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15Y1 -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 Google Patents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15Y1
KR200294515Y1 KR2020020024404U KR20020024404U KR200294515Y1 KR 200294515 Y1 KR200294515 Y1 KR 200294515Y1 KR 2020020024404 U KR2020020024404 U KR 2020020024404U KR 20020024404 U KR20020024404 U KR 20020024404U KR 200294515 Y1 KR200294515 Y1 KR 200294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y
auxiliary
lifter
maintenan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4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4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15Y1/en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전 포스트의 승하강 부재(캐리 및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승하강 부재와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lifting plate that can lift the vehicle body more safe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mber (carry and support arm) of the previous post, so that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use the lifting member and the lifting plate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It relates to a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configured.

본 고안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내부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리와 연결한 외부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리에는 그 캐리를 따라 승하강되게 보조 캐리가 설치되고 그 보조 캐리의 하부 끝단에는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판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 캐리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캐리와 결합되어 구동 시 상기 외부 캐리와 함께 승하강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osts are directly arrang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a cross beam connects the posts to each other at the top of each post, and each post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a lengthwis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inner carry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by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support arms for lifting the body can be horizontally folded or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carry connected to the inner carry. In the two-vehicle lifter installed for the maintenance, the auxiliary carry is installed on the inner carry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carry, the lif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y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carry, the auxiliary carr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Specially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with the outer carry when coupled with the carry selectively Have a gong.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Two-prong lifter for car maintenance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본 고안은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전 포스트의 승하강 부재(캐리 및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승하강 부재와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lifting plate that can lift the vehicle body more safe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mber (carrying and supporting arm) of the previous post, the operator's work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ock lift for automobile maintenance configured to selectively use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levating plate.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그 밑에서 자동차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vehicle maintenance lifter refers to a device configured to lift a car to a certain height by using a lifting means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and then perform a car maintenance work under it.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에는 기둥의 개수에 따른 2주식과 4주식이 있고, 기둥의 형태에 따른 기둥형과 대문형이 있으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아암의 형태에 따른 X자 형(매립형 X타입과 저상고 X타입 등)이 있다.Lifter for car maintenance has 2 and 4 stock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llars, pillar type and gate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llar, and X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rm lifting the body (embedded type X and low height) X type).

전술한 2주식은 기둥(포스트)이 2개인 형태이고, 4주식은 기둥이 4개인 것이며, 기둥형은 기둥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이고, 대문형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크로스 빔을 연결한 형태이다.The two shares mentioned above are two pillars (posts), four shares are four pillars, and the pillar type is a form in which the pill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gate type connects a cross beam between the pillar and the pillar. It is a form.

이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에 대한 종래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 도면에서는 좌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그 한쪽에만 도면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vehicle maintenance lifter configuration for a two-column gate lifter will be described briefly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only one side of the same configuration.

도 1, 2에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30)이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1 and 2, two posts 10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cross beam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s 10 to connect the posts 10 to each other do.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내부에서 하방에 위치한 유압실린더(13)의 로드(13a)에 고정부재(P)로 내부 캐리(12A)를 연결하여 포스트(10)의 가이드홈(11)을 통해 승하강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다.Each post 1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the fixing member (P) to the rod (13a) of the hydraulic cylinder (13) locate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post (10) By connecting the inner carry (12A)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the fitted state to be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guide groove 11 of the post (10).

상기 내부 케리(12A)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14)이 연설되어 내부 캐리(12A)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설치하고,지지 아암(14)은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A support arm 14 capable of lifting a vehicle body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inner carry 12A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inner carry 12A, and the support arm 14 is folded horizontally or has a length. It is installed to be stretchable in the direction.

