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466Y1 - 휴대용 조립식 평상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립식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466Y1
KR200295466Y1 KR2020020025871U KR20020025871U KR200295466Y1 KR 200295466 Y1 KR200295466 Y1 KR 200295466Y1 KR 2020020025871 U KR2020020025871 U KR 2020020025871U KR 20020025871 U KR20020025871 U KR 20020025871U KR 200295466 Y1 KR200295466 Y1 KR 200295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ortable
pipe
support fram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식
Original Assignee
허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식 filed Critical 허영식
Priority to KR2020020025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466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등을 부설할 수 있는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각각 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된 재치판과, 상기 재치판을 지지하며 연결관과 봉체로 구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며 특히 경사진 면등이나 기타 얕은 수면위에도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립식 평상{A PORTABLE FABRICATE FLAT BENCH}
본 고안은 텐트등을 부설할 수 있는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상기 평상을 조립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며 특히 경사진 면등이나 기타 얕은 수면위에도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은 실외나 야외에서 사람이 쉴 수 있도록 구성된 침상의 일종으로서 통상 평평한 형상의 판재의 저면 각 모서리부에 받침다리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지면이 습한 곳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평상위로 텐트나 천막등을 부설할 경우 지면의 습기등이 텐트내로 스며들지 않게 되며, 또한 텐트 바닥이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평상의 경우 부피와 무게등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나감에 따라 휴대 및 이동이 곤란함으로서 야외에서의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즉, 이러한 문제로 인해 평상의 구성인 판재와 받침다리를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 차량등에 간편히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평상이 선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절첩식 평상의 경우 지지부재인 받침다리의 높이 조절이 되지 못함으로서 지면이 일정각도 이상 경사진 지형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지면이 울퉁불퉁한 곳에서는 설치가 어느정도 용이하지만 일정각도 이상의경사진 지형인 비탈진 곳에서의 사용시 평상의 판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지면과 같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서 텐트등을 부설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텐트등을 부설할 수 있는 통상의 평상에 있어서, 상기 텐트가 안착되는 재치판과, 상기 재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조립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구성인 봉체를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관에 삽입 고정함으로서 비탈진 지형에서도 평상의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텐트를 부설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있어서, 수직결합관과, 상기 수직결합관의 외주면에 상호 직각 되게 형성된 수평결합관을 구비한 연결관과, 상기 수직결합관에 삽입되며 커플링에 의해 고정되는 봉체로 구성되어 상기 평상의 네 모서리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된 각각의 수평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종, 횡간파이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횡간파이프의 끝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각각의 수평결합관을 구비한 연결프레임과, 상기 종, 횡간파이프에 안착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평판으로 구성된 재치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a와 도 2b는 도 1에서 도시한 재치판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도시한 지지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의 형상 및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프레임 12: 연결관
14: 봉체 16: 커플링
18: 수직결합관 20a,20b,21a,21b: 수평결합관
26: 종간파이프 27: 횡간파이프
30: 연결프레임 32: 보강벨트
36: 재치판 38: 평판 40: 경첩 42: 고정쇠 50: 텐트 100: 휴대용 조립식 평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조립식 평상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100)은 다수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각각 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된 재치판(36)과, 상기 재치판(36)을 지지하며 연결관(12)과 봉체(14)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연결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100)의 구성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와 도 2b는 도 1에서 도시한 재치판의 형상 및 절첩상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재치판(36)은 각각의 개별적인 평판(38)이 경첩(40)에 의해 상호 접철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을 가진다. 이때 상기 경첩(40)은 각각의 평판(38)이 접촉되는 부위의 상, 하부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평판(38)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경첩(40)의 접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재치판(36)은 "??"형상을 가진 고정쇠(42)로 결속된다. 즉, 보다 상세히는 다수의 재치판(36)을 후술할 종, 횡간파이프(26, 27)에 안착할 시, 상기 재치판(36)의 네모서리면에 형성된 관통공(41)으로 상기 고정쇠(42)를 삽입하여 각각의 재치판(36)들을 상호 결속시킴으로서 사용중에 상기 재치판(36)들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도시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30)의 형상 및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은 원통의 형상을 가진 수직결합관(18)의 외주면으로 수평결합관(20a, 20b)이 각각 상호 직각되게 형성된 연결관(12)과, 상기 연결관(12)의 수직결합관(18)에 삽입되는 봉체(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결합관(18)에 삽입되는 봉체(1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커플링(16)으로 고정된다. 즉, 봉체(14)를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수직결합관(18)에 삽입한 후, 상기 커플링(16)의 체결공(23)에 볼트등의 고정수단(24)을 체결함으로서 상기 봉체(14)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결합관(18)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관(20a, 20b)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재치판(36)이 안착되는 종, 횡간파이프(26, 27)가 각각 삽입된다.
