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05Y1 -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 Google Patents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05Y1
KR200291305Y1 KR2020020018857U KR20020018857U KR200291305Y1 KR 200291305 Y1 KR200291305 Y1 KR 200291305Y1 KR 2020020018857 U KR2020020018857 U KR 2020020018857U KR 20020018857 U KR20020018857 U KR 20020018857U KR 200291305 Y1 KR200291305 Y1 KR 200291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upport
support
support plate
cervica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8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민 filed Critical 한정민
Priority to KR2020020018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0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05Y1/en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의 내측에 환자의 턱과 목을 떠받치되 소망하는 각도만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릴 수 있는 보조 받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통증 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이용하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by supporting the patient's chin and neck inside the support portion by installing an auxiliary support means for bending the cervical spine to the left and right by a desired angle, the cervical spine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ain site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do traction exercise while bending.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ain are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neck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neck, it can be effectively towed and treated.

Description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본 고안은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견인기에 적용하여 경추 견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that can be applied to the cervical retractor to improve the cervical traction effect.

경추(頸椎)는, 척추의 맨 위쪽, 인체의 목 부분(구체적으로는, 경부)에 있는 추골로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어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운동을 원활히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Cervical vertebrae are the vertebrae at the top of the spine and the neck (specifically, the cervix) of the human body, consisting of seven vertebrae that have different anatomical structures than the lumbar and thoracic vertebrae. There is a rotational movement and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are able to work smoothly.

상기와 같이 목 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등과 허리보다 뼈가 훨씬 작을 뿐만 아니라 허리보다는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등이나 허리에 비해 충격을 쉽게 받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경추통이 요통보다 더 많다.As described above, the cervical vertebrae located in the neck are not only much smaller than the back and waist but also have a wider range of motion and more frequent movement than the waist, so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shock than the back or waist. many.

경추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경추부염좌와 경추간판 탈출증이다.Cervical spine pains include cervical sprains, cervical disc herniation, cervical fractures, cervical spinal canal stenosis, posterior ligamentosclerosis, and spinal tumors. to be.

상기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의하여 과신전(過伸展) ·과굴곡(過屈曲)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軸)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로서, 자동차 추돌사고에서 흔히 발생되며, 추락 ·운동 경기 중 부상에서도 올 수 있다.The cervical sprain, whiplash injury, the muscles or ligaments around the support for the cervical spine are abnormally tensioned or relaxed, or the cervical spine is overextended due to external force, overflexion, The muscles and ligaments surrounding the neck and cervical spine are stretched or torn and swollen and painful when torsional or squeezed. They are common in car collisions and can also occur during falls and sports injuries.

상기 경추추간판탈출증(頸椎椎間板脫出症, ruptured cervical disk)은, 목디스크라고도 하는 것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서 신경을 자극하는 연성추간판(soft disc)과 경추 뒤쪽에서 군더더기 뼈가 자라서 신경을 자극하는 경성추간판(hard disc)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The ruptured cervical disk (頸椎 椎間 板 脫出 목, ruptured cervical disk), also known as the neck disk, is caused by the degenerative change of the intervertebral disc, soft discs (soft disc) that usually stimulates the nerve by protruding intervertebral discs between the cervical spine ) And two types of hard discs that grow in the back of the cervical spine and stimulate the nerves.

이러한, 경추추간판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적인 자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고 중년 이후에는 경추추간판이 노화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쉽게 발생되고, 급성인 경우에는 뒤틀린 자세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텔레비전 시청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높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Cervical intervertebral hernia may be caused by trauma or chronic stimulation. After middle age, the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may easily develop after aging and change, and in acute cases, it may occur when reading or watching TV for a long time in a distorted position. It can also appear if you use your computer in a stationary position for long periods of time or if you sleep on a pillow that is too high.

