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14Y1 - 다공 어스 링 터미널 - Google Patents

다공 어스 링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14Y1
KR200294614Y1 KR2020020025201U KR20020025201U KR200294614Y1 KR 200294614 Y1 KR200294614 Y1 KR 200294614Y1 KR 2020020025201 U KR2020020025201 U KR 2020020025201U KR 20020025201 U KR20020025201 U KR 20020025201U KR 200294614 Y1 KR200294614 Y1 KR 200294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erminal
earth ring
ground
wir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선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5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1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어스 링 터미널의 볼트체결홀을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접지 연결될 체결볼트와 너트부의 직경에 사용 제한을 적게 받아서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다공 어스 링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은 접지 프레임에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한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고정부로 이루어진 어스 링 터미널에 있어서, 몸체부의 타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통공 형성되어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체결볼트로 접지 프레임과 접지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공 어스 링 터미널{multi-hole earth ring terminal}
본 고안은 다공 어스 링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 프레임에 접지하기 위한 어스 링 터미널(earth ring terminal) 상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볼트체결홀을 다수개 형성하여 접지될 접지 프레임의 너트부 직경에 대응되는 볼트체결홀을 용이하게 선택 적용 할 수 있어서 사용 장소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공 어스 링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포함하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는 곳에는 배터리의 전위와 동일한 전위를 최단거리에서 얻기 위하여 전선을 통하여 접지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해서는 어스 링 터미널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자동차에는 섀시와 보디에 전기장치가 다수 이용되는데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와 축전지를 전원으로 하며,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 전기장치로 구분된다.
엔진 전기장치는 점화장치, 기동장치 및 충전장치 등으로 되어있고, 점화장치는 실린더에 압축된 혼합가스에 전기적으로 불꽃을 튀겨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기동 장치는 내연 기관은 연료와 공기가 있어도 자기 기동을 할 수 없으므로 외력에 의해 크랭크축을 회전시켜야 하며, 충분한 회전 속도가 있어야 한다.
충전 장치는 엔진이 정상으로 운전될 때, 자동차의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 그 일부를 축전지에 충전하는 장치이며 발전기, 발전기 조정기 등의 주요 부품으로 되어 있다.
섀시 전기장치는 보안상 중요한 조명장치, 윈드시일드 와이퍼 및 차 안을 쾌적한 상태로 하기 위한 난방 장치, 냉장 장치, 또는 에어 콘디셔너 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섀시 전기장치에는 차체 부속 전기장치도 포함되는데 차체 부속 전기장치는 자동차의 거주성을 좋게 하기 위한 장치이며, 라디오, 난방장치, 냉방장치 또는 에어컨디셔너가 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 장치는 전기 장치와 배선이 연결되거나, 전기 장치와 전기장치가 연결될 때 배선이 필요하며, 이 배선의 양끝에 링 터미널을 결합하여 전기 장치나, 기계 장치 그리고 차체패널 등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어스 링 터미널(10)은 체결볼트(20)를 통하여 접지 프레임(22)의 너트부(24)에 체결하기 위한 몸체부(12)와, 몸체부(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전선(17)을 감아서 연결 고정하기 위한 전선 고정부(16)와, 몸체부(12)의 일측에 하나 통공 형성되어 체결볼트(20)를 삽통하여 접지 프레임(22)의 너트부(24)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홀(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17)은 외피인 피복과 피복의 내부에 삽설된 와이어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전선 고정부(16)의 안쪽으로 와이어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전선 고정부(16)는 전선(17)의 피복을 고정하고 와이어 고정부(18)는 와이어를 접지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어스 링 터미널은 볼트체결홀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할 전장품의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볼트체결홀의 직경을 선택하기 위해 다수개 구비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어스 링 터미널은 부하나 용량이 다른 전장품에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어스 링 터미널에 다수개의 볼트체결홀을 구비하여 전장품의 부하나 용량에 따라 달라지는 체결볼트의 직경에 따라 어스 링 터미널을 번갈아 구비할 필요가 없는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은 전장품의 접지 프레임에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고정부로 이루어진 어스 링 터미널에 있어서, 몸체부의 타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통공 형성되어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체결볼트로 상기 접지 프레임과 접지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어스 링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어스 링 터미널의 접지 설치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의 접지 설치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어스 링 터미널 12,112: 몸체부
14,114: 볼트체결홀 16,116: 전선 고정부
17,117: 전선 18,118: 와이어 고정부
20,120: 체결볼트 22,122: 접지 프레임
24,124: 너트부 115a: 제 1체결볼트홀
115b: 제 2체결볼트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의 접지 설치되는 상태도이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은 전장품의 접지 프레임(122)에 전선(117)을 접지시키기 위한 몸체부(112)와, 몸체부(11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전선(117)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고정부(116)로 이루어진 어스 링 터미널(110)에 있어서, 몸체부(112)의 타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통공 형성되어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체결볼트(120)로 접지 프레임(122)과 접지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홀(114)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 링 터미널(earth ring terminal)(110)은 접지 프레임(122)과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몸체부(112)와, 몸체부(112)의 일단부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전선(117)을 감싸서 연결 고정하는 전선 고정부(117)와, 몸체부(112)의 타단부에 서로 다른 직경으로 통공 형성되어 각각에 체결볼트(120)를 삽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홀(1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117)은 외피를 이루고 있는 피복과 피복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2)에서 전선 고정부(117)의 안쪽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와이어 고정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 고정부(117)와 와이어 고정부(118)는 몸체부(112)의 일단부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선 고정부(117)는 전선(117)의 피복을 감아 고정하고 와이어고정부(118)는 도체(導體)인 와이어를 접지하기 위해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12)의 타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인 다수개의 볼트체결홀(114)이 통공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홀(114)은 서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분리되게 통공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연통 되게 통공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 링 터미널(110)의 몸체부(112)에는 서로 다른 직경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대략 숫자 '8'자 형상을 하고 있는 볼트체결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2)의 타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1볼트체결홀(115a)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2볼트체결홀(115b)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볼트체결홀(115a)이 제 2볼트체결홀(115b)보다 몸체부(112)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소정의 위치에 전원의 형상을 갖는 너트부(124)가 형성되어진 접지 프레임(122)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어스 링 터미널(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선 고정부(117)에는 전선(117)의 피복이 감겨 고정되고 와이어 고정부(118)에는 전선(117)의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가 감겨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스 링 터미널(110)은 전원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傳導性)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스 링 터미널(110)에는 접지 프레임(122)에 형성된 너트부(124)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한 쌍의 볼트체결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스 링 터미널(110)을 접지 프레임(122)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2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어스 링 터미널(110)이 접지 프레임(122)에 고정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 1,2볼트체결홀(115a,115b) 중 바람직한 어느 하나가 접지 프레임(122)에 형성된 너트부(124)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어스 링 터미널(110)을 접지 프레임(122)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너트부(124)의 직경이 몸체부(112)의 제 1볼트체결홀(115a)의 직경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면, 제 1볼트체결홀(115a)이 접지 프레임(122)에 형성된 너트부(124)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어스 링 터미널(110)이 접지 프레임(122)에 안착되면, 바람직한 체결볼트(120)를 어스 링 터미널(110)의 제 1볼트체결홀(115a)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120)와 너트부(124)의 직경이 몸체부(112)의 제 1볼트체결홀(115a)의 직경보다 크다면 체결볼트(120)와 너트부(124)의 직경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몸체부(112)의 제 2볼트체결홀(115b)이 대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120)를 회전시키며 죄면 어스 링 터미널(110)의 몸체부(112)는 접지 프레임(122)에 접하여 고정되고 전선(117)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공 어스 링 터미널에 의하면, 어스 링 터미널의 볼트체결홀을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접지 연결될 체결볼트와 너트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볼트체결홀에 체결볼트를 삽통할 수 있음으로 해서 구비하여야할 어스 링 터미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체결볼트의 직경에 따라 어스 링 터미널을 교체하여하 하는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접지 프레임에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고정부로 이루어진 어스 링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통공 형성되어 각각의 직경에 대응되는 체결볼트로 상기 접지 프레임과 접지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어스 링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홀은 서로 다른 직경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대략 '8'자 형상을 하며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어스 링 터미널.
KR2020020025201U 2002-08-23 2002-08-23 다공 어스 링 터미널 KR200294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01U KR200294614Y1 (ko) 2002-08-23 2002-08-23 다공 어스 링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01U KR200294614Y1 (ko) 2002-08-23 2002-08-23 다공 어스 링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614Y1 true KR200294614Y1 (ko) 2002-11-08

