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674A -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 Google Patents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674A
KR20190139674A KR1020180066428A KR20180066428A KR20190139674A KR 20190139674 A KR20190139674 A KR 20190139674A KR 1020180066428 A KR1020180066428 A KR 1020180066428A KR 20180066428 A KR20180066428 A KR 20180066428A KR 20190139674 A KR20190139674 A KR 2019013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chair
lid
steam sauna
st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철
Original Assignee
이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철 filed Critical 이강철
Priority to KR102018006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9674A/ko
Publication of KR2019013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7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05Special constructive structural details of the bathtub, e.g. of the walls or support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을 담글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욕조(31)와 욕조의 상면을 덮되 욕조내부의 훈증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면개방부(35)를 제외한 부분이 덮혀 있도록 형성된 뚜껑(34)과 욕조의 옆면과 뚜껑(34)에 결합되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32)와 의자(32)와 욕조(31)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3)와 의자(32)의 하단에 형성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지지부(42)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의자(32)에 앉아 상면개방부(35)를 통하여 발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욕조(31)의 측면에는 개구(38)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38)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훈증기를 욕조(31)의 내부에 집어 넣도록 하며 의자(32)의 사람이 앉는 착석부(41)의 아래쪽에는 좌훈기 부착부(39)가 형성되어 원적외선 발생기/휴대용좌훈기를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APPARATUS FOR STEAM SAUNA}
본 발명은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아파트, 빌라와 같은 주거공간에는 욕조가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원룸과 같은 작은 공간의 주거수단에는 욕조대신에 샤워부스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욕조가 없는 경우에는 욕조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생겨 가능하면 욕조를 설치하는데 욕조의 경우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욕조의 크기를 줄이면서 욕조외의 기능을 가져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조에 대한 수요를 더욱 크게하려고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욕조를 이용한 스팀사우나, 좌훈, 좌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및 설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스팀사우나는 욕조에 몸을 담그는 것보다 천전히 몸의 온도를 올릴 수 있는데 몸의 온도가 천천히 올라가는 동안 몸의 면역체계는 열병과 비슷한 것으로 판단하여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한 면역물질들을 생산하면서 면역체계시스템을 더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면역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우나 안에서 근육이 이완되는 동안 혈압은 내려가고 사우나 안과 밖을 오가면서 다른 온도에 노출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해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또한, 스팀 사우나를 하는 시간동안 외부와 단절되며 근육이 이완되기 때문에 피로회복에 필요한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팀사우나는 설치하는데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설치비용도 높기 때문에 집안에 설치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좌훈기는 여성의 건강을 위하여 원적외선을 여성의 하체에 쬐도록 하는 기구를 말하는데 원적외선을 이용한 좌욕은 체온을 상승시키고 몸속의 미세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기능을 촉진하고 세포 재생능력을 향상시키며 아울러서 살균 및 소독작용도 하였다.
특히 회음부, 자궁 등에서 생기는 여성관련질환들은 이러한 원적외선의 효과를 받아 이와관련된 질환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갖는데 예전에는 재래식 아궁이에서 땔감을 때면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받아 좌훈의 효과를 받을 수 도 있었는데 현대여성들은 입식부엌에서 일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위와 같이 원적외선을 쬘 기회가 줄어들어 여성질환을 갖는 환자가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4-0015938 가정용 좌훈욕기와 같은 것도 개발되어 있는 데 이것은 변기에 좌훈기를 결합 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좌훈보다는 좌욕에 중점을 둔것이며 스팀이 외부로 잘 빠져나가는 단점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20-0446530호 족욕이 가능한 다기능 좌훈좌욕기는 좌훈과 좌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좌훈을 하기 위해서는 좌훈기 위에 앉아서 시간을 보내야만 하기 때문에 좌훈을 위해서는 따로 시간을 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욕조를 겸한 스팀사우나를 제공함으로서 생활속에서 불편함이 없이 스팀나우나 좌훈이 가능하도록 하는 욕조를 겸한 스팀사우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욕조겸용 스팀사우나를 제공하는데 몸을 담글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욕조(31)와 욕조의 상면을 덮되 욕조내부의 훈증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면개방부(35)를 제외한 부분이 덮혀 있도록 형성된 뚜껑(34)과 욕조의 옆면과 뚜껑(34)에 결합되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32)와 의자(32)와 