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644Y1 -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644Y1
KR200292644Y1 KR2020020019478U KR20020019478U KR200292644Y1 KR 200292644 Y1 KR200292644 Y1 KR 200292644Y1 KR 2020020019478 U KR2020020019478 U KR 2020020019478U KR 20020019478 U KR20020019478 U KR 20020019478U KR 200292644 Y1 KR200292644 Y1 KR 200292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frame
support plate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민
Original Assignee
이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민 filed Critical 이규민
Priority to KR2020020019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644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그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힘의 분산에 따른 어깨의 집중 하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방측으로 허리밴드(200)가 구비되면서 상부측에 등판(110)이 형성되고, 하부 후방측으로 배낭받침대(120)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배낭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낭프레임(100)의 하부측에, 후방의 만곡면(11)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이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공(12)이 다수 형성된 허리받침판(1)이 힌지결합부(3)에 의해 어깨끈 고정공(21) 및 제2 고정공(22)을 갖는 배낭끈 고정구(2)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3)는, 배낭프레임(100)에 힌지공A(312)를 갖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허리받침판(1)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공A(312)에 상응하는 힌지공B(311)를 갖는 힌지돌부(31)가 일체로 후향 돌출 형성되며, 배낭끈 고정구(2)에는 상기 힌지공A(312) 및 힌지공B(311)에 상응하는 힌지공C(32)가 형성되어 볼트(33) 및 너트(34) 체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예컨대 허리를 숙이는 경우 그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로인해 배낭의 하중이 어깨에 집중되지 않고 몸 전체로 분산됨에 따라 장시간 배낭을 메고 행군을 하는 경우에도 피로감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사용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turnnig support device of frame for a soldier's knapsack}
본 고안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그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힘의 분산에 따른 어깨의 집중 하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어깨에 메고 등에 지는 사용의 특성상 지게 형태의 프레임이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6은 종래의 배낭프레임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배낭프레임(100)은 상부측에 등판(110)이 구비되고, 하부측에는 배낭의 하부를 받쳐주는 배낭받침대(120)가 일체로 후향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낭프레임(100)의 하부 전방측에는 허리밴드(200)가 결합되어 상기 허리밴드(200)에 의해 배낭프레임(100)을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결합을 위해 허리밴드(200)의 후방 양측에는 배낭프레임(100)이 삽입 관통하는 밴드 연결고리(230)가 상기 허리밴드(200)의 상.하 폭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밴드 연결고리(230)에 의해 허리밴드(2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낭프레임(100)에 연결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0은, 결착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낭은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일 례로 몸을 앞으로 숙이는 경우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이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평상시보다 배낭 어깨끈에 배낭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크게 작용하게 되고, 이로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사용의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그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힘의 분산에 따른 어깨의 집중 하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허리받침대를 프레임 상에서 지지하는 허리받침대 지지구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허리받침대가 허리받침대 지지구에 보다 견고하게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를 구성하는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으로써 힌지 결합상태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측으로 허리밴드가 구비되면서 상부측에 등판이 형성되고, 하부 후방측으로 배낭받침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배낭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후방의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허리밴드의 밴드끈이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공이 다수 형성된 허리받침판이 힌지결합부에 의해 어깨끈 고정공 및 제2 고정공을 갖는 배낭끈 고정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배낭프레임에 힌지공A를 갖는 허리받침판 지지구가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허리받침판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공A에 상응하는 힌지공B를 갖는 힌지돌부가 일체로 후향 돌출 형성되며, 배낭끈 고정구에는 상기 힌지공A 및 힌지공B에 상응하는 힌지공C가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 체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는, 중앙부에 일측으로 트여진 수직의 프레임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관착부의 개방부 양단에서 전방측으로 한 쌍의 지지판A,B가 상접되게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착부 및 지지판A,B에는 프레임 체결공과 지지판 고정공 및 힌지공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는, 후방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수직의 프레임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관착부의 전방측으로 힌지공A를 갖는 지지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착부에는 프레임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판의 힌지돌부는 허리받침판 지지구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힌지공B를 갖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판은 힌지돌부의 일측으로 너트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한 쌍의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을 상.하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들 사이로 너트삽입홈을 형성한 홀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배낭프레임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허리받침판
11:만곡면 12:제1 고정공
13:홀더부
131:상부지지판 132:하부지지판
133:너트삽입홈
2:배낭끈 고정구
21:어깨끈 고정공 22:제2 고정공
3:힌지결합부
30,30A:허리받침판 지지구