그리고, 한쪽의 내부 캐리(12A)가 승강될 때 다른 쪽 내부 캐리도 동시에 함께 작동하도록 2개의 내부 캐리(12A)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 데, 그 와이어(W)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크로스 빔(30)의 양쪽에 설치한 상부 가이드롤러(R1)에 걸어지면서 한 측에는 내부 케리(12A)의 상부 측에 연결되고 다른 측은 포스트(1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내부 캐리(12A)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Then, when one inner carry 12A is lifted, the two inner carry 1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W so that the other inner carry also works togeth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ire W can be guided. While walking to the upper guide roller (R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beam 3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rry (12A) and the other side through the lower guide roller (R2)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st (1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rry 12A.

따라서 양측의 유압실린더(12)가 동시에 작동될 때 내부 캐리(12A)의 상부에연결한 와이어(W)는 위로 오르게 되고 반대측의 내부 캐리(12A)는 하단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내부 캐리(12A)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어 내부 캐리(12A)가 상승시 와이어(W)를 당기어 주게 됨에 따라 한측에서 풀어진 만큼 당기어주어 와이어(W)는 항시 적정의 텐션을 유지하며 잡아주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12 on both sid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 wire W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rry 12A rises up and the inner carry 12A on the opposite side passes through the lower guide roller R2 located at the bottom.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rry 12A. As the inner carry 12A pulls the wire W when it is raised, the wire W is pulled as much as it is released from one side, so that the wire W always maintains the proper tension. It becomes a state.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 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내부 캐리(12)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 데, 이때 내부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치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arry 12, which is raised due to the oil leakag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 may slump, and a worker who is working under the inner carry 12 may be seriously injur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a latch mechanism L is provided at one post 10.

도면에서 T는 유압탱크이다.In the figure, T is a hydraulic tank.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차체의 중간 양쪽에 지지 아암(14)이 위치되도록 자동차를 전진시키고 지지 아암(14)을 회전시키고 신축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two-column gate lift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irst, the vehicle is advanced so that the support arms 14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middl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position is adjusted while rotating and stretching the support arms 14.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 내부 캐리(12A)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내부 캐리(12A)에 고정된 지지 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다.Then, the hydraulic cylinder 13 is operated to raise the inner carry 12A,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arm 14 fixed to the inner carry 12A is also raised to lift the vehicle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내부 캐리(12)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guide rollers (R1) (R2) by the wire (W) to maintain the tension, it is configured to work simultaneously while supporting both the inner carry (12).

그러나, 종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의 경우에는 자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매번 정비 작업 시마다 지지 아암의 회전각과 신축 길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wo-column gate lifter, the work was very troublesome because the rotation angle an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upport arm must be adjusted at every maintenance work so as to support itself.

또한, 지지 아암은 피봇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취약하여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arm is pivotally coupled, its structure is very fragile and always pose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매립형 X타입 및 저상고 X타입과 같은 X자형 리프터의 구성을 보면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아암이 서로 크로스 결합되고, 아암의 상부에는 차체를 들어 올리기 위한 승강판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X-shaped lifter, such as the buried X-type and low-rise X-type, the arm opera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is cross-coupled with each other, the lif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for lifting the vehicle body .

이러한 종래 X자형 리프터는 2주식 리프터와는 달리 지지 아암의 회전각과 신축길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승강판을 이용하여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그 승강판에 의해서 정비할 부분이 가려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작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This conventional X-shaped lifter has a merit that it is possible to lift the vehicle body more safely by using a lifting plate, without the need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and extension length of the support arm, unlike the two-row lifter, while the part to be maintained by the lifting plate Occasionally this happens, which is a great challenge for the job.

본 출원인은 2주식과 X자형 리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2주식의 지지 아암과 X자형 리프터의 승강판을 서로 조합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지지 아암과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Applicant has conducted research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wo stocks and the X-shaped lifter. As a result, the operator selects the supporting arms and the lifted plates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by combining the supporting arms of the two stocks and the lifting plates of the X-shaped lifter. It is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전 포스트의 승하강 부재(캐리 및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승하강 부재와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정비작업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ifting plate that can lift the vehicle body more safe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mber (carry and support arm) of the previous post, so that the operator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levating plate to provide a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mote safety in maintenance work.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stock lifter for a conventional car maintenance

