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71Y1 - 유리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71Y1
KR200294671Y1 KR2020020017012U KR20020017012U KR200294671Y1 KR 200294671 Y1 KR200294671 Y1 KR 200294671Y1 KR 2020020017012 U KR2020020017012 U KR 2020020017012U KR 20020017012 U KR20020017012 U KR 20020017012U KR 200294671 Y1 KR200294671 Y1 KR 200294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bracket
hinge device
plate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스텍
Priority to KR2020020017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71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1)이 형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지지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21)과; 상기 회전브라켓(121)에 고정되며, 각각 나사홈(122a)이 형성된 고정돌부(122b)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상기 고정돌부(122b)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23b)가 관통되는 관통공(123a)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도어 힌지장치{Glass hinge}
본 고안은 유리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샤워부스는 사용자가 선 상태로 샤워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가정주택이나 아파트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샤워부스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며, 샤워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욕실을 언제나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건식 욕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샤워부스에는 사용자가 출입하기 위한 유리도어가 설치된다.
도 1 은 종래의 유리도어 힌지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a ∼ 2d 는 도 1의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유리도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리도어 힌지장치는, 샤워부스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을 가지는 베이스(10)와, 지지브라켓(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리도어(30)를 고정 지지하는 도어지지부를 포함한다. 도어지지부는, 지지브라켓(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회전브라켓(21)과, 유리도어(30)를 양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브라켓(21)의 양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브라켓(22)(23)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브라켓(2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루며, 상단의 양 모서리는 돌출되며 둥그런 형상의 둥근단(21a)을 이룬다.
상기와 같은 유리도어 힌지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홈을 유리도어에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도어(30)의 가장자리에 근접된 지점에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2 개의 구멍(31)을 형성하는 드릴링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커터 또는 다이아몬드 실을 사용하여 유리도어(30) 가장자리로부터 구멍(31)까지 잘라서 절개선(32)을 만드는 절개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커터를 이용하여 양 구멍(31) 사이에 절개홈(33)을 내는 절개홈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손을 이용하여 절개된 부분을 잡고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면, 절개된 부분은 절개홈(33)을 중심으로 절단되면서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홈(35)이 형성된다.
다음, 절개홈(33) 부분은 날카로우므로,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절개면 처리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상기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홈(35)에 설치한다. 즉, 설치홈(35)에 회전브라켓(21)을 위치시킨 후 플레이트브라켓(22)(23)을 볼트(25)를 이용하여 회전브라켓(21)의 나사공(24)에 고정시키면, 플레이트브라켓(22)(23)은 설치홈(35) 주위의 유리도어를 잡아주어 결국 힌지장치는 유리도어(3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유리도어에 설치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5 단계, 즉, 양 구멍(31)을 형성하는 드릴링 단계, 절개선(32)을 내는 절개단계, 절개홈(33)을 내는 절개홈 형성단계, 절개된 부분에 강한 힘을 인가하는 단계, 절개된 부분을 표면처리하는 절개면 처리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각각의 단계는, 대상이 쉽게 깨지는 유리도어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게 수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가공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가공비용은 결국 시공비에 포함되어 결과적으로 샤워부스의 설치비가 상승하여 대중화에 걸림돌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유리도어(30)는 그 하중에 의하여 힌지장치의 플레이트브라켓(22)(23) 사이에서 미끄러져 결국 회전축이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면, 유리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유리도어의 단부가 바닥에 부딪치게 되어 유리도어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유리도어 시공을 할 수 있는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유리도어 힌지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2a ∼ 2d 는 도 1의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을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1의 힌지장치를 유리도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의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전,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이 유리도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a, 도 4b 의 힌지장치를 유리도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111 ... 지지브라켓
121 ... 회전브라켓 122 ... 제1플레이트브라켓
122a ... 나사홈 122b ... 고정돌부
122c ... 끼움보호부재 123 ... 제2플레이트브라켓
123a ... 관통공 123b ... 볼트
130 ... 유리도어 131 ... 설치공
142, 143 ... 제1,2개스킷 142a, 143a ... 관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 힌지장치는,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1)이 형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지지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21)과;
상기 회전브라켓(121)에 고정되며, 각각 나사홈(122a)이 형성된 고정돌부(122b)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상기 고정돌부(122b)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23b)가 관통되는 관통공(123a)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회전브라켓(121)은 일체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122b)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그 고정돌부(122b)가 유리도어(1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보호부재(122c)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의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전,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의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이 유리도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a, 도 4b 의 힌지장치를 유리도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 힌지장치는, 소정의 장소, 본 실시예에서는 샤워브스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1)이 형성된 베이스(110)와, 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리도어(130)를 고정 지지하는 도어지지부를 포함한다.
도어지지부는, 지지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21)과, 회전브라켓(121)에 고정되는 금속성의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제1플레이트브라켓(122)에 결합되는 금속성의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으로 구성된다.
제1플레이트브라켓(122)에는 나사홈(122a)이 형성된 고정돌부(122b)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에는 고정돌부(122b)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23b)가 관통되는 관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플레이트브라켓(122)은 본 실시예에서 회전브라켓(1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플레이트브라켓을 회전브라켓과 별개로 제작한 후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브라켓을 회전브라켓에 결합할 수도 있다.