한편, 전술한 연결프레임(30)은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10)중앙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구성은 지지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인 연결관(12)의 수직결합관(18)으로 봉체(14)가 삽입되어 커플링(16)에 의해 고정되며, 다만 상기 연결관(12)의 수직결합관(18)에 형성된 수평결합관(21a, 21b)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닌 동일선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수평결합관(20b)에 삽입된 횡간파이프(27)의 타측단부를 각각 삽입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지지프레임(10)의 중앙에 설치되어 횡간파이프(27)를 각각 삽입 고정함으로서 상기 횡간파이프(27)의 처짐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수평결합관(20a, 20b, 21a, 21b)에 삽입 고정된 종, 횡간파이프(26, 27)의 중앙에는 일종의 보강재역활을 하는 별도의 종간파이프(26)가 설치되며, 상기 종간파이프(26)는 횡간파이프(27)에 끼워진 T형연결관(28)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종간파이프(26)에는 다수의 보강벨트(3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통상의 파스너(34)로 부착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관(12)의 수직결합관(18)에 봉체(14)를 삽입한 후, 커플링(16)으로 고정하여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30)을 차례로 조립한 다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직결합관(18)에 형성된 각각의 수평결합관(20a, 20b)으로 종, 횡간파이프(26, 27)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관(20b)에 일측이 삽입된 횡간파이프(27)의 타측단부를 각각 연결프레임(30)의 수평결합관(21a, 21b)에 삽입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의 골조를 조립한다. 이때 지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에는 상기 봉체(1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평상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다 상세히는 봉체(14)를 고정한 커플링(16)의 고정수단(24)을 해제한 뒤, 지면의 경사각의 높이차 만큼 상기 봉체(14)를 승, 하강시켜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상기 봉체(14)에 커플링(16)을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100)은 지면의 경사각에 상관없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횡간파이프(27)에 각각 T형연결관(28)을 끼운 뒤, 별도의 종간파이프(26)를 상기 T형연결관(28)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종간파이프(26) 사이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벨트(32)를 횡방향으로 부착한 다음, 상기 종, 횡간파이프(26, 27)와 보강벨트(32)의 위로 판상의 형상인 다수의 재치판(36)을 안착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재치판(36)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고정쇠(42)를 상기 재치판(36)의 관통공(41)에 삽입시킴으로서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100)은 완성된다.
즉, 본 고안인 휴대용 조립식 평상(100)위로 통상의 텐트(50)등을 부설함으로서 지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평상은 항시 수평을 유지하며 텐트(50)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텐트등을 부설할 수 있는 통상의 평상에 있어서, 상기 텐트가 안착되는 재치판과, 상기 재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조립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며,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구성인 봉체를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비탈진 지형에서도 평상을 항시 일정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텐트를 부설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있어서,
    수직결합관(18)과, 상기 수직결합관(18)의 외주면에 상호 직각 되게 형성된 수평결합관(20)을 구비한 연결관(12)과, 상기 수직결합관(18)에 삽입되어 커플링(16)에 의해 고정되는 봉체(14)로 구성되어 상기 평상의 네 모서리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연결관(12)에 형성된 각각의 수평프레임(20a, 20b)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종, 횡간파이프(26, 27)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횡간파이프(27)의 끝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각각의 수평결합관(21a, 21b)을 구비한 연결프레임(30)과;
    상기 종, 횡간파이프(26, 27)에 안착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평판(38)으로 구성된 재치판(3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종간 파이프(26)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벨트(32)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재치판(36)은 고정쇠(42)에 의해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평판(38)사이에는 경첩(40)이 설치되어 각각 절첩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상.
KR2020020025871U 2002-08-30 2002-08-30 휴대용 조립식 평상 KR200295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71U KR200295466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조립식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71U KR200295466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조립식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466Y1 true KR200295466Y1 (ko) 2002-11-18

Family

ID=7312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71U KR200295466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조립식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4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03Y1 (ko) 2013-07-31 2014-08-22 김형숙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CN109276433A (zh) * 2018-11-10 2019-01-29 天津魁都科技有限公司 便携式小型活水水疗设备
KR102259648B1 (ko) * 2020-03-29 2021-06-02 이창만 소수력 발전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KR20220012527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일레저 낚시 좌대용 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03Y1 (ko) 2013-07-31 2014-08-22 김형숙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CN109276433A (zh) * 2018-11-10 2019-01-29 天津魁都科技有限公司 便携式小型活水水疗设备
KR102259648B1 (ko) * 2020-03-29 2021-06-02 이창만 소수력 발전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KR20220012527A (ko) * 2020-07-23 2022-02-04 (주)동일레저 낚시 좌대용 프레임
KR102484622B1 (ko) 2020-07-23 2023-01-04 (주) 동일레저 낚시 좌대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222B2 (en) Adjustable support brace and mounting shoe
US20040056169A1 (en) Umbrella stand
US7448400B2 (en) Modular frame with parabolic top
US10900252B2 (en) Cover assembly for an enclosure
US6229497B1 (en) Antenna mounts
JP2004270432A (ja) 組み立て式バンガロー
KR200295466Y1 (ko) 휴대용 조립식 평상
CA2491305C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050205124A1 (en) Collapsible shelter having a reinforced truss and telescoping leg
KR20170050374A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US6148834A (en) Modular tent platform system
CA2229401A1 (en) Multiple flying pole tent
CN101868586A (zh) 具有杆定位器的帐篷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JP3905842B2 (ja) 移動式組立基礎および組立式家屋
KR200272758Y1 (ko) 들마루형 텐트
KR200314423Y1 (ko) 야외용 조립식 평마루
KR200485213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평상
KR102571379B1 (ko) 히치 리시버 장착형 에어매트 텐트
KR200497272Y1 (ko) 난간용 서포터
CA2353050C (en) Fence structure for use on uneven terrain
KR102557666B1 (ko) 데크 로드 구조물 및 그 설치 공법
KR960005933Y1 (ko) 텐트골조의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