도 2는 유압실린더와 내부캐리의 결합상태를 평면상으로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inner carry on a plan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와 승강판의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state of the two seat lifter and lifting plate for automobile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10 : 포스트1: 2 post lifter for car maintenance 10: Post

11 : 가이드홈 12A : 내부 캐리11: guide groove 12A: inner carry

12B : 외부 캐리 12a : 중공부12B: outer carry 12a: hollow part

12b, 15a : 관통홀 13 : 유압실린더12b, 15a: Through hole 13: Hydraulic cylinder

13a : 로드 14 : 지지 아암13a: Rod 14: Support Arm

15 : 보조 캐리 16 : 승강판15: auxiliary carry 16: lifting plate

16a : 유동방지 돌기 17 : 고정핀16a: flow preventing projections 17: fixing pin

18 : 유동 방지 판 18a : 슬롯18: flow prevention plate 18a: slot

19 : 가변판 30 : 크로스 빔19: variable plate 30: cross beam

R1 : 상부 가이드롤러 R2 : 하부 가이드롤러R1: Upper guide roller R2: Lower guide roller

L : 래치기구 W : 와이어L: Latch Mechanism W: Wi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고안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내부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리에 연결한 외부 캐리를 따라 승하강되게 보조 캐리가 설치되고 그 보조 캐리의 하부 끝단에는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판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 캐리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캐리와 결합되어 구동 시 상기 외부 캐리와 함께 승하강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osts are directly arrang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a cross beam connects the posts to each other at the top of each post, and each post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a lengthwis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inner carry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by the hydraulic cylinde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rry is installed for the car maintenance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arms for lifting the body can be horizontally folded or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 In the stock lifter, an auxiliary carry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an outer carry connected to the inner carry, and a lifting plate for supporting a vehicle body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auxiliary carry, and the auxiliary carry is selectively selected by a connecting means. Coupled with the carry has a featu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external carry when driving.

그리고, 상기 외부 캐리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에는 보조 캐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outer carry is configured such that a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and an auxiliary carry is selectively fitted in the hollow part.

또한, 상기 외부 캐리의 하부 중간에는 슬롯을 갖는 유동 방지 판이 고정되고, 이와 대응되는 승강판의 상면에는 슬롯에 끼워지는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low preventing plate having a slot is fixed to the lower middle of the outer carry, and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fitted to the slo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lifting plate.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외부 캐리와 보조 캐리의 상부에는 각각 서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는 선택적으로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rry and the auxiliary carry each through hole to be penetrated with each other, the fixing hole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와 승강판의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vehicle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ifting state of the two-wheeled lifter for car maintenance and lif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위 첨부도면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본 고안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는 좌우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좌우 구성 중 한쪽에만 도면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related art, and the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on the left and right, and thus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number.

종래 도면과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1)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30)이 2개의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two-stock lifter 1 for automobile mainte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ior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wo posts 10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he post ( At the top of the 10, a cross beam 3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posts 10 with each other.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10)내에서 유압실린더(13)에 의해서 가이드홈(11)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한 내부 캐리(12a)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외부 캐리(12B)를 설치한다.Each post 10 has a guide groove 1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and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 by the hydraulic cylinder 13 in each post 10. The outer carry 12B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inner carry 12a.

상기 외부 캐리(12B)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14)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On both lower sides of the outer carry 12B, support arms 14, which can lift a vehicle body (not shown), are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folded or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한쪽의 내부 캐리(12A)가 승강될 때 다른 쪽 내부 캐리도 동시에 함께 작동하도록 2개의 내부 캐리(12A)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 데, 그와이어(W)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크로스 빔(30)의 양쪽에는 상부 가이드롤러(R1)가 설치되고, 일측 포스트(10)의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롤러(R2)가 설치된다.Then, when one inner carry 12A is lifted, the two inner carry 1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W so that the other inner carry also works togeth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ire W can be guided. Upper guide rollers R1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ross beam 30, and lower guide rollers R2 ar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one side post 10.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 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내부 캐리(12A)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 데, 이때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치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arry 12A, which is lifted up due to oil leakag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 may sit down. At this time, the worker working under the carry 12 may be seriously injur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the latch mechanisms L are provided at both posts 10.

