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01Y1 - 벤치 겸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벤치 겸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01Y1
KR200291301Y1 KR2020020018451U KR20020018451U KR200291301Y1 KR 200291301 Y1 KR200291301 Y1 KR 200291301Y1 KR 2020020018451 U KR2020020018451 U KR 2020020018451U KR 20020018451 U KR20020018451 U KR 20020018451U KR 200291301 Y1 KR200291301 Y1 KR 200291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support
chair portion
chai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욱
Original Assignee
홍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욱 filed Critical 홍욱
Priority to KR202002001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01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을 절첩하여 벤취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벤취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지지각과 양측 의자부 및 중앙 상판을 각각 힌지 결합하고, 의자부 및 상판은 다수의 지지각에 각각 형성된 팔걸이 또는 고정블럭에 의해 위치고정되게 하여, 의자부 및 상판이 전체적으로 전개 또는 절첩되게 함으로서,
전개시에는 의자부를 갖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절첩시에는 벤취 형상이 되게 하여 실내,외 및 사용목적에 따라 테이블 또는 벤취로 변경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확대됨은 물론 이동 및 운반시에는 벤취 형상의 최소크기로 절첩하여 이동 및 운반하므로 적재량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최소크기로 보관하므로 가용공간이 크게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벤치 겸용 테이블 {combination bench and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을 절첩하여 벤취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벤취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지지각 및 양측 의자부, 상부의 상판을 각각 힌지 결합하여 전개된 상태에서는 테이블 형태가 이루어지게 하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벤취가 되게 함으로서 실내,외 및 사용목적에 따라 테이블 또는 벤취로의 변경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가족단위의 여행 및 주택 부근 및 정원 등에서의 야외식사를 자주하게 된다.
특히 일정한 면적의 마당 및 정원을 갖고 있는 개인주택과 같은 경우에는 수시로 나와 앉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테이블 또는 벤취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테이블 및 벤취는 식사와 담화 또는 독서 등 답답한 실내가 아닌 야외 여가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블과 벤취는 야외 여가활동을 하는데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테이블은 사각 또는 원형의 사각 상판의 하부에 지지대를 결합하여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벤취는 여러사람이 동시에 앉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있음은 물론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양단의 팔걸이가 형성되어 있는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테이블 및 벤취는 모두 각각 별개의 구성물로서, 고가의 테이블과 벤취를 각각 구매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테이블과 벤취가 차지하는 점유 면적이 매우 넓어 필요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이나 운반시에도 테이블과 벤취를 함께 이동 및 운반하여야 하므로 그 운반량이 매우 적은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지지각과 양측 의자부 및 중앙 상판을 각각 힌지 결합하고, 의자부 및 상판은 다수의 지지각에 각각 형성된 팔걸이 또는 고정블럭에 의해 위치고정되게 하여, 의자부 및 상판이 전체적으로 전개 또는 절첩되게 함으로서,
전개시에는 의자부를 갖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절첩시에는 벤취 형상이 되게 하여 실내,외 및 사용목적에 따라 테이블 또는 벤취로 변경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확대됨은 물론 이동 및 운반시에는 벤취 형상의 최소크기로 절첩하여 이동 및 운반하므로 적재량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최소크기로 보관하므로 가용공간이 크게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벤취 겸용 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벤치 겸용 테이블을 전개한 상태의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벤치 겸용 테이블을 절첩시킨 상태의 벤치 사시도
도 3a 및 도 3d는 본 고안 벤치 겸용 테이블의 절첩과정도로서,
도 3a는 테이블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테이블 상판 및 일측 지지대를 들어올리는 과정도
도 3c는 테이블 상판 및 일측 의자부를 들어올려 절첩하는 과정도
도 3d는 테이블이 완전히 절첩되어 벤취가 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판 2,2' : 지지대
3 : 브라켓 4 : 의자부
5 : 의자부 6,6' : 지지각
7,7' : 팔걸이 8 : 고정블럭
9 : 삽입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벤취 겸용 테이블을 전개하여 테이블로 사용되게 한 테이블 상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벤취 겸용 테이블을 절첩하여 벤취로 사용되게 한 벤취 사시도이다.
