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780Y1 -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780Y1
KR200293780Y1 KR2020020022560U KR20020022560U KR200293780Y1 KR 200293780 Y1 KR200293780 Y1 KR 200293780Y1 KR 2020020022560 U KR2020020022560 U KR 2020020022560U KR 20020022560 U KR20020022560 U KR 20020022560U KR 200293780 Y1 KR200293780 Y1 KR 200293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ain body
sauna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운
Original Assignee
권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운 filed Critical 권대운
Priority to KR2020020022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78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가정의 욕실이나 좁은 공간에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우나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정면판, 상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 안쪽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공간에 구비된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료가 도장된 본체부와 열발생부로 조속한 시간 내에 온도를 본체부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전력소모를 줄이며, 사우나 장치의 구성요소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고, 특히 가정의 욕실에 간단히 사우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우나를 이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ELETRICAL SAUNA APPARATUS EMTTED BY FAR INFRARED RAY}
본 고안은 사우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을 하고, 1인 내지 2인이 이용할 수 있으며, 욕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사우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 사우나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우나 장치는 크게 세종류로 나누어지며, 종류는 열사우나 장치, 증기사우나 장치 및 훈증사우나장치로 나누어 진다. 열사우나는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의 대류로 사우나를 하는 공간의 기온을 향상하여 사우나를 하는 것이며, 증기사우나는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에 의하여 사우나를 하며, 훈증사우나는 한방재료에 증기를 가하여 증기내에 한약성분이 포함되고, 한약성분이 포함되 증기로 사우나를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사우나 장치를 가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우나 장치의 부피가 큼으로 인해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일반 가정의 욕실에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사우나장치의 가격이 높아 일부 고소득층 내지 상업적 목적으로 설치가 되었고, 일반가정에서 사우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우나를 하는 사용자가 소수에 한했다. 또한 사우나 장치의 부피감소 및 원가절감을 하기위하여 상기 기술한 특정된 사우나에 한하여 사우나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열사우나는 고온건조한 공기로 인하여 사우나 중 호흡이 불편하고 사우나 장치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오랜시간 및 많은 전력이 소모되고, 피부가 약한 사용자는 고온에 의해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기사우나는 좁은 밀폐 공간에 증기를 공급하여 시야를 가림으로 해서 사우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우나 중에 답답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열발생부, 증기발생부 및 훈증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열발생부, 증기발생부 및 훈증발생부를 소형화시켜 상기 열발생부, 증기발생부 및 훈증발생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사우나 장치의 본체부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세라믹 소재의 도료를 도색한 판넬로 제작하여 사우나중 원적외선 발산과 빠른 열상승과 이에따른 에너지절약 및 열사우나, 증기사우나, 훈증사우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사우나 장치를 제공하며, 사우나 장치의 소형화 및 간소화로 부피를 줄여 욕실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사우나 장치의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는 사우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에 본체승강부가 포함된 것을 보인 도면.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정면판, 상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 안쪽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공간에 구비된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안쪽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부; 및 상기 증기발생부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훈증을 발생하는 훈증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천정벽면에 부착되어 본체부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승강시키는 본체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부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중 특정부위에 상기 훈증발생부에서 발생한 훈증이 직접적으로 쐬일수 있도록 한 소정의 모양으로 뚫린 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부(10), 열발생부(20), 증기발생부(30), 훈증발생부(40) 및 좌석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욕실 등에 구비되어 있는 샤워부스(100)에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금속소재 특히 부식에 강한 합금을 소재로 하거나 열강화프라스틱 등을 소재로 한 판넬의 일측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도료를 도장을 하고, 상기 도장된 면이 안쪽으로 하여 정면판(11), 상면판(12), 배면판(13), 좌측면판(14) 및 우측면판(15)을 결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본체부내의 열대류가 원할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가정의 욕실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높이를 1800m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발생부(20)는 상단에 암석 내지 옥 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발생부(20) 내부에 구비된 발열장치로 발열을 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열발생부(20)가 물에 노출이 많이 되므로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발열코일로 이루어진 열발생부의 발열장치의 전원입력부분을 방수처리를 하여 전원입력부분이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발생부(20)는 계속적인 발열로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메탈 등을 이용하여 열발생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발생부(3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구비된 발열장치로 발열을 하여 물을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증기는 외부로 방출됨과 동시에 증기발생부에 구비되 증기파이프(32)를 통하여 훈증발생부(40)로 공급된다.
특히 증기발생부(30)는 자동 수위조절 증기발생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동 수위조절 증기발생부는 분리벽을 중간에 설치하여 내부공간을 양분한다. 이때, 분리벽은 저장수면의 상측에 위치하며 본체부내의 기압을 조절하는 기압조절관 및 저장수면 하측에 위치하며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관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벽에 의하여 내부공간은 양분되며, 양분된 두 공간은 수위조절공간 및 증기발생공간이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공간과 증기발생공간으로 분리하여 증기발생공간에서 가열로 인한 증기발생으로 수위가 계속적으로 불안하지만 수위조절공간은 전혀 증기발생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수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위조절공간에 수위측정부와 자동급수부를 설치하여 정확한 측정 및 급수를 할 수가 있다.
