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087Y1 -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 Google Patents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087Y1
KR200294087Y1 KR2020020021263U KR20020021263U KR200294087Y1 KR 200294087 Y1 KR200294087 Y1 KR 200294087Y1 KR 2020020021263 U KR2020020021263 U KR 2020020021263U KR 20020021263 U KR20020021263 U KR 20020021263U KR 200294087 Y1 KR200294087 Y1 KR 200294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crete
branch pipe
dr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희
Original Assignee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1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087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배수관과 여기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달리하거나 유량을 분기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분기관을 일체로 연결하여 시공한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벽체(150)에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이 연결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외측으로 구배진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이루어져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150)에 형성되는 관구(30a)에 분기관(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시공과 분기관(30)의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진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한다. 또한, 누수 방지의 상승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분기관(30)이 연결되어 있는 벽체(150)의 내부에 밀봉용 지수링(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의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누수가 방지되며,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Manifold-pipe Built-in Type Concrete Drain-pipe}
본 고안은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배수관과 여기에 연결되는 분기관을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 시에 일체로 연결하고, 그 연결부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배진 경사면을 갖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누수가 방지되며,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하수, 오ㆍ폐수 또는 화학용수 등을 소정의 정화시설로 흐르도록 하거나 우수, 농공업 용수 등을 관개(irrigation)하기 위해서는 흄관, 벤치 플륨관, U형 플륨관, V.R관, 수로관, 유공관 등과 같은 콘크리트제 관이나 PE 등의 플라스틱제 파이프 등이 수로를 형성하는 배수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배수관에는 수로의 흐름 방향을 달리하거나 유량을 분기하기 위하여 또 다른 배수관이 연결되어지는데, 이와 같은 배수관의 연결은 시공현장에서 직접 연결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토목, 건축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유량이 흐르는 배수로에는 흄관, 벤치 플륨관, U형 플륨관, V.R관, 수로관, 유공관 등과 같이 그 단면이 "ㄷ", "U", "o" 또는 "ㅁ"자 등의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제 배수관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콘크리트제 배수관에 연결되어 수로의 흐름 방향을 달리하거나 유량을 분기하는 데 사용되는 배수관으로는 주로 "o" 또는 "ㅁ"자 등의 단면을 갖는 흄관, V.R관, 수로관 등의 콘크리트제 배수관이나 PE 등의 플라스틱제 배수관이 사용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와 같이 더 많은 유량이 흐르는 콘크리트제 배수관을 "콘크리트 배수관",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의 측벽 또는 바닥에 연결되어 수로의 흐름 방향을 달리하거나 유량을 분기하여 더 적은 유량이 흐르는 콘크리트제 또는 플라스틱제 배수관을 "분기관"이라 정의하고,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는 단계와 이러한 콘크리트 배수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단계가 별도로 수행되었으며, 특히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의 연결부가 견고하지 못하였고, 그 연결부에 공극이 제대로 메워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측벽 또는 바닥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150)에 분기관(30)을 삽입할 수 있는 관구(30a)를 형성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을 대략 수평적으로 삽입한 후, 여기에 형성된 공극에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 등의 밀봉제(5)를 봉입함으로써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을 연결하고 누수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상기 관구(30a)는 공장이나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시공 시에 형성되거나 또는 시공현장에서 직접 드릴(drilling) 작업을 통하여 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구(30a)는 여기에 삽입되는 분기관(30)의 외경보다 작거나 거의 같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기관(30)의 외부 둘레와 관구(30a)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극을 메우고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을 연결하기 위해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 등의 밀봉제(5)를 사용하여 공극을 봉입하고, 콘크리트 벽체(150)와 분기관(30)의 연결부 주위에도 도포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 1b에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의 연결구조가 직각 접속의 모서리 구조로 되어 그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견고하지 못하였다. 특히 완성된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의 조립체가 지하에 매설된 후, 상방에서 가해지는 지반 하중이 다르게 작용할 경우 전술한 연결부에 쉽게 균열이 발생하여 이 부분에서 유출된 오ㆍ폐수에 의해 지하수 및 토질이 오염되거나 이 부분으로 토사가 유입되어 분기관(30)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차량 등의 통행이나 약한 지진 등에 의해 충격적 하중이 가해질 경우는 연결부가 쉽게 파손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의 연결부에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세밀하게 발라도 공극이 제대로 메워지지 않았으며, 시간이 경과하여 시멘트나 모르타르가 경화됨에 따라 시멘트나 모르타르에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벽체(150) 및 분기관(30)으로부터 시멘트나 모르타르가 이탈하여 또 다른 공극이 형성되어 접촉이 불안함과 아울러 견고한 시공이 되지 못하고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의 연결부가 직각을 이루고 있고 연결부의 표면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와류(eddy flow)가 발생하고 마찰손실이 커짐에 따라 분기관(3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와류에 의해 연결부가 침식되었으며, 또한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시공단계와 