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978Y1 - 자수기용 오버 핀 - Google Patents

자수기용 오버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978Y1
KR200293978Y1 KR2020020023364U KR20020023364U KR200293978Y1 KR 200293978 Y1 KR200293978 Y1 KR 200293978Y1 KR 2020020023364 U KR2020020023364 U KR 2020020023364U KR 20020023364 U KR20020023364 U KR 20020023364U KR 200293978 Y1 KR200293978 Y1 KR 200293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verpin
pin
synthetic resin
ov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철
장준식
Original Assignee
장해철
장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해철, 장준식 filed Critical 장해철
Priority to KR2020020023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97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용 오버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수기용 오버핀은 샷틀레이스 스트렛치(shuttle lace stretch) 위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샷틀레이스바디(shuttle lace body;통상 자수기 한대에 1040개의 샷틀레이스 바디가 설치됨) 사이에서 승강작동하면서 북(shuttle)을 하강시키는 부품이다.
그러나 종래의 오버핀은 그 구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즉, 종래의 오버핀은 핀 선단에 합성수지로 된 캡을 씌움에 있어서, 캡을 별도로 사출성형 한후, 이를 핀 선단에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조립시 인력이 과다소요되어 인건비로 인한 원가상승이 야기되고, 또 사용시 캡이 쉽게 벗겨지는 경향이 있어 안전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오버 핀에 형성된 핀 끝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에 소정의 구멍을 천공한 뒤,합성수지 캡을 인서트몰딩함으로서 오버핀이 캡과 일체화를 이룰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사용중 캡이 분리되는 등의 폐단이 일소되는 자수기용 오버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수기용 오버 핀{Over pin for an embroidery machine}
본 고안은 자수기용 오버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핀의 동체 선단에 형성된 핀 끝에 합성수지로 된 캡을 씌움에 있어서, 오버핀과 캡이 일체화 되게 끔 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전성이 극대화된 오버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수기용 언더드라이버는 샷틀레이스 스트렛치(shuttle lace stretch) 위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샷틀레이스바디(shuttle lace body;통상 자수기 한대에 1040개의 샷틀레이스 바디가 설치됨) 사이에서 승강작동하면서 북(shuttle)을 상승시키는 부품이고, 오버핀은 상승한 북을 하강시켜주도록 설치되는 부품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오버핀은 그 구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즉, 종래의 오버핀(11a)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16a)을 별도 사출한후 조립하도록 된 것으로서, 조립시 인력이 과다소요되어 인건비로 인한 원가상승이 야기되고, 또 사용시 캡(6a)(16a)이 쉽게 벗겨지는 경향이 있어 안전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오버핀의 끝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몰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몰딩부에 구멍을 천공한 뒤 합성수지로 인서트몰딩하여 오버핀과 일체로 된 캡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조립공정및 인력이 불필요하게 하며, 사용중 캡이 분해될 염려가 전혀 없어 안전성을 극대화 시킨 오버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오버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오버핀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오버핀의 단면도.
후단이 절곡형성되고 선단에 합성수지로 된 캡을 조립사용토록한 오버핀에 있어서,
상기 오버핀(11)은 핀(12) 선단을 단차지게 하여 몰딩부(15)를 형성한뒤 이곳에 관통구멍(14)을 형성한 뒤 합성수지로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오버핀(11)과 일체화된 캡(16)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몰딩부(15)는 여러가지 모양이나 유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몰딩부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한다거나 관통구멍(14)대신에 요홈을 하나이상 형성하여도 되며,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하게 되면, 캡(16) 부분이 사용 중에 분해된다거나 변형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되어 안전성이 극대화 되게 된다.
따라서 몰딩부(15)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한다거나 요홈 또는 돌부를 형성하는 등의 구성의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한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캡(16)을 오버핀(11)과 일체로 되게 인서트 몰딩한 것이기에 핀(12) 끝에 형성된 관통구멍(14)에 합성수지 용액이 침투되어 일체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중 캡(16)이 분리될 수 없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종래에는 캡(16)을 별도로 사출 성형한뒤 이를 핀(12)에 끼워 주었기에 인력이 과다소요된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캡(16)이 일체화되도록 구성하였기에 캡을 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움및 인력소요가 불 필요한 것이어서 생산성 극대화와 내구성증대 원가절감 효과가 극대화 되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버핀의 핀 끝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이곳에 관통구멍을 천공한뒤 합성수지로 캡을 인서트몰딩한 것이므로 사용중에 캡이 분해될 염려가 없어 매우 안정적이고, 또, 종래처럼 캡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이 전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후단이 절곡형성되고 선단에 합성수지로 된 캡을 조립사용토록한 오버핀에 있어서,
    상기 오버핀(11)은 핀(12) 선단을 단차지게 하여 몰딩부(15)를 형성한뒤 관통구멍(14)을 형성하여 이곳에 합성수지로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오버핀(11)과 일체화된 캡(1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용 오버핀.
  2. 1항에 있어서,
    몰딩부(5)(15)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용 오버핀.
KR2020020023364U 2002-08-05 2002-08-05 자수기용 오버 핀 KR200293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64U KR200293978Y1 (ko) 2002-08-05 2002-08-05 자수기용 오버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64U KR200293978Y1 (ko) 2002-08-05 2002-08-05 자수기용 오버 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54U Division KR200290398Y1 (ko) 2002-03-28 2002-03-28 자수기용 언더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978Y1 true KR200293978Y1 (ko) 2002-11-04

Family

ID=7312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64U KR200293978Y1 (ko) 2002-08-05 2002-08-05 자수기용 오버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760B1 (ko) 클립
US3571900A (en) Method of molding a golf club head
US20030148665A1 (en) Plug inner frame with twisted blades
KR200293978Y1 (ko) 자수기용 오버 핀
ATE311302T1 (de) Kraftstofftank und herstellungsverfahren
KR200290398Y1 (ko) 자수기용 언더 드라이버
KR200424146Y1 (ko) 일체형 신발끈용 팁
KR19990007693U (ko) 보스의 삽입구조물
KR920000140Y1 (ko) 조립식 보빈
JP2007195895A (ja) 遊技盤の製造方法
KR200389837Y1 (ko) 검도용 안면보호구 결속밴드
CN216471543U (zh) 一种用于收纳led灯带的卷盘
KR930000059A (ko) 전투화굽 및 그 제조방법
KR200399845Y1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200400483Y1 (ko) 회전자 조립체
KR200257732Y1 (ko) 필기구성형용 사출코어금형
KR960001644Y1 (ko) 펜촉
CA2244594C (en) A two-piece connector
KR200204729Y1 (ko) 고속 자카드직기용 종광
JP2001037976A (ja) 弾球遊技機における取付部品の固着方法
JPH04250182A (ja) パチンコ機遊技板
KR200224949Y1 (ko) 절연몸체가 일체로 성형되는 플러그구조
KR200199508Y1 (ko) 수정펜용 볼촉
KR200193562Y1 (ko) 단추
KR200339159Y1 (ko) 골프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