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28Y1 -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 Google Patents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28Y1
KR200295728Y1 KR2020020025839U KR20020025839U KR200295728Y1 KR 200295728 Y1 KR200295728 Y1 KR 200295728Y1 KR 2020020025839 U KR2020020025839 U KR 2020020025839U KR 20020025839 U KR20020025839 U KR 20020025839U KR 200295728 Y1 KR200295728 Y1 KR 20029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water pipe
drill
perfora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이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완 filed Critical 이기완
Priority to KR2020020025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28Y1/ko

Links

Landscapes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를 자화시킨 커팅날 내부로 유도하여 제거함으로써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수도관 분기작업을 할 수 있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에 관한 것이다.
이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는, 천공기의 동력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단부에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되는 드릴과, 상기 드릴의 둘레에 결합되고 내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중공관형 커터와, 상기 커터의 내측으로 상기 드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과, 상기 커터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원중심으로 기울어져 각각 부착되는 초경팁을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는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가 수도관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계량기의 여과기를 막아 출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Cutting section of perforator for a water main}
본 고안은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를 자화시킨 커팅날 내부로 유도하여 제거함으로써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수도관 분기작업을 할 수 있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관의 분기에 있어서, 작업시 단수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부단수 천공기를 사용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천공기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천공기의 절삭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1)의 분기부에 새들(2)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새들(2)의 위로 차례대로 볼밸브(3)와 천공기(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새들(2)은 일측이 개방된 단면상 반구형으로 분할되어 있고, 서로 볼트(2a)에 의해 고정되어 플랜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도관(1)의 분기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새들(2)의 양단에는 패킹(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천공기(4)로 누수를 방지하고 있고, 상기 새들(2)의 개방부에는 볼밸브(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볼밸브(3)는 핸들(3a)의 조작으로 개폐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볼밸브(3)의 상부에는 착탈식의 천공기(4)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도관을 분기하는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볼밸브(3)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천공기(4)를 상기 수도관(1)으로 전진시켜 천공한다.
이와 같은 천공작업을 완료하고 상기 천공기(4)를 후퇴시킨 후, 상기 볼밸브 (3)를 폐쇄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천공기(4)를 분리하고 분기관을 장착하며, 그 후 상기 볼밸브(3)를 개방하면 분기작업이 완료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4)의 내부에 구비되어 중심축을 이루는 스핀들(4a)의 단부에는 드릴(5)이 장착되는데, 상기 드릴(5)은 끝이 뽀족한 일반 드릴로, 상기 스핀들(4a)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천공기는 일반 드릴 공구를 사용하므로, 천공시 절삭된 쇳가루가 수도관 속으로 유입되어 녹물을 발생시키고, 수돗물을 오염시키며, 계량기에 부착된 여과기를 막아 출수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천공 작업시 수도관 안으로 쇳가루가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키고, 계량기를 막히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 것은 결국 천공기의 절삭 작업으로부터 생성되는 쇳가루를 제거하지 못하는 데에 요인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를 외부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수도관 분기작업을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공기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천공기의 절삭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공기의 절삭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a : 스핀들 12 : 드릴
13 : 커터 13a : 나선형 홈
13b : 구멍 14 : 자석
15 : 초경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는,
천공기의 동력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단부에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되는 드릴과, 상기 드릴의 둘레로 결합되고 내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중공관형 커터와, 상기 커터의 내측으로 상기 드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과, 상기 커터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원중심으로 기울어져 각각 부착되는 초경팁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공기의 절삭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다.
천공기의 절삭부에 있어서, 스핀들(4a)은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도면 부호를 같게 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의 절삭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천공기의 동력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4a)과, 상기 스핀들(4a)의 단부에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되는 드릴(12)과, 상기 스핀들(4a)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드릴(12)의 둘레에 결합된 중공관형 커터(13)와, 상기 커터(13)의 내측으로 상기 드릴(1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1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커터(13)의 내면에는 나선형 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직경 방향을 관통하여 2개 이상의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초경팁(15)이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홈(13a)은 천공시 절삭작업에서 생성되는 주철 수도관의 쇳가루를 상기 커터(13) 내면에 부착되어 있게 하고, 상기 구멍(13b)은 천공작업을 위해 내부의 공기를 빼거나 상기 자석(14)을 해체하기 위하여 기구를 삽입할 때 쓰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12)과 커터(13)는 종래와 달리 자화되어 있으므로,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를 부착하여 쇳가루가 수도관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즉, 절삭작업 중에 생기는 쇳가루는 상기 드릴(12)의 외주면과, 상기커터(13) 내측 상부에 부착된 자석(14)과, 상기 커터(13)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13a)으로 유도되어 부착되며, 절삭 작업이 끝난 후 천공기의 절삭부를 분해하여 쇳가루를 제거하므로, 수도관 속으로 유입되지 않고, 계량기의 여과기를 막아 출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터(13)에 내장된 자석(14)은 절삭된 수도관의 쇠붙이를 부착한 채 빠져 나오게 되고, 상기 커터(13)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13a)은 쇳가루가 벽면에서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초경팁(15)은 외측보다 내측이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커터(13)의 원중심으로 기울어져 회전할 때 쇳가루를 내측으로 모이게 하여 효과적으로 수집제거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경팁(15)은 각각 원의 직경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소정의 각으로 휘어지게 부착되어 상기 커터(13)의 회전에 의한 저항을 덜 받도록 한다.
여기에서, 화살표는 절삭작업시 커터(13)의 회전방향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초경팁(15)은 상기 커터(13)의 원주면 각 지점에서 위 화살표와 수직하지 않고 평행한 방향쪽으로 보다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초경팁(15)은 상기 커터(13)의 원주면 각 지점에서 회전방향(원심력방향)보다 예각으로 기울어져 회전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절삭된 쇳가루를 상기 커터(13)의 내측으로 모이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천공기의 절삭부에 장착되는 드릴(12)과 커터 (13)는 자성을 띠고, 상기 커터(13)의 내측에는 자석(14)이 결합되어 절삭 작업시생성되는 쇳가루를 부착하여 제거한다.
즉, 천공 작업 초기부터 쇳가루는 커터(13) 내면에 가공된 나선형 홈(13a)을 타고 내측으로 밀려와 내장된 자석(14)에 부착되고, 마지막에 남는 도너츠형 쇠붙이는 드릴(12)과 커터(13) 사이에 끼어져 있다가 천공 작업 종료 후 제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천공기에 장착되는 드릴과 커터를 자화시키고 상기 커터의 내측에 자석을 장착함으로써, 천공 작업시 생성되는 쇳가루가 수도관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터 내부에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 작업시 주철 수도관의 절삭으로 인해 생성되는 쇳가루가 수도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물이 오염되지 않고 계량기의 여과기를 막아 출수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Claims (6)