301,301A:관착부 301B:개방부
302,302A,302B:지지판, 지지판A,B 311,311A:프레임 관통공
312:힌지공A 321,321A:프레임 체결공
322:지지판 고정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 배낭은 통상에서와 같이 배낭프레임(100)이 구비되고, 상기 배낭프레임(100)은 상부측에 등판(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측에는 배낭받침대(120)가 일체로 후향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배낭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배낭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측에 몸에 밀착되는 허리받침판(1)이 배낭끈 고정구(2)와 함께 힌지결합부(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낭프레임(100)이 상기 허리받침판(1)의 힌지결합부(3)를 중심으로 몸과 함께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낭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허리받침판(1)은 배낭프레임(100)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길이로 후향 만곡면(11)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이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게 다수의 제1 고정공(12)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낭끈 고정구(2)에는 상.하로 배낭의 어깨근(미도시됨)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어깨근 고정공(21)과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근 고정공(21)과 제2 고정공(22)은 상.하로 경사지게 대칭 형성되어 배낭의 어깨근과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힌지결합부(3)는, 배낭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 힌지공A(312)를 갖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30)에 허리받침판(1)이 배낭끈 고정구(2)와 함께 볼트(33) 및 너트(34)의 체결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허리받침판(1)의 양측 후방측으로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30)의 힌지공A(312)에 상응하는 힌지공B(311)를 갖는 힌지돌부(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배낭끈 고정구(2)에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의 힌지공A(312)와 힌지돌부(31)의 힌지공B(311)에 상응하는 힌지공C(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판(1)의 힌지돌부(31)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측면지지판(312)(312A)이 좌.우 한 쌍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로 삽입공간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판(312)(312A)의 중앙부를 힌지공B(311)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허리받침판(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향의 만곡면(11)으로 형성되고, 양측 후방으로 힌지공B(311)를 갖는 힌지돌부(3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돌부(31)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312)(312A) 사이로 삽입공간부(313)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고, 힌지돌부(31)의 일측방으로 홀더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13)에 의해 너트(34)(도 1 참조.)가 허리받침판(1)과 함께 상.하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너트(34)의 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너트(34)는 홀더부(13)에 의해 허리받침판(1)의 상.하 회전범위내에서 회전됨으로써 풀림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로서, 허리받침판(1)은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이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십자형태 또는 수직 및 수평의 일자형태로 제1 고정공(1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며, 이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312)(312A) 및 삽입공간부(313)로 구성되는 힌지돌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부(31)의 일측에는 측면지지판(312)(312A)을 관통하는 힌지공B(311)에 삽입되는 볼트(33)에 체결된 너트(34)(도1 참조.)를 잡아줄 수 있는 상기 너트(34)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는 상부지지판(131) 및 하부지지판(132) 그리고 이들 사이의 삽입공간부(313)로 홀더부(13)가 일체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일측으로 트여진 프레임 관통공(311)을 갖는 관착부(301)가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관착부(301)의 양단부에서 전방측으로 힌지공A(312)를 갖는 한 쌍의 지지판A(302A) 및 지지판B(302B)가 상접되게 연장 형성되어 지지판 고정공(322)을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관착부(301)에는 상.하로 프레임 체결공(321)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체결공(321)을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서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배낭프레임(100)(도 1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지지판A(302A)와 지지판B(302B)를 양측으로 벌린 상태로 배낭프레임(100)에 관착부(301)를 끼운 후, 상기 관착부(301)에 형성된 프레임 체결공(321)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배낭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판A(302A) 및 지지판B(302B)는 지지판 고정공(322)을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상호 접하게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후방측으로 개방부(301B)가 형성된 프레임 관통공(311A)을 갖는 관착부(301A)가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관착부(301A)의 전방측으로 힌지공A(312A)를 갖는 지지판(30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착부(301A)에는 상.하로 프레임 체결공(321A)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개방부(301B)에 의해관착부(301A)가 배낭프레임(100)에 탄성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관착부(301A)에 형성된 프레임 체결공(321A)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배낭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일 실시예의 허리받침판 지지구(30)보다 조립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로서, 먼저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전술한 바와같이 배낭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30)의 외측으로 허리받침판(1)의 힌지돌부(31)를 구성하는 측면지지판A(302A) 및 측면지지판B(302B) 사이의 삽입공간부(313)가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돌부(31)의 일측 홀더부(13)에는 너트(34)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허리받침판(1)의 힌지돌부(31) 외측으로 배낭끈 고정구(2)가 맞대어지고, 상기 배낭끈 고정구(2)에 형성된 힌지공C(32)와 허리받침판(1)의 힌지돌부(31) 및 허리받침판 지지구(30)에 형성된 힌지공B(311) 및 힌지공A(312)를 통해 볼트(33)를 삽입하여 너트(34)에 체결하는 것으로 일련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배낭을 메는 경우, 허리밴드(200)(도 1 참조.)