여기에 분기관(30)을 연결하는 단계가 별도로 수행되고, 밀봉제(5)의 봉입 단계가 추가되어 공기 및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과 분기관의 연결을 일체로 동시에 시공하면서 그 연결부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배진 경사면을 갖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누수가 방지되며,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분기관이 일체로 연결된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의 연결부에 밀봉수단을 내입 구성함으로써 누수를 완전 방지할 수 있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은 종래 기술에 따라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이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콘크리트 배수관과 분기관이 연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도 1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라 분기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구형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깔때기형 연결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고안의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깔때기형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바람직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내외측 거푸집과 연결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축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반구형 연결부재 12 : 반구본체
16, 26 : 부착부 20 : 깔때기형 연결부재
22 : 관삽입부 23 : 슬릿부
24 : 확개부 25 : 조임밴드 홈
30 : 분기관 30a : 관구
40 : 밀봉용 지수링 45 : 조임 밴드
50 : 내측 거푸집 60 : 외측 거푸집
100 : 콘크리트 배수관 122' : 내부 경사면
122 : 외부 경사면 150 : 콘크리트 벽체
200 : 유량조절밸브 210 : 제1배수트랩
212,222 : 여과망 214,224 : 배수공
215 : 끼움돌부 216 : 손잡이부
225 : 끼움구멍 226 : 결합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50)에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이 연결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외측으로 구배진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이루어져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150)에 형성되는 관구(30a)에 분기관(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시공과 분기관(30)의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진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은 직선으로 구배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곡선으로 구배지게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내부 및 외부 경사면(122')(122)이 곡선으로 구배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a에서는 내부 경사면(122')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외부 경사면(122)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도 2a 및 도 2b에서는 분기관(30)이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측벽을 이루는 벽체(150)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시공목적에 따라서 바닥을 이루는 벽체(1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측벽 또는 바닥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150)의 관구(30a)가 형성될 부분에 분기관(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하는 단계와 이러한 콘크리트 배수관(100)에 분기관(30)을 연결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연결부가 내부 및 외부 경사면(122')(122)을 갖게 하여 연결이 견고하고,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는 누수 방지의 상승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분기관(30)이 연결되어 있는 콘크리트 벽체(150)의 내부에 밀봉용 지수링(4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벽체(150)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어지는 분기관(30)의 둘레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의 밀봉용 지수링(40)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밀봉용 지수링(40)이 콘크리트 벽체(150)에는 내삽되고 분기관(30)의 외주연에는 외삽되게 설치한다.
아울러, 콘크리트 배수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기관(30)에는 통상의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또는 여과 기능과 유량조절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육가식 밸브 등과 같은 유량조절밸브(200)를 구비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200)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이 특히 농업용 관개수로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인공적으로 공급하여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여과 기능과 유량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구성한 육가식 유량조절밸브(200)를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분기관(30)의 유입구에 설치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직선으로 구배지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육가식 유량조절밸브(200)는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여과망(212)과 배수공(214)이 번갈아 형성된 제1배수트랩(210)과, 상기 제1배수트랩(210)과 같이 여과망(222)과 배수공(224)이 번갈아 형성되고 분기관(30)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분기관(3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결합부(226)가 마련된 제2배수트랩(220)으로 구성된다. 여과망(212)(222)에는 소량의 유량이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토출공(212a)(2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제1배수트랩(210)의 중앙에는 제2배수트랩(220)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구멍(225)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1배수트랩(2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육가식 유량조절밸브(2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때 합성수지로 제조할 경우 상기 끼움돌부(215)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끼움구멍(225)에 쉽게 끼워지도록 그 단부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탄력성을 갖게 하고, 결합 후 끼움구멍(225)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턱을 형성한다. 그리고 금속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끼움돌부(215)의 단부에 너트체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끼움구멍(2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너트체결부에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체결한다.