  1. 수도관을 분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천공기의 절삭부에 있어서,
    천공기의 동력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4a);
    상기 스핀들(4a)의 단부에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되는 드릴(12);
    상기 드릴(12)의 둘레에 결합되는 중공관형 커터(13);
    상기 커터(13)의 내측으로 상기 드릴(1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14)을 포함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13)의 회전방향으로 원심각보다 예각으로 기울어져 부착되고, 상기 커터(13)의 원중심으로 기울어져 외측보다 내측이 짧은 길이를 갖으며, 상기 커터(13)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는 초경팁(15)을 포함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13)의 내면에 나선형 홈(13a)을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13)의 상부에 직경 방향을 관통하여 2개 이상의 구멍(1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12)은 자화시켜 자성을 띠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13)는 자화시켜 자성을 띠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KR2020020025839U 2002-08-29 2002-08-29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KR20029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39U KR200295728Y1 (ko) 2002-08-29 2002-08-29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39U KR200295728Y1 (ko) 2002-08-29 2002-08-29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728Y1 true KR200295728Y1 (ko) 2002-11-18

Family

ID=7307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39U KR200295728Y1 (ko) 2002-08-29 2002-08-29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579B (zh) 深孔切削装置
US20120285749A1 (en) Drill bit and production method
US2348874A (en) Oilhole drill
CN111774587B (zh) 一种自吸套料钻及使用方法
US20110268519A1 (en) Method for Forming Through-Hole
CN106794597B (zh) 吸尘钻头以及吸尘单元
US4084636A (en) Hydraulic junk retriever
WO2008137438A1 (en) Circular cutter having improved centering characteristics
KR100610886B1 (ko) 절삭편의 회수가 가능한 천공장치 및 방법
US20050028306A1 (en) Apparatus and bit for cleaning pipes
US4275796A (en) Rock drilling tool
KR200295728Y1 (ko) 수도관용 천공기의 절삭부
US3113630A (en) Drill bit
JP4057863B2 (ja) 深穴切削装置
JP4815137B2 (ja) 水道配管の穿孔カッター
JPH04101811A (ja) 穿孔方法
US3055239A (en) Deep-hole drill and reamer
CN208825741U (zh) 一种去内孔毛刺刀具
DE10054850A1 (de) Bohrer für Gestein
KR200211548Y1 (ko) 건식 코어드릴용 비트
JPH07290444A (ja) ダイヤモンドコアビット
KR102368019B1 (ko) 드릴 비트
CN209510240U (zh) 一种导向装置
JPS5917528Y2 (ja) 不断水穿孔装置の切屑排出装置
CN202180537U (zh) 薄壁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