사각 패널상의 상판(1)의 하부 양측에 이격되어 힌지 결합된 서로 다른 길이의 장,단지지대(2)(2')를 결합하고,
보다 긴 길이의 장지지대(2) 외측으로는 브라켓(3)에 의해 일측 의자부(4)를 결합 형성하고,
짧은 길이의 단지지대(2')의 하단에는 또다흔 의자부(5)를 힌지 결합하되, 그 의자부(5)의 하부에는 상협하광상으로 지지각(6)(6')을 결합하며,
전기한 장지지대(2)의 외측 상단부에는 팔걸이(7)(7')를 힌지 결합하여, 팔걸이(7)(7')에 의해 상판(1) 및 장지지대(2)의 전개각도가 유지되게 하며,
일측 지지각(6)의 상부 외측에는 고정블럭(8)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상판(1)의 절첩 각도가 유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판(1)의 중앙에 삽입공(9)을 형성하여 이에 공지의 파라솔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벤취 겸용 테이블은 절첩 또는 전개 작용에 의해 벤취 또는 테이블로 변경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도 3a의 도시와 같이 전개 된 상태의 테이블은 상판(1) 하부에 힌지 결합된 장,단지지대(2)(2')에 양측의 의자부(4)(5)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의자부(4)(4')에 사용자가 걸터 앉으면 되는 것이며, 각각의 의자부(4)(5)는 장지지대(2)의 브라켓(3)과 타측 의자부(5) 하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각(6)(6')에 의해 지면과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견고한 지지 상태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판(1)의 중앙에는 별도의 삽입공(9)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공지의 파라솔 등을 삽입하면 하절기 햇빛을 피하거나 우천시 비를 피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테이블 상태의 본 고안 벤취 겸용 테이블을 벤취로 절첩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판(1)을 일측을 들어올려 일측 의자부(5) 측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우선 취하고,
계속하여 도 3c의 도시와 같이 상판(1)을 일측 의자부(5)로 완전히 회전시켜 상판(1)의 저면이 일측 의자부(5)의 지지각(6)에 형성된 고정블럭(8)에 맞닿아 위치 고정되게 하고, 상판(1)과 함께 따라 올라온 장지지대(2)를 하부로 회전시켜 그 장지지대(2)의 하단이 지면과 맞닿게 하면 장지지대(2)에 브라켓(3)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일측 의자부(4)가 전기한 의자부(5)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도 3d의 도시와같이 벤취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장지지대(2)에 힌지 고정되어 있던 팔걸이(7)(7')는 테이블 전개시에는 상판(1)과 장지지대(2)의 전개 각도 고정용으로 사용되다가 상판(1)의 회전과 동시에 힌지점이 자유로워지면서 회전이 가능케 되어 도 3d의 도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다음 팔걸이(7)(7')의 일측 단부가 그 상판(1)의 하부면과 당접되어 하강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되므로 벤취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자 팔걸이부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벤취로의 절첩 상태에서는 일측 의자부(5) 하부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각(6)(6')은 물론 장지지대(2) 하단이 지면과 맞닿아 견고한 지지 역할을 하므로 보다 안정되면서도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절첩된 상태의 벤취를 다시 전개하여 테이블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한 절첩 작용과는 반대로 상판(1)을 상부로 들어올려 의자부(5)의 타측으로 전개하면 상판(1)과 장지지대(2)가 팔걸이(7)(7')에 의해 전개각도가 유지되며 견고한 테이블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목적에 따라 테이블 또는 벤취로 적절하게 변경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벤취 또는 테이블은 전개시에는 의자부를 갖는 테이블이 형성되고, 절첩시에는 벤취 형상이 되게 하여 실내,외 및 사용목적에 따라 테이블 또는 벤취로 변경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확대됨은 물론 이동 및 운반시에는 벤취 형상의 최소크기로 절첩하여 이동 및 운반하므로 적재량이 증대되며, 보관시에도 최소크기로 보관하므로 가용공간이 크게 확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사각 패널상 상판(1)의 하부 양측에 이격되어 힌지 결합된 서로 다른 길이의 장,단지지대(2)(2')를 결합하고,