상기한 경추부염좌와 경추추간판탈출증은, 경부를 물리적으로 견인함으로써, 경직이나 이완된 근·인대의 근육을 풀어주고 좁아진 경추 추간판 사이를 늘려주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cervical sprain and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by physically pulling the cervix, can relax the muscles of the stiff or relaxed muscles and ligaments and stretch between the narrowed cervical intervertebral discs to alleviate the symptoms.

이에 경추 통증의 물리적인 치료방법으로 경추 견인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The cervical traction is being performed as a physical treatment of cervical pain.

종래에 상기한 경추 견인을 수행하는 경추 견인기구로서, (1)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전체와 어깨부위를 일정한 높이로 밀어 올려 고정하는 고정식 견인기구와, (2) 환자의 몸을 침대에 패드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턱과 목 뒷부분을 모터를 이용한 동력으로 끌어당기는 동력식 견인기구와, (3) 턱과 목 뒷부분을 포함하는 목 부위를 공기튜브로 감싸고 펌프를 이용해 상기 공기튜브를 목의 길이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경부를 밀어 올려 견인하는 공기식 견인기구와, (4) 턱과 목 뒷부분을 고정하고 이를 철봉에 매달아 환자의 체중을 이용해 경부를 늘이는 견인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cervical traction mechanism for performing cervical traction as described above, (1) a fixed traction mechanism for pushing up and fixing the entire neck and shoulder area including the jaw and the back of the neck to a certain height, and (2) the patient's body bed A motorized traction mechanism that pulls the jaw and the neck back with power using a motor while it is fixed with an pad, etc. (3) The neck area including the jaw and the back of the neck is wrapped with an air tube, and the air tube is wrapped around the neck using a pump. A pneumatic traction mechanism for pushing up the neck by expand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tion device, and (4) a traction mechanism for fixing the chin and the back of the neck and hanging it on an iron rod to extend the neck us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이 중 상기한 고정식 견인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인체의 목 부위에 착용되는 받침부와 몸통 부위에 착용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Among these, the fixed traction mechanism, as shown in Figure 1, largely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worn on the neck portion of the body and a support portion worn on the body portion.

상기 받침부는 턱 부위를 받치는 제1 받침판(10)과 이 제1 받침판(10)에 대응되어 목의 뒷부분을 받치는 제2 받침판(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앞가슴 부분에 착용되는 제1 지지판(20)과 등과 목의 경계부위에 착용되는 제2 지지판(21)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portion comprises a first support plate 10 supporting the jaw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late 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plate 10 to support the back of the neck,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a first support plate worn on the front chest portion. 2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 is worn on the back and neck boundary.

상기 제1 받침판(10)의 내부면은 턱의 아랫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곡면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판(20)에는 목의 앞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0 is curv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jaw,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formed with a "∩" shaped groove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neck can be fitted. .

그리고, 제1 및 제2 받침판(10, 11)과 제1 및 제2 지지판(20, 21)의 내부면은 인체에 밀착됨과 더불어 착용시 편안할 수 있도록 쿠션 처리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0 and 11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20 and 21 are cush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to be comfortable when worn.

상기 제2 받침판(11)은 제1 받침판(1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1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판(21)도 제1 지지판(2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2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1 is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0 by a velcro-type belt 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 is also Velcro-typ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belt 22.

제1 지지판(20)에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봉(23, 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받침판(10)에는 상기 한쌍의 지지봉(23, 24)에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한쌍의 가이드구멍(13, 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 구멍(13, 14)의 내부에는 이용자의 버튼(15)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봉(23, 24)의 걸림홈에 걸어져 구속되거나 그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rods 23 and 24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0 is provided with the pair of support rods 23 and 24. A pair of guide holes 13 and 14 guided through and inserted therein is formed, and inside the pair of guide holes 13 and 14, the support rods 23 and 24 are caught by the user's button 15 operation. A restrain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which hangs on the groove or restrains the restraint.

