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470Y1 -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470Y1
KR200295470Y1 KR2020020025888U KR20020025888U KR200295470Y1 KR 200295470 Y1 KR200295470 Y1 KR 200295470Y1 KR 2020020025888 U KR2020020025888 U KR 2020020025888U KR 20020025888 U KR20020025888 U KR 20020025888U KR 200295470 Y1 KR200295470 Y1 KR 200295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window
opening
closing
roll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2020020025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470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을 하부롤러에서 약 ⅔ 정도 받고, 상부롤러에서 약 ⅓ 정도 부담하므로서 미닫이 창문의 개폐가 자연스럽고 무리가 가지 않아 소음발생이 없는등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미닫이 창문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롤러와, 상기 미닫이 창문의 상단 일측으로 L 자형 고정판을 다수개의 나사로 고정하되, 상기 L 자형 고정판의 일측면으로 2 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L 자형 이동판 일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장공에 각각 고정핀을 삽입 고정하며, 상기 L 자형 고정판과 L 자형 이동판의 각 바닥면으로 연결 설치된 연결봉에 각각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L 자형이동판의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부롤러를 삽설하며, 상기 상부롤러 하측에 상단 문틀로 설치된 상부레일이 안착되도록 설치하여서 결합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로서,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이 미닫이 창문 하단으로 위치된 하부롤러에 약 ⅔ 정도 실리고, 나머지 약 ⅓ 정도는 미닫이 창문 일측단의 상부레일에 안착 형성된 상부롤러로 분담되므로 미닫이 창문의 개폐가 자연스러움은 물론, 개폐에 무리가 없으며, 소음발생도 없어 수명을 장기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닫이 창문의 개폐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이 하부롤러에서만 받지 않도록 미닫이 창문 상단 일측으로 상부롤러를 L 자형 이동판에 설치하여 상단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과 연결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창문의 하중을 하부롤러가 약 ⅔ 정도 받고, 상부롤러가 약 ⅓ 정도 부담하여 미닫이 창문의 개폐가 자연스럽고 무리가 가지 않으므로 소음발생도 없이 장기간 사용 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의 경우에는 하단문틀에 하부레일이 설치된 상측으로 미닫이 창문을 안착 설치하는데, 상기 미닫이 창문의 하단으로 하부롤러가 설치되고, 상단으로는 상부레일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미닫이 창문이 개폐되므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을 하부롤러에서만 모두 받아 창문개폐시 무거운 하중에 의해 창문개폐가 부자연스럽고 소음이 발생하는등 많은 무리가 발생하여 창문이 손쉽게 파손되는 폐단이 발생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을 하부롤러에서 약 ⅔ 정도 받고, 상부롤러에서 약 ⅓ 정도 부담하므로서 미닫이 창문의 개폐가 자연스럽고 무리가 가지 않아 소음발생이 없는등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미닫이 창문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롤러와, 상기 미닫이 창문의 상단 일측으로 L 자형 고정판을 다수개의 나사로 고정하되, 상기 L 자형 고정판의 일측면으로 2 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L 자형 이동판 일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장공에 각각 고정핀을 삽입 고정하며, 상기 L 자형 고정판과 L 자형 이동판의 각 바닥면으로 연결 설치된 연결봉에 각각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L 자형이동판의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부롤러를 삽설하며, 상기 상부롤러 하측에 상단 문틀로 설치된 상부레일이 안착되도록 설치하여서 결합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로서,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 미닫이 창문의 하중이 미닫이 창문 하단으로 위치된 하부롤러에 약 ⅔ 정도 실리고, 나머지 약 ⅓ 정도는 미닫이 창문 일측단의 상부레일에 안착 형성된 상부롤러로 분담되므로 미닫이 창문의 개폐가 자연스러움은 물론, 개폐에 무리가 없으며, 소음발생도 없어 수명을 장기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전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이 설치된 싱태의 전체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10 : 미닫이 창문 20 : 하부롤러
30 : L 자형 고정판 31 : 통공 32 : 바닥면 40 : 나사
50 : L 자형 이동판 51 : 장공 52 : 바닥면 53 : 구멍
60 : 고정핀 70 : 연결봉 80 : 스프링 90 : 상부롤러
100 : 상단문틀 110 : 상부레일
미닫이 창문(10)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롤러(20)와, 상기 미닫이 창문(10)의 상단 일측으로 L 자형 고정판(30)을 다수개의 나사(40)로 고정하되, 상기 L 자형 고정판(30)의 일측면으로 2개의 통공(3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1)에 L 자형 이동판(50) 일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장공(51)에 각각 고정핀(60)을 삽입 고정하며, 상기 L 자형 고정판(30)과 L 자형 이동판(50)의 각 바닥면(32),(52)으로 연결 설치된 연결봉(70)에 각각 스프링(80)이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L 자형 이동판(50)의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된 구멍(53)에 상부롤러(90)를 삽설하며, 상기 상부롤러 (90) 하측에 상단문틀(100)로 설치된 상부레일(110)이 안착되도록 설치하여서 결합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1)의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 200 " 은 하단문틀이고, " 210 " 은 하부레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1)는 상하단문틀(100), (200) 사이에 미닫이 창문(10)을 설치하되, 하단문틀(200)에 설치된 하부레일(210)상측으로 상기 미닫이 창문(10)의 