욕조(31)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3)와 의자(32)의 하단에 형성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지지부(42)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의자(32)에 앉아 상면개방부(35)를 통하여 발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욕조(31)의 측면에는 개구(38)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38)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훈증기를 욕조(31)의 내부에 집어 넣도록 하며 의자(32)의 사람이 앉는 착석부(41)의 아래쪽에는 좌훈기 부착부(39)가 형성되어 스팀사우나를 탈착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욕조(31)의 바닥에는 발받침대(36)가 부착되는데 토출구는 발받침대(3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토출구(37)에서 나온 훈증기가 발받침대(36)의 옆쪽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좌훈기 부착부(39)에 부착되는 휴대용좌훈기(21)의 본체(11)는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평평한 타원형 판을 옆에서 보았을 때 양쪽이 위쪽으로 올라간 형태로 형성하여 하체에 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면에는 통공(16)이 형성된 뚜껑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가 놓여지는 고정부(13)로서 뚜껑부(12)가 놓여지는 상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날개부(15)가 형성되며 고정부(13)의 상면 안쪽으로부터 벽을 형성하여 수납부(21)를 형성하여 날개부(15)와 수납부(21)사이에는 빈공간이 생기며, 수납부(21)의 하면에는 받침판(23)으로 막고 받침판위에 발열을 위하여 발열체를 부착하는 보관부(22)가 형성이 되며 고정부(13)의 아래쪽으로 날개부(15)의 외곽면과 연속되는 측면을 갖는 받침부(14)가 결합하는데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형성하는 외곽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밑면을 마주보는 꼭지점으로 구부린뒤 뒤집어놓은 형상으로 사람의 하체에 밀착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져 움직이기 쉬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에는 남성이 사용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뚜껑부의 일부분이 아래쪽으로 함몰된 함몰부(18)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해서 좁은공간에서도 욕조를 설치하며 좌훈/좌욕이 가능하도록 하는 좌훈/좌욕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사우나는 간이형 욕조(31), 의자(32)및 욕조(31)와 의자(32)를 결합하는 결합부(33)로 나뉜다. 간이형 욕조(31)는 통상 사용되는 욕조의 1/2내지 1/3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뚜껑(34)으로 덮을 수 있으며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한쪽 측면에 의자(34)를 부착할 수 있다. 뚜껑(34)을 덮지 않을 때에는 반신욕을 위한 욕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뚜껑(34)을 덮은 상태에서는 의자를 부착하여 스팀사우나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던 욕조는 사람 한 명이 누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주택의 설계시에 공간절약을 위해서 욕조보다는 샤워부스를 설치하는 경향이 크다. 욕조의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인데 욕조를 원하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스팀사우나 기능을 욕조에 제공하여 좁은 공간에도 욕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팀사우나와 같은 형태로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34)은 욕조전체를 덮을 수도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발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을 남겨 상면개방부(35)를 형성할 수 있다. 스팀사우나로 사용할 때 욕조의 밑에서부터 훈증기가 올라오도록 하는데 훈증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모아서 올라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34)을 사용하며 뚜껑(35)에는 상면개방부(35)를 형성하여 다리를 집어 넣고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욕조(31)의 한쪽 측면에는 의자(32)를 부착할 수 있는데 의자(32)는 욕조(31)에 결합된다. 의자(32)는 욕조(31)에 탈부착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앉았을 때 발을 욕조(31)의 뚜껑(34)에 형성된 상면개방부(35)로 집어 넣고 의자에 앉게 되는데 욕조(31)의 내부에는 발받침대(36)가 형성되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발받침대(36)의 하단부로는 욕조의 외부에서 발생시킨 스팀/훈증기를 욕조의 내부로 뿌리기 위한 토출구(37)가 형성이 된다. 훈증기는 욕조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는 관에 의하여 발받침대(36) 하부의 토출구(37)로 이동되며 일반적인 스팀/훈증기 뿐 아니라 쑥이나 기타 약재를 포함하는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쑥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개구(38)는 욕조의 일측면에 형성이되는데 스팀사우나기로 사용할 때에는 관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지만 욕조로서 사용 될때는 별도의 마개에 의하여 막아놓게 된다. 훈증기 발생기는 욕조의 외부에 설치되는데 욕조의 측면에 붙이거나 의자(32)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스팀사우나 혹은 좌훈/좌욕기는 스팀사우나 혹은 좌훈/좌욕을 위한 용도로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을 위해서는 사우나기를 보관된 곳에서 가지고 나와 설치하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분해하여 보관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수록 조립과 해체가 번거롭게 느껴져 사용을 잘 안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욕조보다는 작지만 좌훈 좌욕기보다는 조금 큰 형태의 (크기에 따라서는 사람이 들어갈 수도 있는) 욕조를 사용하되 스팀사우나 혹은 좌훈/좌욕기로 사용할때는 뚜껑을 덮어서 사용함으로써 훈증기가 퍼지지 않도록 하여 스팀사우나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의자의 하단에는 좌훈기가 부착될 수 있다. 좌훈기는 상부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며 원적외선과 함께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간단하게는 붉은 색깔의 빛을 열과 함께 방사하는 원적외선전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휴대형 좌훈기가 설치될 수 있다.