따라서, 이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받침부를 상방향으로 끌어당겨 원하는 높이까지 올린 다음 구속수단으로 록킹시켜 두면 받침부는 이용자가 올린 높이에서 고정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up the supporting part upwards to a desired height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ction mechanism is worn as shown in FIG. 2 and locks it with the restraining means, the supporting part is fixed at the height raised by the use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추 견인기구는, 경추를 직선으로 곧추 세운 상태로만 견인하도록 되어 있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ervical tra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pull the cervical spine only in a straight line upright position, and when the pain area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neck rather than at the center of the ne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effectively pulled and treat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추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게 보조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to assist the traction movement with the cervical spine bent to the left or right. have.

도 1은 일반적인 경추 경인기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mon cervical vertebrae,

도 2는 이용자가 도 1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cervical retracto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받침수단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의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rvical retractor to which the auxiliary suppor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portion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손잡이와 나사봉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ate of a handle and a screw rod in Figure 4,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탄발 지지수단의 구조도,FIG.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support for the shot force shown in FIG. 3;

도 7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7 to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cervical retracto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111: 받침판 112, 122: 벨크로 타입의 벨트110, 111: base plate 112, 122: Velcro type belt

120, 121: 지지판 123, 124: 지지봉120, 121: support plate 123, 124: support rod

200, 210: 보조받침판 201, 211: 회전지지봉200, 210: auxiliary support plate 201, 211: rotary support rod

202: 나사봉 203: 슬라이드구멍202: screw rod 203: slide hole

204: 손잡이 204a: 암나사구멍204: handle 204a: female thread hole

205, 206: 삽입홈 215, 216: 삽입용 돌기205 and 206: insertion grooves 215 and 216: insertion protrusions

300: 탄발지지수단 301: 몸체300: bullet support means 301: body

310: 횡 바 320∼331: 고정돌기310: horizontal bar 320 to 331: fixing protrusion

340, 341: 스프링340, 341: 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양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속될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le the auxiliar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oundary of the neck and face of the human body inside the support portion can be rotated at both sides about the horizontal ax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보조 받침수단이,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upport mean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the support surface is gently bent and form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o support the border of the face and neck of the human body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ing plate, a rotating mea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late to the supporting portion rotatably around a horizontal axis, and a restrain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l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받침수단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고안이 적용된 경추 견인기는, 크게 받침부와 지지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부는 턱 부위를 받치는 제1 받침판(110)과 이 제1 받침판(110)에 대응되어 목의 뒷부분을 받치는 제2 받침판(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앞가슴 부분에 착용되는 제1 지지판(120)과 등과 목의 경계부위에 착용되는 제2 지지판(121)으로 구성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rvical retractor to which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cervical retra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largely composed of a supporting part and a support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late 110 supporting the jaw portion; It consists of a second support plate 1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to support the back of the neck, the support portion is the first support plate 120 to be worn on the front chest portion and the second worn on the back and neck boundary It consists of a support plate 121.

상기 제1 받침판(110)의 내부면은 턱의 아랫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곡면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판(120)에는 목의 앞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is curv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jaw, the first support plate 120 is formed with a "∩" shaped groove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neck can be fitted. .

상기 제2 받침판(111)은 제1 받침판(110)에 벨크로 타입의 벨트(11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판(121)도 제1 지지판(120)에벨크로 타입의 벨트(122)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second support plate 111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10 by a Velcro belt 11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21 may also be Velcro-typ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by the belt 122 of this.

제1 지지판(120)에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봉(123, 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받침판(110)에는 상기 한쌍의 지지봉(123, 124)에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한쌍의 가이드구멍(113, 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 구멍(113, 114)의 내부에는 이용자의 버튼(115)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봉(123, 124)의 걸림홈에 걸어져 구속되거나 그 구속이 해제되는 구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rods 123 and 124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air of support rods 123 and 124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 pair of guide holes 113 and 114 guided through and inserted therein is formed, and the pair of guide holes 113 and 114 is engaged in the support rods 123 and 124 according to a user's button 115 operation. A restrain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which hangs on the groove or restrains the restraint.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는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보조 받침수단은, 제1 및 제2 보조받침판(200, 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ing part has an auxiliary supporting means configured to support a boundary portion between a neck and a face of the human body, and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includes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ing plates 200 and 210.