Family

ID=7307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01U KR200294614Y1 (ko) 2002-08-23 2002-08-23 다공 어스 링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99Y1 (ko) 2010-06-29 2011-09-08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인상고리
KR20130003376U (ko) * 2011-11-29 2013-06-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터미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99Y1 (ko) 2010-06-29 2011-09-08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인상고리
KR20130003376U (ko) * 2011-11-29 2013-06-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터미널
KR200481119Y1 (ko) 2011-11-29 2016-08-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4614Y1 (ko) 다공 어스 링 터미널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US6650087B2 (en) Vehicl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for use in the vehicle
US20070026738A1 (en) Accessory fuse harness
US4912595A (en) Simple high tension capacitor
US6614128B2 (en) On-vehicle wiring harness and weight red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242059B1 (ko) 링 터미널
US6491551B1 (en) Adjustable stud for through the wall connectors
US8021190B2 (en) Battery cable with provisions for integral circuit protection
KR200357907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터미널
KR100231663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접속장치
JP2003102116A (ja) プロテクタ
KR20210012275A (ko) 컨버터
JPH0968149A (ja) 点火装置
JP2003157819A (ja) 端子付給電モジュール
KR19980055418A (ko) 자동차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KR0185275B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전원 스위치
JPH0621223Y2 (ja) 高圧用簡易コンデンサ
JPH0129959Y2 (ko)
JPH075626Y2 (ja) 高圧用無接地型コンデンサ
JPH1111238A (ja) 自動車用アース接続具及び電源接続具
KR960006360Y1 (ko) 고압 콘덴서 캡
KR19990025352U (ko) 링 터미널의 회전 방지구조
ES2201346T3 (es) Dispositivo de encendido y control de inyeccion para el motor de combustion interna de un vehiculo automovil.
KR200217520Y1 (ko)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한 회로분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