휴대형 좌훈기(21)는 의자에 매설되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든지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의자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형 좌훈기의 본체(11)는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평평한 타원형 판을 옆에서 보았을 때 양쪽이 위쪽으로 올라간 형태로 형성하여 하체에 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데 의자에 매설되는 경우 의자의 바닥을 뚜껑부(12)의 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뚜껑부(12)의 외곽면과 의자의 바닥면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고정부(13)는 뚜껑부(12)가 놓여지는 상면으로 부터 측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날개부(15)가 형성되며 고정부(13)의 상면 안쪽으로부터 벽을 형성하여 수납부(21)를 형성하여 날개부(15)와 수납부(21)사이에는 빈공간이 생기며 수납부(21)의 하면은 받침판(23)으로 막고 받침판위에 발열, 원적외선 발생을 위한 보관부(22)가 형성이 되며 고정부(13)의 아래쪽으로 날개부(15)의 외곽면과 연속되는 측면을 갖는 받침부(14)가 결합하는데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형성하는 외곽면은 옆에서 보았을때 삼각형의 밑면을 마주보는 꼭지점으로 구부린뒤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사람의 하체에 밀착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적도록 형성되어 착용한후에도 움직이기 쉬운 구조이다.
또한, 뚜껑부에는 남성이 사용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뚜껑부의 일부분이 아래쪽으로 함몰된 함몰부(18)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관부에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체나 원적외선 발생기와 같은 열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좌훈기를 의자의 하단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형으로 사용할때는 별도의 하네스에 장착하거나 휴대형좌훈기를 끼우고 입을 수 있는 바지에 넣어 고정시켜 착용한다.
좌훈기부착부(39)는 의자(32)의 착석부(41) 아래에 매설되는데 착석부(41)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평면 형태로서 좌훈기 부착부(38)는 착석부(41)의 가운데 부분 아래쪽으로 휴대형좌훈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좌훈기 부착부(39)의 아래에는 사람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의자(32)는 욕조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의자(32)의 전면부가 욕조(31)의 위쪽면의 뚜껑(34)에 나사결합등에 의하여 부착이 되며 착석부 하단의 좌훈기부착부(38)의 외벽의 욕조(31)의 외벽에 밀착하도록 하여 착석부가 뚜껑에 결합하는 부분과 함께 결합부(33)를 형성하며 결합부(33)의 하단에는 지지부(42)가 형성이 된다. 결합부(33)가 욕조(31)의 외벽에 밀착하도록 하는 것은 착석부(41)에 앉았을 때 체중이 쉽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5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는 뚜껑에 착석부(51)를 형성하여 앉아서 스팀사우나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는 도1과 다른 형태의 뚜껑을 사용다. 뚜껑본체(53)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한쪽에는 턱(52)이 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 착석부(51)를 놓고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발이 놓이는 아래쪽에는 발받침대(36)가 형성되고 발받침대(36)를 통하여 스팀이 올라오게 되어 스팀사우나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1: 본체 12: 뚜껑부
13: 고정부 14: 받침부
15: 날개부 16: 통공
21:수납부 22: 보관부
23: 받침판 24: 외부연결부
31: 욕조 32: 의자
33: 결합부 34: 뚜껑
35: 상면개방부 36: 발받침대
37: 토출구 38: 개구
41: 착석부 42: 지지부

Claims (6)

  1.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로서,
    몸을 담글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욕조(31)와
    욕조의 상면을 덮되 욕조내부의 훈증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면개방부(35)를 제외한 부분이 덮혀 있도록 형성된 뚜껑(34)을 포함하는,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4)의 절반은 개방되어 있으며 절반은 착석부를 형성하여 착석부에 앉아 개방된 뚜껑으로 발을 집어 넣고 욕조(31)에서 올라오는 훈증기로 스팀사우나를 하도록 하는,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3. 제1항에 있어서,욕조의 옆면과 뚜껑(34)에 결합되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32)와 의자(32)와 욕조(31)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3)와