와 결합된 허리받침판(1)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것이며, 배낭프레임(100)은 힌지결합부(3)의 볼트(33)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는 경우와 같이 몸을 전.후로 움직일 때 배낭프레임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로인해 배낭의 하중이 배낭의 어깨끈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배낭프레임에 허리받침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낭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낭을 메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 예컨대 허리를 숙이는 경우 그 배낭이 몸과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로인해 배낭의 하중이 어깨에 집중되지 않고 몸 전체로 분산됨에 따라 장시간 배낭을 메고 행군을 하는 경우에도 피로감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사용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허리받침대 지지구를 일측으로 트여진 탄성체로 구성하여 단순 끼움동작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허리받침대의 힌지돌부를 상기 허리받침대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 및 효율성 그리고 견고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를 구성하는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잡아줄 수 있는 홀더부를 허리받침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너트의 풀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힌지결합 상태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방측으로 허리밴드(200)가 구비되면서 상부측에 등판(110)이 형성되고, 하부 후방측으로 배낭받침대(120)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배낭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낭프레임(100)의 하부측에, 후방의 만곡면(11)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허리밴드(200)의 밴드끈(240)이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공(12)이 다수 형성된 허리받침판(1)이 힌지결합부(3)에 의해 어깨끈 고정공(21) 및 제2 고정공(22)을 갖는 배낭끈 고정구(2)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3)는, 배낭프레임(100)에 힌지공A(312)를 갖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가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허리받침판(1)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공A(312)에 상응하는 힌지공B(311)를 갖는 힌지돌부(31)가 일체로 후향 돌출 형성되며, 배낭끈 고정구(2)에는 상기 힌지공A(312) 및 힌지공B(311)에 상응하는 힌지공C(32)가 형성되어 볼트(33) 및 너트(34) 체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중앙부에 일측으로 트여진 수직의 프레임 관통공(3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착부(301)가 구비되고, 상기 관착부(301)의 개방부 양단에서 전방측으로 한 쌍의 지지판A,B(302A)(302B)가 상접되게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착부(301) 및 지지판A,B(302A)(302B)에는 프레임 체결공(321)과 지지판 고정공(322) 및 힌지공A(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판 지지구(30)는, 후방측으로 개방부(301B)가 형성된 수직의 프레임 관통공(311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착부(301A)가 구비되고, 상기 관착부(301A)의 전방측으로 힌지공A(312A)를 갖는 지지판(30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착부(301A)에는 프레임 체결공(3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판(1)의 힌지돌부(31)는 허리받침판 지지구(30)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힌지공B(311)를 갖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312)(312A)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판(1)은 힌지돌부(31)의 일측으로 너트(34)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한 쌍의 상부지지판(131) 및 하부지지판(132)을 상.하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들 사이로 너트삽입홈(133)을 형성한 홀더부(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KR2020020019478U 2002-06-27 2002-06-27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KR200292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8U KR200292644Y1 (ko) 2002-06-27 2002-06-27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8U KR200292644Y1 (ko) 2002-06-27 2002-06-27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462A Division KR100449481B1 (ko) 2002-06-27 2002-06-27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644Y1 true KR200292644Y1 (ko) 2002-10-25

Family

ID=7307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78U KR200292644Y1 (ko) 2002-06-27 2002-06-27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6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94A1 (ko) * 2014-02-19 2015-08-27 이서원 배낭 프레임 장치
KR102324654B1 (ko) 2021-08-25 2021-11-09 조강원 프레임형 배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94A1 (ko) * 2014-02-19 2015-08-27 이서원 배낭 프레임 장치
US9675165B2 (en) 2014-02-19 2017-06-13 Seowon LEE Backpack frame device
KR102324654B1 (ko) 2021-08-25 2021-11-09 조강원 프레임형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9495C (en) Strap fastener
ES2368618T3 (es) Accesorios de montaje de borde para camas elásticas de bordes mullidos.
KR950000091A (ko) 버클
KR200145340Y1 (ko) 조절용 벨트 파스너
CA2347730A1 (en) Golf bag carrying straps
US6494416B2 (en) Golf bag support
CA2258870A1 (en) Flexible frame load carrying system
US5458267A (en) Sizeable attachment device
KR100449481B1 (ko)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KR200292644Y1 (ko) 배낭의 프레임 회전지지장치
US20080062675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tent
EP1190642B1 (fr) Sac à dos equipe d'un amortisseur angulaire entre l'arriere du sac et l'ensemble bretelles et/ou ceinture
US6571402B1 (en) Hitch mounted portable toilet seat
FR2574288A2 (fr) Dispositif de stimulation de point d'acupuncture
JP3598471B2 (ja) 肘かけ椅子における肘当てパッド取付装置
US6253776B1 (en) Crutch
KR100487114B1 (ko) 혁대 장착용 클립
KR200373953Y1 (ko) 휴대용 램프 홀더
JP2002058516A (ja) ランドセル
USD509459S1 (en) Hook attachment device
KR200295588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구조
KR200304201Y1 (ko) 가방끈 걸고리
KR200214686Y1 (ko) 핸드폰용 케이스의 클립
CN211591871U (zh) 背夹及具有背夹的携带型条形码打印机
KR200331840Y1 (ko) 평면용 거치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휴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