상기 훈증발생부(40)는 상기 증기발생부(30)로부터 증기파이프(32)를 통하여 증기를 공급받아 한약재를 상기 증기가 통하도록하여 증기내에 한약성분이 포함된 훈증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훈증발생부(40)는 본 고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50)의 하단에 구비된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좌석부(50)에 착석한 사용자가 훈증을 특정부위에 쐬일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훈증발생부(50)의 구조는 증기파이브(32)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한약재 등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증기가 상기 공간에 구비된 한약재 등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석부(50)는 나무 내지 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되고, 상기 훈증발생부(40)에서 발생된 훈증이 올라올 수 있도록 천공을 구비하며,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은 특정한 모양으로 천공을 하여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부위에 상기 훈증을 쐬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할한 공기의 대류를 위하여 상기 열발생부(20) 및 증기발생부(30)를 상단에 올릴 수가 있으며 하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대류틀(6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발생부(20), 증기발생부(30)는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태로 제작되며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발생부(20)는 상단에 암석 내지 옥과 같은 광물(22) 등을 넣을 수 있는 공간(24)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외부로 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24)와 상기 입력부(24)에 연결되어 발열을 하는 발열코일(2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24)는 물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코일(26) 또한, 물 내지 수증기에 직접접촉되는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발생부(3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훈증발생부(40)에 증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증기를 본체부(10)에 공급하고 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물의 급수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훈증발생부(40)는 상기 증기발생부(30)로부터 증기파이프(32)를 통하여 증기를 제공받아 훈증발생부(40)에 구비된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한방재료(42)를 통과시킨다. 이렇게 한방재료(42)를 통과한 증기는 증기내에 한방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좌석부(50)와 대류틀(60)은 상기 도1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좌석부(50)는 나무 내지 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훈증발생부(40)에서 발생된 훈증을 상기 좌석부(5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부위에 상기 훈증을 쐬일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천공을 구비하며, 상기 대류틀(60)은 본체부(10) 내에서 원할한 공기의 대류를 위하여 상기 열발생부(20) 및 증기발생부(30)를 상단에 올릴 수가 있으며 하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좌석부(50) 및 대류틀(60)은 도 2에 도시한 형태 및 구조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도시된 형태 및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에 본체승강부가 포함된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승강부(70)는 소정의 길이 만큼 높이를 줄인 본체부(1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를 승강시킨다.
상기 본체부(10)는 강선(72)에 연결되어 본 고안이 설치되는 공간의 천정(80)에 고정된 본체승강부(70)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승강부(70) 내부에 강선이 감기는 부분과 강선을 고정시키는 부분 및 손잡이(74)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74)를 잡아 당겨서 상기 본체부(6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승강부(70)를 부가하여 본체부(10)의 공간을 줄일 수가 있으며 결국 열을 공급해야 하는 공간의 축소로 에너지 절약 및 온도 상승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열교환부(20) 및 증기발생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유닛을 더 포함하여 본 고안이 설치된 장소에서 떨어진 곳 예를들어 거실 내지 침실 등에서 전원을 온/오프 및 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트롤유닛은 리모콘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리모콘송신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형태를 갖는 본체부 및 열발생부를 포함하여 공기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조속한 시간내에 사우나 장치의 온도를 상승시켜 본체부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증기발생부, 훈증발생부, 좌석부 및 대류틀을 더 포함하여 원적외선사우나, 열사우나, 증기사우나 및 훈증사우나를 동시에 할 수가 있으며, 열사우나에 의한 피부화상을 방지하고, 증기사우나 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답답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부, 열발생부 및 증기발생부의 부피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욕실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 및 사우나 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체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본체승강부로 조속한 온도상승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정의 욕실이나 좁은 공간에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우나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정면판, 상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 안쪽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공간에 구비된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안쪽하단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부; 및
    상기 증기발생부로부터 증기를 공급받아 훈증을 발생하는 훈증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천정벽면에 부착되어 본체부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승강시키는 본체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중 특정부위에 상기 훈증발생부에서 발생한 훈증이 직접적으로 쐬일수 있도록 한 소정의 모양으로 뚫린 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KR2020020022560U 2002-07-27 2002-07-27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KR200293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560U KR200293780Y1 (ko) 2002-07-27 2002-07-27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560U KR200293780Y1 (ko) 2002-07-27 2002-07-27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780Y1 true KR200293780Y1 (ko) 2002-11-01

Family

ID=7312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560U KR200293780Y1 (ko) 2002-07-27 2002-07-27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7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2526A (en) Portable vapour bath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US20040188415A1 (en) Control device for an infrared ray sauna facility
EP0074748B1 (en) Sauna
JPH0956770A (ja) サウナ室用芳香発生及び加湿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サウナ浴装置
KR200293780Y1 (ko) 원적외선 발생 전기 사우나 장치
KR100617988B1 (ko)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 사우나기
CN107157392A (zh) 一种助便装置及具有其的坐便器系统
US20050076433A1 (en) Steam footbath
KR20130116587A (ko) 온수순환 매트리스
KR200354676Y1 (ko) 미용·건강증진용 온열 보습기
JP2011115605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CN205659273U (zh) 一种多功能康复理疗盒
KR20120018432A (ko) 안면미용, 좌욕, 가습기능을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훈증기
CN204910060U (zh) 一种桑拿宝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US20050188457A1 (en) Electrically heated bathtub
KR200397106Y1 (ko) 족욕기
CN2190988Y (zh) 单人亭式桑那浴间
KR20190139674A (ko)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CN212879099U (zh) 一种带紫外线消毒及高温消毒的毛巾柜
KR20070059530A (ko) 건식 반신욕 장치
KR102644332B1 (ko) 욕조에 사용하는 사우나기
CN214049303U (zh) 一种足部理疗装置
JP2007151959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