    의자(32)의 하단에 형성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지지부(42)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의자(32)에 앉아 상면개방부(35)를 통하여 발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욕조(31)의 측면에는 개구(38)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38)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훈증기를 욕조(31)의 내부에 집어 넣도록 하며
    의자(32)의 사람이 앉는 착석부(41)의 아래쪽에는 좌훈기 부착부(39)가 형성되어 휴대용좌훈기를 탈착가능하도록 하는,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31)의 바닥에는 발받침대(36)가 부착되는데 토출구는 발받침대(3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토출구(37)에서 나온 훈증기가 발받침대(36)의 옆쪽으로 퍼지도록 하는,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5. 제4항에 있어서, 좌훈기 부착부(39)에 부착되는 휴대용좌훈기(21)의 본체(11)는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평평한 타원형 판을 옆에서 보았을 때 양쪽이 위쪽으로 올라간 형태로 형성하여 하체에 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면에는 통공(16)이 형성된 뚜껑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가 놓여지는 고정부(13)로서 뚜껑부(12)가 놓여지는 상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날개부(15)가 형성되며 고정부(13)의 상면 안쪽으로부터 벽을 형성하여 수납부(21)를 형성하여 날개부(15)와 수납부(21)사이에는 빈공간이 생기며, 수납부(21)의 하면에는 받침판(23)으로 막고 받침판위에 발열을 위하여 발열체를 부착하는 보관부(22)가 형성이 되며
    고정부(13)의 아래쪽으로 날개부(15)의 외곽면과 연속되는 측면을 갖는 받침부(14)가 결합하는데
    뚜껑부(12), 고정부(13), 받침부(14)가 형성하는 외곽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밑면을 마주보는 꼭지점으로 구부린뒤 뒤집어놓은 형상으로 사람의 하체에 밀착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져 움직이기 쉬운 구조로 형성되는 , 스팀사우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는 남성이 사용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뚜껑부의 일부분이 아래쪽으로 함몰된 함몰부(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사우나기
KR1020180066428A 2018-06-08 2018-06-08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Ceased KR2019013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28A KR20190139674A (ko) 2018-06-08 2018-06-08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28A KR20190139674A (ko) 2018-06-08 2018-06-08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74A true KR20190139674A (ko) 2019-12-18

Family

ID=6905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428A Ceased KR20190139674A (ko) 2018-06-08 2018-06-08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9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04A (ko) * 2021-08-19 2023-02-28 이강철 욕조에 사용하는 원적외선 사우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04A (ko) * 2021-08-19 2023-02-28 이강철 욕조에 사용하는 원적외선 사우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100951969B1 (ko) 착석식 스팀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20140121655A (ko) 다기능 좌욕기
KR20190139674A (ko) 욕조겸용 스팀사우나기
KR10185769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찜질좌욕기
KR20240052915A (ko) 욕조에 사용하는 원적외선 사우나기
KR20130106239A (ko) 다기능 좌훈좌욕기
KR200459795Y1 (ko) 간편사용식 온구형 온열찜질기
KR200490071Y1 (ko) 건식 온열 좌욕족욕 장치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200404317Y1 (ko)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0997414B1 (ko) 좌욕 겸용 각탕기
KR20170003217U (ko) 습식 및 건식 좌욕이 가능한 원적외선 좌욕기
KR20100112357A (ko) 의자형 좌욕기
KR20140019080A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101445178B1 (ko) 근적외선기가 구비된 좌욕기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CN209808988U (zh) 养生瓮
JP2009291584A (ja) 蒸気浴方法及び装置
KR100505766B1 (ko) 가정용 좌훈욕기
WO2024128326A1 (ko) 욕조에 사용하는 원적외선 사우나기
KR200482543Y1 (ko) 좌욕기
KR20180132573A (ko) 다용도 찜질기
KR200413281Y1 (ko) 의자에 발열장치를 구비한 사우나 부스
KR102291094B1 (ko) 좌욕용 엘이디 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