본 고안의 특징으로 내부 캐리(12A)와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는 외부 캐리(12B)는 그 캐리(12B)를 따라 승하강되게 보조 캐리(15)가 설치되고 그 보조 캐리(15)의 하부 끝단에는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판(16)이 고정된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arry 12B,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carry 12A and descends togethe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arry 15 to be lowered along the carry 12B, and a lower end of the auxiliary carry 15 is provided. The lifting plate 16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y is fixed thereto.

상기 외부 캐리(12B)는 그 내부에 중공부(12a)가 형성되는 데, 그 중공부(12a)에는 보조 캐리(15)가 선택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The outer carry 12B has a hollow portion 12a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12a is configured to slid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arry 15 is selectively fitted.

상기 보조 캐리(15)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외부 캐리(12B)와 결합되어 구동 시 외부 캐리(12B)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The auxiliary carry 15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arry 12B by a connecting means so as to be lowered together with the outer carry 12B during driving.

상기 연결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의 상부에는 각각 서로 관통되는 관통홀(12b)(15a)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12b)(15a)에는 선택적으로 고정핀(17)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ans, through holes 12b and 15a penetrating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rry 12B and the auxiliary carry 15,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s 12b and 15a are optional. The fixing pin 17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따라서 자동차 정비 작업을 함에 있어서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를 서로 연결시키지 않고 사용하면종래와 같이 지지 아암(14)만 승하강되며, 승강판(16)을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 캐리(12B)의 중공부(12a)안으로 보조 캐리(15)를 끼운 상태에서 관통홀(12b)(15a)을 일치시키고 그 관통홀(12b)(15a)에 고정핀(17)을 끼워서 외부 캐리(12)와 보조 캐리(15)를 결합시키면 된다. 이렇게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를 서로 결합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13)의 작동으로 외부 캐리(12B)가 승하강할 때 보조 캐리(15)도 캐리(12)와 함께 승하강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arm 14 is used in the automobile maintenance work, when the external carry 12B and the auxiliary carry 15 are us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the support arm 14 is raised and lowered as before, and the lifting plate ( In the case of using 16, the through holes 12b and 15a coincide with the auxiliary carry 15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2a of the outer carry 12B, and the fixing pins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s 12b and 15a. The external carry 12 and the auxiliary carry 15 can be joined by inserting (17). When the outer carry 12B and the auxiliary carry 1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auxiliary carry 15 also moves with the carry 12 when the outer carry 12B moves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3 as shown in FIG. 5. It is going up and down.

상기 외부 캐리(12B)의 하부 중간에는 유동 방지 판(18)이 고정되는 데, 그 유동 방지 판(18)의 중간 하부에는 수직으로 슬롯(18a)이 형성된다.A flow preventing plate 18 is fixed in the lower middle of the outer carry 12B, and a slot 18a is formed vertically in the middle lower portion of the flow preventing plate 18.

상기 유동 방지 판(18)과 대응되는 위치, 즉 승강판(16)의 상면에는 슬롯(18a)에 끼워지는 유동방지 돌기(16a)가 형성된다.A flow preventing protrusion 16a fitted to the slot 18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preventing plate 18,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16.

따라서,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때에는 유동방지 돌기(16a)가 슬롯(18a)에서 빠져 있다가 승강판(16)을 사용할 때에는 유동방지 돌기(16a)가 슬롯(18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 중에 보조 캐리(15)가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arm 14 is used,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16a is pulled out of the slot 18a, and when the lifting plate 16 is used,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16a is maintained in the slot 18a. The auxiliary carry 15 is not shaken during the operation.