상기 제1 보조받침판(200)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1 받침판(110)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제1 보조받침판(200)의 일단에 고정된 제1 회전지지봉(201)이 제1 받침판(1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바, 제1 보조받침판(200)은 상기 제1 회전지지봉(201)에 의해 제1 받침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the first rotary support rod 201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The first support plate 20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late 110, and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by the first rotation support rod 201.

그리고, 제1 보조받침판(200)의 측면에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선이 가공되어 있는 나사봉(202)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나사봉(202)은 제1 받침판(110)에 그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203)을 관통하여 제1 받침판(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a screw rod 202 having a male thread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crew rod 202 has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thereof on the first support plate 110. It penetrates the side surface and protrudes outwardly of the first support plate 110 through the slide hole 203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슬라이드 구멍(203)을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봉(202)의 종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잡기 쉽게 되어 있는 손잡이(204)에 형성된 암나사홈(204a)이 끼워지는 바, 손잡이(20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봉(202)에 일정 깊이 이상 끼우게 되면 손잡이(204)의 일단이 제1 보조받침판(200)의 외측면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emale screw groove 204a formed in the handle 204 which is easy to be gripped by the user is fitted at the end of the screw rod 202 protruding through the slide hole 203. When the handle 20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crew rod 202 by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one end of the handle 204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상기 제2 보조 받침판(210)의 외측면에는 제2 회전지지봉(211)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제2 회전지지봉(211)은 제2 받침판(11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바, 제2 보조받침판(210)은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에 의해 제2 받침판(11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A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and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late 111. 210 is rotatably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11 by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여기서,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의 회전 자유로운 종단에는 탄발지지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탄발지지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판(111)의 외측면에 설치된 몸체(301)와, 이 몸체(3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지지봉(211)의 종단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橫) 바(bar)(310)와, 상기 횡 바(310)의 양단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320, 321)와, 이 제1 및 제2 고정돌기(320, 321)에 대향되게 몸체(301)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제3 및 제4 고정돌기(330, 331)와, 상기 고정돌기(320, 321, 330, 331)에 각각의 양단이 끼워져 횡 바(311)의 양단을 탄발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340, 341)으로 구성된다.Here, the carbon support means 300 is installed at the rotatable free end of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the carbon support means 300, as shown in Figure 6,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11 Body 301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the horizontal bar (310)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301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301 is op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320 and 3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320 and 321. A pair of springs 340 which both ends of the third and fourth fixing protrusions 330, 331 and the fixing protrusions 320, 321, 330, and 331 installed at the two ends are fitted to suppor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311. , 341).

이와 같이 구성된, 탄발지지수단(300)은, 이용자가 착용 후 목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이 회동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에 적당한 탄발력을 주어 이용자가 목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구부릴 때 소망하는 각도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장비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The elastic support means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to be horizontal without being rotated while the user does not force the neck after wearing. The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to give a suitable elastic force to assist the user to easily set the desired angle when bending the neck left or right, it is not essential.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은, 제1 보조 받침판(200)에 형성된 삽입홈(205, 206)과 이에 대응되어 제2 보조 받침판(210)에 형성된 삽입용 돌기(215, 216)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may include insertion grooves 205 and 206 formed in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correspondingly inserted in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The protrusions 215 and 21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이용자는 착용시에 제1 받침판(200)의 가이드 구멍(113, 114)에 제1 지지판(120)의 지지봉(123, 124)를 삽입하여 제1 받침판(200)을 일정 높이에 고정시킨 다음, 제1 보조 받침판(200)에 턱을 받치고 제2 보조 받침판(210)을 목의 뒷부분에 댄 상태로 제2 보조 받침판(210)의 삽입용 돌기(215, 216)를 제1 보조 받침판(211)의 삽입홈(205, 206)에 삽입하여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을 연결하고, 벨크로타입의 벨트(112)에 의해 제2 받침판(111)을 제1 받침판(110)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도 7 참조).Accordingly, the user inserts the support rods 123 and 124 of the first support plate 120 into the guide holes 113 and 114 of the first support plate 200 to fix the first support plate 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worn. Next, the support protrusions (215, 216) of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in the state of supporting the jaw to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on the back of the neck,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05 and 206 of the 211 to connect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11 by the Velcro-type belt 112 to the first It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110 and fixed (see FIG. 7).