고정돌부(122b)에는 그 고정돌부(122b)가 유리도어(13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보호부재(122c)가 설치될 수 있다. 끼움보호부재(122c)는 적어도 유리의 경도보다 작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석면등과 같은 가요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제2플레이트브라켓(123) 사이에는, 그 제1,2플레이트브라켓(122)(123)을 유리도어(13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2개스킷()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스킷(142)은 제1플레이트브라켓(122) 측에 배치되며, 고정돌부(122b)가 관통되는 관통공(14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개스킷(143)은 제2플레이트브라켓(123) 측에 배치되며, 관통공(123a)에 대응되는 관통공(14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11)의 상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홈(미도시)이 형성되고,회전브라켓(121)에는 그 회전브라켓(121)이 회전됨에 따라 홈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홈 및 스토퍼는 공지의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유리도어 힌지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홈을 유리도어에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도어(130)에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설치공(131)을 형성한다. 설치공(131)은 유리도어(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하게 된다.
다음, 상기한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31)에 설치한다. 즉, 유리도어(130)의 일측에서 끼움보호부재(122c)가 끼어진 제1플레이트브라켓(122)의 고정돌부(122b)를 설치공(131)에 끼운 후, 유리도어(130)의 반대편에서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을 관통하는 볼트(123b)를 고정돌부(122b)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은 상호 체결되면서 제1,2플레이트브라켓(122)과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이 유리도어(130)의 양면을 잡아주게 된다. 이때, 제1,2플레이트브라켓(122)(123) 사이에는 유리도어(13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상술한 제1,2개스킷(142)(143)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도어(130) 하중의 대부분은 끼움보호부재(122c)가 끼어진 고정돌부(122b)에 의하여 지지되고, 나머지는 제1,2플레이트브라켓(122)(123) 사이의 개스킷(142)(143)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유리도어(130)의 하중에 의하여 제1,2플레이트브라켓(122)(123) 사이에서 미끄러지려 하여도, 설치공(131)의 움직임이 끼움보호부재(122c)가 끼어진 고정돌부(122b)에 의하여 제지되므로, 결국 유리도어(130)는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유리도어의 회전축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도어의 단부가 바닥에 부딛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돌부를 가지는 유리도어 힌지장치를 채용함으로써, 그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유리도어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양 구멍(31)을 형성하는 드릴링 단계, 절개선(32)을 내는 절개단계, 절개홈(33)을 내는 절개홈 형성단계, 절개된 부분에 강한 힘을 인가하는 단계, 절개된 부분을 표면처리하는 절개면 처리단계가 필요 없고, 단지 설치공(131)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유리도어의 가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시공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 유리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제1,2플레이트브라켓 사이에서 미끄러지려 하여도, 설치공의 움직임이 끼움보호부재가 끼어진 고정돌부에 의하여 제지되므로, 결국 유리도어는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유리도어의 회전축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도어의 단부가 바닥에 부딛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1)이 형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지지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21)과;
    상기 회전브라켓(121)에 고정되며, 각각 나사홈(122a)이 형성된 고정돌부(122b)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상기 고정돌부(122b)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23b)가 관통되는 관통공(123a)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브라켓(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브라켓(122)과 회전브라켓(121)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122b)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그 고정돌부(122b)가 유리도어(1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보호부재(12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 힌지장치.
KR2020020017012U 2002-06-03 2002-06-03 유리도어 힌지장치 KR200294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12U KR200294671Y1 (ko) 2002-06-03 2002-06-03 유리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12U KR200294671Y1 (ko) 2002-06-03 2002-06-03 유리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671Y1 true KR200294671Y1 (ko) 2002-11-13

Family

ID=7307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012U KR200294671Y1 (ko) 2002-06-03 2002-06-03 유리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89B1 (ko) * 2007-09-17 2008-06-16 오세진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KR200468702Y1 (ko) 2011-10-04 2013-08-29 (주)아이엔디 샤워부스용 유리 도어장치
KR101428739B1 (ko) 2013-07-04 2014-08-08 지피에스코리아(주) 발포수지체 포장상자용 힌지 조립체
WO2019164032A1 (ko) * 2018-02-23 2019-08-29 유성덕 플레이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89B1 (ko) * 2007-09-17 2008-06-16 오세진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KR200468702Y1 (ko) 2011-10-04 2013-08-29 (주)아이엔디 샤워부스용 유리 도어장치
KR101428739B1 (ko) 2013-07-04 2014-08-08 지피에스코리아(주) 발포수지체 포장상자용 힌지 조립체
WO2019164032A1 (ko) * 2018-02-23 2019-08-29 유성덕 플레이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결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418A (en) Access panel assembly with door and multi-functional frame
JPH10238220A (ja) 幅調整枠材
KR200294671Y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KR200276540Y1 (ko) 배선의 수용이 용이한 배전반
KR200312717Y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EP1533201A4 (en) STEERING COLUMN DEVICE
KR200257240Y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KR100623085B1 (ko) 유리도어 힌지바아
KR200277546Y1 (ko) 샤워부스용 도어 힌지브라켓
KR100463026B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리도어 시공방법
KR200381394Y1 (ko) 유리패널 측부프로파일
KR200308433Y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200200382Y1 (ko) 도어 스톱퍼
KR200209546Y1 (ko) 자물쇠용브라켓
JP4268584B2 (ja) 窓開閉装置の取付け方法
KR200226143Y1 (ko) 캐비닛 마운팅용 브래킷
KR20220082251A (ko) 힌지장치를 이용한 유리도어 시공방법
KR20180017729A (ko)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KR200419669Y1 (ko) 도어용 레버록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WO2006060018A1 (en) Adjustable door hinge
KR920000144Y1 (ko) 도어용 손잡이
KR19990030413U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340781Y1 (ko)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