따라서, 제1배수트랩(210)과 제2배수트랩(220)은 각각에 형성된 끼움돌부(215)와 끼움구멍(225)에 의해 결합되고 제1배수트랩(210)은 제2배수트랩(2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수트랩(210)의 직경은 제2배수트랩(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배수트랩(220)을 결합한 상태에서 분기관(30)에 삽입하면 제1배수트랩(210)에 의해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걸림턱(218)이 마련된다. 또한, 제1배수트랩(210)에는 손으로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여과망(212)과 배수공(214)으로 구획되는 부분에 여과망(212)으로부터 연장하여 손잡이부(2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배수트랩(210)은 제2배수트랩(2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되어 제1배수트랩(210)의 배수공(214)과 제2배수트랩(220)의 배수공(224)을 동일한 선상에 위치시키면 많은 유량이 분기관(30)으로 유입되며, 제1배수트랩(210)의 여과망(212)과 제2배수트랩(220)의 배수공(224)을 동일한 선상에 위치시키면 배수공(214)(224)에 유입될 유량을 여과망(212)(222)이 차단하여 분기관(30)으로는 적은 유량이 유입된다.
위와 같이 도 4a 및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은 육가식 유량조절밸브(200)를 사용하게되면, 유량조절과 동시에 콘크리트 배수관(100)으로 유체와 함께 흐를 수 있는 이물질을 여과망(212)(222)이 차단하여 여과 기능까지 도모할 수 있으며, 분기관(30)의 유입구에 끼움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200)에 있어서, 제1 및 제2배수트랩(210)(220)의 여과망(212)(222)에 토출공(212a)(222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제1배수트랩(210)의 여과망(212)과 제2배수트랩(220)의 배수공(224)을 동일한 선상에 위치시키면 유입되는 유량이 완전 차단될 수 있는 개폐식으로 구성할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유량조절밸브(200)를 분기관(30)에 설치할 경우 분기관(30)이 연결되어 있는 콘크리트 벽체(150)의 상부에 후크(152)를 매설하고, 유량조절밸브(200)의 제1배수트랩(210)에 형성된 손잡이부(216)에 체결공(216a)을천공하여 철사 또는 노끈 등으로 상기 체결공(216a)과 후크(152)를 체결시켜 상기한 바와 같은 유량조절밸브(2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밸브(200)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철사 또는 끈을 짧게 하여 임시적으로 유량조절밸브(200)를 콘크리트 벽체(150)의 후크(1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하는 단계와 여기에 분기관(30)을 연결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일체로 연결되어 그 연결부가 견고하고, 이 부분에 확실한 밀봉이 이루어짐으로써 누수가 방지된다. 특히,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벽체(150)와 분기관(30)의 연결부가 직각 모서리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연결구조에 반하여, 본 고안은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배지게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가 튼튼하고, 더욱이 상기 내부 경사면(122')은 분기관(30)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와류(eddy flow)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도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분기관(30)이 연결되어진 벽체(150) 내부에 밀봉용 지수링(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면 누수가 완전 방지되며, 이에 더하여 분기관(30)에 유량조절밸브(200)를 설치하면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특히 농업용 등의 관개수로용으로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을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시공단계에서 그 시공과 분기관(30)의 연결작업이 동시에 수행된다. 또한, 이와 같이 분기관(30)을 콘크리트 배수관(100)에 일체로 시공함에 있어서, 도 5a에 보인 바와 같은 반구형 연결부재(10)와 도 5b에 보인 바와 같은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사용한다.
상기 반구형 연결부재(10)는 도 5a에 보인 바와 같이 반구형상을 갖는 반구본체(12)와, 상기 반구본체(1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착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구본체(12)는 분기관(30)에 쐐기 형식으로 밀착되어 부착되며, 타측의 부착부(16)는 벽체(150)의 내부 벽면을 형성할 내측 거푸집(50)에 연결된다.