이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은 탄발지지수단(300)의 스프링(340, 341)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In such a worn state,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are kept horizontal by the springs 340 and 341 of the elastic support means 300.

이때, 이용자가 스프링(340, 341)의 탄발력을 이길 수 있는 힘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목을 구부리게 되면, 제1 보조 받침판(200) 및 제2 보조 받침판(210)이 목을 구부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바, 이용자는 소망하는 각도로 목을 구부린 다음 손잡이(204)를 회전시켜 손잡이(204)의 일단을 제1 받침판(110)에 압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보조 받침판(200, 210)을 제1 받침판(110)에 고정시킨다(도 8 및 도 9 참조).At this time, when the user bends the neck to the left or right with a force that can overcome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s 340 and 341,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bends the neck When the user rotates the bar at a desired angl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204 and compresses one end of the handle 204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b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s 200. 21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0 (see FIGS. 8 and 9).

다음, 제1 받침판(110)을 소망하는 높이까지 끌어올려 고정함으로써, 이용자는 통증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다.Next, by pulling up and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110 to a desired height, the user can perform a traction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the cervical spine is bent to the left or the right according to the pain area.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조 받침판(200)과 제2 보조 받침판(210)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late 200 and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plate 210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power of the motor.

이와 같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의 기본 구성과 동일하나, 나사봉(202)과 슬라이드 구멍(203)과 손잡이(204)와 탄발지지수단(300)이 없는 대신, 제1 회전지지봉(210)과 제2 회전지지봉(21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박스가 결합되고 이 기어박스를 구동하는 모터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e popu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power of the motor, is the same a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 shown in FIGS. Instead of the 202, the slide hole 203, the handle 204 and the bullet support means 300, a gear for rotating it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ry support rod 210 and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The box is coupled and provided with a motor to drive the gearbox.

여기서, 상기 기억박스는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그에 결합된 제1 회전지지봉(210) 또는 제2 회전지지봉(211)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것으로, 모터의 구동이 정지하면 그에 결합된 제1 회전지지봉(210) 또는 제2 회전지지봉(211)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memory box is provided to rotat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to the first rotary support rod 210 or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coupled thereto, and coupled to it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stops. It is configured to constrain the first rotary support rod 210 or the second rotary support rod 211.

또한,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회로와, 이 모터구동회로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예컨대, 배터리 등) 및, 상기 모터구동회로로 이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조작수단 등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motor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motor, a power supply means (for example, a battery, etc.)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a key operating means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and the like. Is provided.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y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us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받침장치를 고정식 견인기구에 적용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턱과 목 부분을 받치는 받침부가 구비된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견인기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only the case of applying the auxiliar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xed traction mechanism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f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hin and neck portion is provided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type of traction mechanis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부의 내측에 환자의 턱과 목을 떠받치되 소망하는 각도만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릴 수 있는 보조 받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통증 부위에 따라 경추를 좌우로 구부린 상태로 견인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이용하면, 통증 부위가 경부의 정중앙이 아닌 측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patient's chin and neck inside the support portion, by installing an auxiliary support means for bending the cervical spine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desired angle, the cervical spine bent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ain area You can exercis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ain are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neck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neck, it can be effectively towed and treated.

