 (ko) 2006-04-19 2007-07-24 김택원 테이프 커터
KR102198717B1 (ko) 2019-08-23 2021-01-05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102236856B1 (ko) 2019-11-29 2021-04-06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220077328A (ko) 2020-12-02 2022-06-09 정윤희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240036418A (ko) 2022-09-13 2024-03-20 정윤희 테이프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6263A (en) Support for a tape which is adhesive on one or both of its faces
US2743523A (en) Carton opening knife
CA1041754A (en) Shaving apparatus with a holder for a cutting element
FI104474B (fi) Lukittavan terän käsittävä taskuveitsi, jossa on painonapilla varustettu lukituksen irrotuslaite
KR101734608B1 (ko) 한손 작동을 위한 접착 테이프 분배기
KR920006184Y1 (ko) 테이프 방출상
US5560105A (en) Replaceable blade cartridge for razor
US31334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tapes and removing the liner therefrom
US3991923A (en) Adhesive tape holder means
KR200295902Y1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US5235751A (en) Car emblem remover
US3349486A (en) Trimmer for trimming the edges of wallpaer and the like
US6491082B1 (en) Safety for blade of tape dispenser
KR102209579B1 (ko)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US2727646A (en) Tape dispenser
IE72190B1 (en) Hand-held tool
JP3774184B2 (ja) 光ファイバ心線テープ被覆除去具及び光ファイバ心線テープ被覆除去方法
KR102441096B1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US5181320A (en) Wallpaper trimming tool and its methods of use
KR102236856B1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JP2000229766A (ja) 粘着テープを貼着、切断する装置及び方法
JP3079681U (ja) 安全装置付きカッターナイフ
WO1990015007A1 (en) Tape dispenser
KR830000788Y1 (ko) 절첩식 칼날컷터
KR200220825Y1 (ko) 포장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