    보다 긴 길이의 장지지대(2) 외측으로는 브라켓(3)에 의해 일측 의자부(4)를 결합 형성하고,
    짧은 길이의 단지지대(2')의 하단에는 또다른 의자부(5)를 힌지 결합하되, 그 의자부(5)의 하부에는 상협하광상으로 지지각(6)(6')을 결합하며,
    전기한 장지지대(2)의 외측 상단부에는 팔걸이(7)(7')를 힌지 결합하여, 팔걸이(7)(7')에 의해 상판(1) 및 장지지대(2)의 전개각도가 유지되게 하고,
    일측 지지각(6)의 상부 외측에는 고정블럭(8)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상판(1)의 절첩 각도가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 겸용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판(1)의 중앙에 삽입공(9)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벤취 겸용 테이블.
KR2020020018451U 2002-06-18 2002-06-18 벤치 겸용 테이블 KR200291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51U KR200291301Y1 (ko) 2002-06-18 2002-06-18 벤치 겸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51U KR200291301Y1 (ko) 2002-06-18 2002-06-18 벤치 겸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01Y1 true KR200291301Y1 (ko) 2002-10-09

Family

ID=7312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51U KR200291301Y1 (ko) 2002-06-18 2002-06-18 벤치 겸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3B1 (ko) * 2012-07-10 2014-02-19 유한회사 유신인도네시아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200473958Y1 (ko) 2014-07-04 2014-08-14 이강덕 테이블 변환 벤치
KR101440348B1 (ko) 2014-05-13 2014-09-18 주식회사 예건 가동식 벤치 겸용 테이블
KR101508528B1 (ko) 2014-09-04 2015-04-08 (주)스페이스톡 변형가능한 다용도 시설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3B1 (ko) * 2012-07-10 2014-02-19 유한회사 유신인도네시아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101440348B1 (ko) 2014-05-13 2014-09-18 주식회사 예건 가동식 벤치 겸용 테이블
KR200473958Y1 (ko) 2014-07-04 2014-08-14 이강덕 테이블 변환 벤치
KR101508528B1 (ko) 2014-09-04 2015-04-08 (주)스페이스톡 변형가능한 다용도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5863U (ja) 組立式机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200291301Y1 (ko) 벤치 겸용 테이블
KR20110027901A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첩식 간이침대
US4960303A (en) Folding table and seat assembly
US3592146A (en) Suspended table
CN207370319U (zh) 可折叠家具
WO2010087875A1 (en) Collapsible seat
KR200453628Y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KR200401962Y1 (ko) 확장형 쇼파 테이블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CN204499842U (zh) 一种方便折叠的便携支架及应用其的工作台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JPH10248675A (ja) テーブル展開チェア
US20180206645A1 (en) Portable hammock style chair
CN205568238U (zh) 一种可折叠长条多功能桌椅
CN110179270A (zh) 一种可调式躺坐一体椅
CN104799566B (zh) 一种多功能侧架及使用其的折叠桌
KR200473958Y1 (ko) 테이블 변환 벤치
CN203563952U (zh) 多功能折叠床
KR100865450B1 (ko) 숯불구이기의 2단 높이 조절용 다리
KR20230029138A (ko) 테이블이 구비된 캠핑 장치
KR100603253B1 (ko) 좌대를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KR101514230B1 (ko) 다용도 조립식 의자
KR101048101B1 (ko) 다기능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