Claims (10)

인체의 목부위를 떠받치는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추 견인기에 있어서,In the cervical retractor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ck of the human body,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인체의 목과 얼굴의 경계부위를 떠받치도록 된 보조 받침수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양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uxiliar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neck and face boundary of the human body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portion is 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rotatable around the horizontal axis and can be selectively restrain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upport means,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Auxiliary support plate which is open upper and lower and the support surface is gently bent and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boundary of the face and neck of the human bod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Rotating mea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plate to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n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restrain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판은, 한쌍의 판으로 이루어져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e retra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support plate is composed of a pair of plates and connected via a connecting mea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한쌍의 판 중 어느 한쪽의 판에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용 돌기와, 상기 한쌍의 판 중 남은 한쪽의 판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용 돌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means, 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on any one of the pair of plates, and at least one formed on the remaining one of the pair of plate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jections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above insertion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보조받침판과 상기 받침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받침판과 상기 받침부 중 남은 한쪽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쌍의 회전지지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means, one end is fixed to any on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a pair of rotary support rod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emaining one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late and the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device of cervical retra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판의 회동을 탄발 지지하는 탄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e retractor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rot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지지봉의 양단 중 회전 자유로운 단부에 결합되는 횡 바와,The side bar of claim 6, wherein the ballistic support means is coupled to a rotatable free end of both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rod, 상기 횡 바의 양단을 각각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n auxiliary support of the cervical vertebra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y the elastic fo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과,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traint portion, the slide hol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일단이 상기 보조 받침판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통해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선이 가공되어 있는 나사봉과,A screw rod having one end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slide hole, and a male thread machin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이용자가 잡기 쉽게 되어 있고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홈이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끼워지되 일정 깊이 이상 끼워지면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에 압착되도록 이루어진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re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easy to grasp and the female screw groove formed on one side is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screw rod, but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female screw groove is fitted over a predetermined dep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upport means,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인체의 얼굴과 목의 경계부위를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면이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과,Auxiliary support plate which is open upper and lower and the support surface is gently bent and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boundary of the face and neck of the human bod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보조 받침판의 양단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는 회전수단과,Rotating mea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plate to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상기 회전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받침판을 회동하는 모터와,A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means to rotate the auxiliary support plate;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회로와,A motor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상기 모터구동회로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과,Power supply means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상기 모터구동회로로 이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And a key operating means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별도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The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cervical vertebrae retrac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via a separate gearbox.
KR2020020018857U 2002-06-21 2002-06-21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2002913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57U KR200291305Y1 (en) 2002-06-21 2002-06-21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57U KR200291305Y1 (en) 2002-06-21 2002-06-21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859A Division KR20030097470A (en) 2002-06-21 2002-06-21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05Y1 true KR200291305Y1 (en) 2002-10-09

Family

ID=7312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57U KR200291305Y1 (en) 2002-06-21 2002-06-21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0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2855A (en) * 2023-12-20 2024-01-30 北京医院 Multifunctional equipment for evaluating and assisting treatment of neck s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2855A (en) * 2023-12-20 2024-01-30 北京医院 Multifunctional equipment for evaluating and assisting treatment of neck scar
CN117462855B (en) * 2023-12-20 2024-03-05 北京医院 Multifunctional equipment for evaluating and assisting treatment of neck s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en) Apparatus for air-press massage
KR101173164B1 (en) Cervical vertebrae tow and cure device
KR102186814B1 (en) The remedy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US5823982A (en)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CA2393152A1 (en)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KR101715519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neck
US20080004556A1 (en) Multifunctional neck brace
KR102030379B1 (en) Device for cervical therapy
KR200428734Y1 (en) The body remedial bed
KR20030097470A (en)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WO2008143469A2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pinal correction with a equipment made to measure
KR100390534B1 (en) A corrector for cervical vertebrae
KR200291305Y1 (en)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100494073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101261895B1 (en) Reverse training apparatus
KR100494071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101283784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200283775Y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CN207733967U (en) A kind of hot type neckpillow
KR102020565B1 (en) Body trac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KR200406852Y1 (en) The remedy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US20050133042A1 (en) Neck collars for relieving neck pains
KR100823107B1 (en) Device for remedy and self-cure for vertebra disc
KR200402802Y1 (en) The remedy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RU2268687C2 (en) Jacket for spinal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