상기 승강판(16)의 양측에는 가이드봉(16b)을 설치하여 가이드봉(16b)이 끼어지는 가이드홀(19a)을 형성한 가변판(19)을 결합하여 승강판(16)의 폭을 선택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16 are provided with guide rods 16b to couple the variable plate 19 to form guide holes 19a through which the guide rods 16b are fitted, thereby selectively selecting the width of the elevating plate 16. It can be made larg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은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지지 아암(14)을 사용하거나 또는 승강판(16)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에를 들어 바퀴부분이나 차량의 엔진부 등 전후부분 등 승강판(16)이 들어 올릴 때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정비할 경우 승강판(16)을 사용하고 승강판(16)에 의해 정비할 부분이 가려질 때에는지지 아암(14)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고, 또한 중량 차를 정비할 때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승강판(16)을 사용하는 등의 작업자가 작업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use the support arm 14 or selectively use the lifting plate 16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for example, lifting plate (16) such as front and rear parts such as the wheel portion or the engine portion of the vehicle. ) When using the lifting plate 16 to cover the parts that are not covered when lifting, and when using the lifting plate 16 to cover the parts to be serviced, use the support arm 14 to work. When there is a need to lift more safely when the maintenance is to be used by the operator, such as using the lifting plate 16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working conditions.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경우는 종래의 작동과 동일한 바 그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using the support arm 14,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conventional ope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차체의 양쪽 중간에 지지 아암(14)이 위치되도록 자동차를 전진시시키고, 지지 아암(14)을 회전시키거나 신축시켜서 그 위치를 조절한다.First, the vehicle is advanced so that the support arms 14 are positioned at both middle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arms 14 is rotated or expanded to adjust the position thereof.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구동시켜 로드(13a)를 신장시키면, 이때 로드(13a)에 고정된 내부 캐리(12A)의 상승으로 함께 외부 캐리(12B)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외부 캐리(12B)에 고정된 지지 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다.Then, when the rod 13a is extended by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13, the outer carry 12B is raised together with the rise of the inner carry 12A fixed to the rod 13a,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carry 12B. The support arm 14 fixed to) is also raised to lift the vehicle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내부 캐리(12A)가 동시에 작동된다.At this time, the wires W maintain tension by the upper and lower guide rollers R1 and R2 so that both inner carry 12A is simultaneously operated.

이번에는 승강판(16)을 사용할 때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is time look at the operation when using the lifting plate (16) is as follows.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차체의 양쪽 중간에 승강판(16)이 위치되도록 자동차를 전진시키며, 이때 지지 아암(14)은 양쪽으로 벌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s advanced so that the elevating plate 16 is positioned at both the middl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upport arm 14 maintains the open state on both sides.

그 다음, 관통홀(12b)(15a)을 서로 일치시키고 그 관통홀(12b)(15a)에 고정핀(17)을 끼워서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를 결합시킨다.Then, the through holes 12b and 15a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fixing pin 17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s 12b and 15a to couple the outer carry 12B and the auxiliary carry 15 together.

이때, 유동방지 돌기(16a)가 슬롯(18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 중에 보조 캐리(15)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16a is maintained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slot 18a so that the auxiliary carry 15 does not shake during the operation.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를 서로 결합시킨 후,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 로드(13a)를 신장시키면 이때 로드(13a)에 고정된 내부 캐리(12A)와 함께 외부 캐리(12B)에 의하여 지지 아암(14)이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 캐리(12B)에 결합된 보조 캐리(15)와 승강판(16)도 상승되면서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다.After the outer carry 12B and the auxiliary carry 1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ydraulic cylinder 13 is operated to extend the rod 13a. At this time, the outer carry (12A) is fixed to the rod 13a together with the outer carry ( The support arm 14 is raised by 12B,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carry 15 and the elevating plate 16 coupled to the outer carry 12B are also raised to lift the vehicle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한편, 외부 캐리(12A)와 보조 캐리(1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관통홀(12b)(15a)과 고정핀(17)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외부 캐리(12B)와 보조 캐리(15)를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라도 무방하며, 승강판(16)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판(16)의 측면에 신축 가능한 가변판(17)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external carry 12A and the auxiliary carry 15,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only the through-hole 12b (15a) and the fixing pin 17, but the external carry 12B and Any member capable of connecting the auxiliary carry 15 may be used, and the flexible variable plate 17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plate 16 to adjust the width of the elevating plate 1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수도 있고 승강판(16)을 사용하여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may selectively use the support arm 14 or the lifting plate 16 to perform the work more efficiently and safely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전 포스트의 승하강 부재(캐리 및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승하강 부재와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정비작업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ifting plate for lifting the vehicle body more safe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mber (carry and support arm) of the previous post,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select the lifting member and the lifting plate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It can be us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mote safety in maintenance work.