상기 깔때기형 연결부재(20)는 본 고안자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9933호(2001년 12월 24일 출원)에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도 5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일측에 배수관(30)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관삽입부(22)와, 상기 관삽입부(22)로부터 연장되어 타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곡선으로 확개된 원추 형상의 확개부(24)와, 상기 확개부(24)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 부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삽입부(22)에는 삽입되는 분기관(30)의 외경보다 관삽입부(22)의 내경이 클 경우, 조임 밴드(45, 도 6)에 의해 조여져 수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b에서 보았을 때 좌측 단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임의의 지점까지 절개된 다수의 슬릿부(23)가 임의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관삽입부(22)의 바깥 둘레에는 조임밴드(45)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조임밴드 홈(25)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c는 깔때기형 연결부재(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 확개부(24)를 관삽입부(22)로부터 연장하여 타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직선으로 확개시키고, 사각추 형상을 갖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반구형 연결부재(10) 및 깔때기형 연결부재(20)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성형하거나, 금속 또는 범포(canvas)와 같은 두꺼운 직물류 그리고 고무류 등을 사용하여 가공 또는 성형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내측 거푸집(50)과 외측 거푸집(60)이 사용되며 이러한 내측 및 외측 거푸집(50)(60)을 1개 또는 여러 개를 체결하여 콘크리트 벽체(150)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축하고, 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배수관(100) 형성용 내측 및 외측 거푸집(50)(60)은 일반적으로 목재 합판,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재와 이 판재를 지지하고 인접하는 거푸집(50)(60)과 웨지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웨지 구멍이 형성된 철제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내부 및 외부 경사면(122')(122)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150)의 내부 벽면을 형성하는 내측 거푸집(50)에는 도 5a에 보인 바와 같은 반구형 연결부재(10)의 부착부(16)를 연결하고, 벽체(150)의 외부 벽면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60)에는 도 5b에 보인 바와 같은 깔때기형 연결부재(20)의 부착부(26)를 연결한다. 즉, 외측 거푸집(60)에는 구멍을 뚫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도 5b에 보인 바와 같은 깔때기형 연결부재(20)가 외측 거푸집(60)의 바깥쪽 또는 안쪽 면에 연결되며, 내측 거푸집(50)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그 바깥쪽 면에 반구형 연결부재(10)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구형 연결부재(10)는 그 부착부(16)가 내측 거푸집(50)의 바깥쪽 판재 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볼트/너트, 못, 리벳 또는 피스 등으로 고정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내측 거푸집(50)에 반구형 연결부재(10)의 부착부(16)에 상응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의 테두리 면과 부착부(16)의 테두리 면을 서로 맞대어 연결함으로써 이 부분에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 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내측 거푸집(50)을 구성하는 판재(52)와 반구형 연결부재(10)를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철제 프레임이 없는 금속 판재(52)로 된 내측 거푸집(50)과 반구형 연결부재(10)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와 같은 일체형 거푸집은 내측 거푸집(50)과 반구형 연결부재(1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배제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더욱 매끄러운 콘크리트 타설 면을 갖게 한다.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외측 거푸집(60)에 연결함에 있어서도 상기 반구형 연결부재(10)를 내측 거푸집(50)에 연결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즉, 깔때기형 연결부재(20)가 연결되는 외측 거푸집(60)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에 부착부(26)를 적층한 상태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볼트/너트, 못, 리벳 또는 피스 등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를 깔때기형 연결부재(20)의 부착부(26)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하고, 이 개구부의 테두리 면과 부착부(26)의 테두리 면을 서로 맞대어 연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외측거푸집(60)과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철제 프레임이 없는 금속 판재(52)로 된 외측 거푸집(60)과 깔때기형 연결부재(20)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한다.
계속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와 같이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벽체(150) 형성용 내외측 거푸집(50)(60)에 반구형 연결부재(10)와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각각 연결한 후, 분기관(30)을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통하여 반구형 연결부재(10)의 반구본체(12)에 밀착시켜 끼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벽체(15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내측 거푸집(50)과 외측 거푸집(60) 사이에 적당한 굵기의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분기관(30)과의 결속을 강화하고 콘크리트의 유출을 완전 방지하기 위하여 깔때기형 연결부재(20)의 관삽입부(22)와 분기관(30)을 조임 밴드(45)로 견고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조임 밴드(45)의 결착 공정은 관삽입부(22)의 내경이 분기관(30)의 외경보다 클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그 관삽입부(22)의 내경이 분기관(3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연결부재(20)와 분기관(3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결착되게 한다. 특히, 이와 같이 깔때기형 연결부재(20)의 관삽입부(22) 내경과 분기관(30)의 외경이 동일하게 되면 관삽입부(22)와 분기관(30)을 조임 밴드(45)로 결착시키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1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어지는 분기관(30)의 둘레, 즉 반구형 연결부재(10)와 깔때기형 연결부재(20) 사이의 분기관(30) 둘레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의 밀봉용 지수링(40)을 추가로 설치하여 누수가 완전 방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내외측 거푸집(50)(60)과 반구형 연결부재(10) 및 깔때기형 연결부재(20) 그리고 조임 밴드(45)를 해체하면,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은 내부 경사면(122')이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외부 경사면(122)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150)의 관구(30a)에 분기관(30)이 일체로 견고히 결합된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이 시공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벽체(150)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있는 분기관(30)의 둘레에는 탄력성 재질의 밀봉용 지수링(40)이 내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구축함에 있어서, 내측 거푸집(50)에도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보인 바와 같은 깔때기형 연결부재(20)를 내측 거푸집(50) 및 외측 거푸집(60)에 공히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면, 도 4c에 보인 깔때기형 연결부재(20)는 그 확개부(24)가 직선으로 확개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직선으로 구배진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이 시공된다.