하부롤러(20)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단문틀 (100)에 설치된 상부레일(110)에 미닫이 창문(10)의 상단 일측으로 설치된 상부롤러(90)를 안착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미닫이 창문을 개폐시 미닫이 창문(10)의 하중이 하부레일(210)에 안착된 하부롤러(20)에 약 ⅔ 정도 받고, 상부레일(110)에 안착된 상부롤러(90)가 약 ⅓ 정도 하중을 지탱하는데, 미닫이 창문(10)이 개폐되면서 이동시 미닫이 창문(10)의 상단 일측에 다수개의 나사(40)로 L 자형 고정판 (30)이 고정되고, 상기 L 자형 고정판(30)의 통공(31)과 L 자형 이동판(50)의 장공(51)에 삽설된 고정핀(60)으로 고정된 L 자형 이동판(50)의 구멍(53)에 삽입 설치된 상부롤러(90)가 상부레일(110) 상단에서 회전 이동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불규칙한 무리한 힘은 L 자형 고정판(30)과 L 자형 이동판(50)의 각 바닥면(32),(52)에 설치된 연결봉(70)의 스프링(80)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장공(51)을 통해 L 자형 이동판(50)이 상하 이동되며 무리없이 미닫이 창문(10)이 슬라이드 개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1)는 미닫이 창문(10)이 개폐시 하부롤러(20)는 하단문틀(200)의 하부레일(210)에 안착되어 미닫이 창문 (10)의 하중의 약 ⅔ 정도 힘을 받고, 상부롤러(90)는 상단문틀(100)의 상부레일 (110)에 안착되어 미닫이 창문(10)의 하중을 약 ⅓ 정도 지탱 시켜주므로, 종래 하부레일에서만 전체의 하중을 받아 개폐가 어렵고 소음이 발생되어 수명이 짧았던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 해결하여 미닫이 창문(10)의 슬라이드 개폐시 발생하는 하중을 상, 하측에 설치된 상, 하부롤러(90),(20)가 각각 분담 및 분배시켜 작동되므로 미닫이 창문(10)의 개폐가 자연스럽고 무리가 가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소음발생도 없어지게 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특히, 미닫이 창문(10) 상단 일측에 고정된 L 자형 고정판(30)과 장공(51)에서 상, 하 이동되게 결합 설치된 L 자형 이동판(50)의 각 바닥면(32),(52)에 설치된 연결봉(70)과 스프링(80)에 의해 미닫이 창문(10)이 슬라이드 되며 쿠숀이 발생되어 더욱 안전하고도 무리없이 개폐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 상기 상부롤러(90) 하측으로 와이어를 사용하여 자동개폐되는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미닫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미닫이 창문(10)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롤러(20)와, 상기 미닫이 창문(10)의 상단 일측으로 L 자형 고정판(30)을 다수개의 나사(40)로 고정하되, 상기 L 자형 고정판(30)의 일측면으로 2개의 통공(3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1)에 L 자형 이동판(50) 일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장공(51)에 각각 고정핀(60)을 삽입 고정하며, 상기 L 자형 고정판(30)과 L 자형 이동판(50)의 각 바닥면(32),(52)으로 연결 설치된 연결봉(70)에 각각 스프링(80)이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L 자형 이동판(50)의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된 구멍(53)에 상부롤러(90)를 삽설하며, 상기 상부롤러 (90) 하측에 상단문틀(100)로 설치된 상부레일(110)이 안착되도록 설치하여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1).
KR2020020025888U 2002-08-30 2002-08-30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KR200295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88U KR200295470Y1 (ko) 2002-08-30 2002-08-30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88U KR200295470Y1 (ko) 2002-08-30 2002-08-30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470Y1 true KR200295470Y1 (ko) 2002-11-18

Family

ID=7312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88U KR200295470Y1 (ko) 2002-08-30 2002-08-30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4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392A (ko) *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
KR101369499B1 (ko) 2013-11-27 2014-03-04 주식회사 희락가구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392A (ko) *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
KR101871851B1 (ko) * 2011-12-22 2018-06-2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
KR101369499B1 (ko) 2013-11-27 2014-03-04 주식회사 희락가구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39814U (zh) 一种滑趟门下滑轮组件的改良结构
KR200295470Y1 (ko) 미닫이 창문 개폐장치
US20110041287A1 (en) Side load carrier and balance system for window sashes
JP3203981U (ja) 落下防止用の平開式アルミニウム合金窓
RU2005136982A (ru) Делитель пространства
KR100588426B1 (ko) 행거식 문용 호차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N201254913Y (zh) 适用于折叠门的上轨滑轮装置
CN206972004U (zh) 一种用于木门上的装饰组件
KR102014841B1 (ko)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DK1596020T3 (da) Skillevæg
KR19990009079U (ko) 창문용 호차
CN211058550U (zh) 悬吊式拉门结构和滑移组件
JP2005350932A (ja) 網戸装置
CN201045275Y (zh) 对开折叠纱门
CN214659535U (zh) 一种兼具锁紧和限位功能的安装机构及其滑撑铰链
KR200456497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CN213569027U (zh) 一种联动式施工电梯
AU2016100639A4 (en) A Sliding Window Arrangement
KR20090003147U (ko) 미닫이 도어 개폐장치
CN216380970U (zh) 一种淋浴房使用的淋浴门结构
CN213097435U (zh) 一种室内用窗帘支撑架
DE69706499D1 (de) Schliessblech, insbesondere für einen aufzug
KR20017474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CN216822462U (zh) 一种折叠床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