Claims (5)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내부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The two posts are directly plac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cross beam connects the posts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sts, and each post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each carry has an inner carry. The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rry is installed on the two-vehicle lifter for car maintenance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arms for lifting the body can be horizontally folded or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상기 내부 캐리에는 외부 캐리를 연결하여 그 외부 캐리를 따라 승하강되게 보조 캐리가 설치되고 그 보조 캐리의 하부 끝단에는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판이 고정되며, 상기 보조 캐리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외부 캐리와 결합되어 구동 시 상기 외부 캐리와 함께 승하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The inner carry is connected to the outer carry and the auxiliary carry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uter carry,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carry is fixed to the lif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y, the auxiliary carry is selectively extern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The two-stock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carry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external carry when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캐리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에는 상기 보조 캐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The two-vehicle lifter for vehicle mainten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carry has a hollow formed therein, and the auxiliary carry is selectively fitted in the hollow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캐리의 하부 중간에는 슬롯을 갖는 유동 방지 판이 고정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는 슬롯에 끼워지는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alf of the outer carry is fixed to the flow preventing plate having a slot,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two-lift lift for automobile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flow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lot is form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상기 외부 캐리와 보조 캐리의 상부에는 각각 서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는 선택적으로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rry and the auxiliary carry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each other, the through hole is a two-vehicle lift for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양측에 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판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The two-seat lifter for vehicle mainten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ariable plate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widths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KR2020020024404U 2002-08-16 2002-08-16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KR2002945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04U KR200294515Y1 (en) 2002-08-16 2002-08-16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04U KR200294515Y1 (en) 2002-08-16 2002-08-16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38A Division KR20040012252A (en) 2002-08-02 2002-08-02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15Y1 true KR200294515Y1 (en) 2002-11-08

Family

ID=7312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04U KR200294515Y1 (en) 2002-08-16 2002-08-16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1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392B1 (en) Roof top tent structure
KR100896200B1 (en) A indicating apparatus of sign-car for the direction
CA3062652A1 (en) Vehicle lift device
KR200294515Y1 (en)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KR20040012252A (en)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JPH01503052A (en) Improved lift platform for road vehicles and trailers
KR100615920B1 (en) The side lift device of tow car
KR200294516Y1 (en)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KR20040012254A (en)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KR100407393B1 (en) A movable working pulley
JP2000327262A (en) Overturning prevention device for portal lifter
US4886145A (en) Underground vehicle lift
JPH04226298A (en) Elevating base for vehicle
JP3824750B2 (en) Parking equipment gate equipment
KR970002445Y1 (en) Folding lift with expansion arms
KR100597370B1 (en) Lifter for vehicle
JPH04228778A (en) Parking device for parking car on platform
JPH0550877A (en) Vertical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for truck gate plate
KR200156654Y1 (en) Lifting apparatus
JP3833675B2 (en) Maximum lift positioning device for load receiving platform in load receiving platform lifting device
KR100388754B1 (en) elevating platform
JP4198874B2 (en) Hydraulically driven parking equipment
JP4415886B2 (en) Elevator safety device
JP2004210483A (en) Stage difference solving elevator
KR200322820Y1 (en) A parking apparatus using 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