한편, 본 고안자의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내부 경사면(122')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내측 거푸집(5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0)(2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도 4a에 보인 같은 반구형 연결부재(10)를 사용하는 것이 시공 면에서 더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반구형 연결부재(10)을 사용하면 내측 거푸집(50)에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으며, 깔때기형 연결부재(20)보다는 그 형상이 단조롭기 때문에 특히 내측 거푸집(50)과 일체로 성형 시에 제조가 용이하며, 배수관(30)에 쐐기 형식으로 밀착시켜 부착되므로 분기관(30)과의 연결이 간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은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하는 단계와 여기에 분기관(30)을 연결하는 단계가 동시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연결부가 견고하고, 이 부분에 확실한 밀봉이 이루어져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콘크리트 배수관(100)의 벽체(150)와 분기관(30)의 연결부가 직각 모서리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연결구조에 반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체(150)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배지게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쉽게 균열이 가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그 연결부가 매끄럽고 미려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시공하는 단계와 여기에 분기관(30)을 연결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져 공기 및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배진 내부 경사면(122')이 형성됨에 따라 분기관(30)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와류가 형성되지 않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도모하며, 본 고안에 따라 분기관(30)이 연결되어진 벽체(150) 내부에 밀봉용 지수링(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면 누수 방지의 상승효과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분기관(30)에 유량조절밸브(200)를 설치하면 토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특히농업용 등의 관개수로용으로 아주 적합하다.

Claims (4)

  1.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50)에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이 연결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외측으로 구배진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이루어져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이 동시에 일체로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50)에 내삽되고 분기관(30)의 외주연에 외삽되는 밀봉용 지수링(40)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0)에 유량조절밸브(20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200)는 여과망(212)과 배수공(214)이 번갈아 형성되고 제2배수트랩(220)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끼움돌부(215)가 형성된 제1배수트랩(210)과, 상기 제1배수트랩(210)에 끼움 결합되도록끼움구멍(225)이 형성되고 여과망(222)과 배수공(224)이 번갈아 형성되며 분기관(30)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결합부(226)가 마련된 제2배수트랩(220)으로 구성되어 분기관(30)의 유입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KR2020020021263U 2002-07-16 2002-07-16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KR200294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63U KR200294087Y1 (ko) 2002-07-16 2002-07-16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63U KR200294087Y1 (ko) 2002-07-16 2002-07-16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087Y1 true KR200294087Y1 (ko) 2002-11-04

Family

ID=7307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263U KR200294087Y1 (ko) 2002-07-16 2002-07-16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0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4229A (zh) * 2019-06-06 2020-12-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4229A (zh) * 2019-06-06 2020-12-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CN112054229B (zh) * 2019-06-06 2024-06-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669A (en) Corrosion resistant leakproof plastic manhole system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294087Y1 (ko)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1826619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KR101335182B1 (ko) 농업용수 분수(分水)용 수로관
CN114045880A (zh) 一种地下室后浇带处理工艺
KR100938853B1 (ko)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42347B1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CN211353215U (zh) 装配式雨水花坛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E10129860B4 (de) Schachtbodenauskleidung zur Erstellung eines Kanalisationsschachtbodens
KR200277616Y1 (ko) 피씨 콘크리트 조립식 도로 배수암거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200277261Y1 (ko) 하수관 일체형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하수관일체형 맨홀 및 옹벽구체
KR100319658B1 (ko) 콘크리트 시공용 다발관 케이블 및 그를 이용한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102213359B1 (ko) 급속 시공이 가능한 빗물받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20010026627A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81471Y1 (ko) 수로관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