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284Y1 -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 Google Patents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284Y1
KR200291284Y1 KR2020020005602U KR20020005602U KR200291284Y1 KR 200291284 Y1 KR200291284 Y1 KR 200291284Y1 KR 2020020005602 U KR2020020005602 U KR 2020020005602U KR 20020005602 U KR20020005602 U KR 20020005602U KR 200291284 Y1 KR200291284 Y1 KR 200291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dimensional
image
pictorial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종
Original Assignee
박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종 filed Critical 박세종
Priority to KR2020020005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284Y1/ko

Link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권(추첨식, 즉석식)의 전면에 입체구현이 가능하도록 사람의 좌, 우측 시선에 대응하는 좌(202a), 우측용(202b) 이미지를 일렬로 (201) 인쇄하여 제작한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복권은 시각적 디자인을 위하여 임의의 일반 2D이미지(101)를 복권의 전면에 디자인하여 제작하는데, 상기 복권은 복권에 사용되는 도안용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입체감(공간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입체카메라, 컴퓨터편집 등으로 만들어진 좌(202a), 우(202b)측 2장으로 구성된 입체화보를 복권의 전면 일측에 좌,우 일렬로 인쇄하여, 패러렐뷰(Parallel View)방식, 또는 입체감상이 보다 용이한 입체뷰어(도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평면적 인쇄물에서 입체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체화보의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복권에 과학적인 입체화보를 제공하여 복권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복권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른 복권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사행심만의 조장이란 복권의 역기능을 일부분 희석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Stereo Graphic Lottery}
본 고안은 입체화보의 기능을 갖는 복권에 관한 것으로, 복권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의 좌, 우 시선에 대응하는 좌측용이미지(202a)와 우측용이미지(202b)를 일렬로 나란히 인쇄하여 제작하는 복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권은 도1에서와 같이 시각적 디자인을 위하여 임의의 2D이미지(101)를 복권의 전면 일측에 도안하여 제작하는데, 이는 단순한 시각디자인 효과 이외엔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여, 고액의 당첨금 지급 이외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상태로 복권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고액의 당첨금만을 추구하는 사행심 조장수단이란 비판적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복권은 추첨 후 당첨이 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에 가까운 활용도가 미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이 하나의 사물을 바라볼 때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약 65mm의 간격차에 의하여 각각의 눈에서 서로 다른 상이 결상되는데, 이와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사람의 좌, 우측 시선용 이미지를 각각의 눈에 보여줌으로써 인공적으로 입체감(공간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좌, 우측 눈이 보게 될 2장의 이미지를 입체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컴퓨터그래픽 도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3D모델링하고 가상의 좌, 우 카메라를 사용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랜더링 하는 방식과 더불어 일반 2D이미지를 원근법에 의한 등고선식 위치이동방식(도 3)으로 3D입체이미지로 전환하여 생성하고 이를 입체뷰어(도4) 또는 보조도구의 사용이 필요 없이 입체 구현이 가능한 패러렐뷰(Parallel View)방식으로, 제작되는 복권의 형태에 대응하여 복권 전면 일측에 나란히 디자인하여 제작함으로써 복권의 가치와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종래의 복권 도안형식(예 "주택복권")
도 2, 본 고안에 따른 입체이미지가 도입된 복권의 예시도
도 3, 원근법에 의한 등고선식 위치 이동법의 기본 원리도
도 4, 입체감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는 보조도구(입체뷰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일반 2D이미지
201. 두 이미지가 일렬로 배치된 패러렐뷰 방식
202a. 왼쪽 눈이 보게 될 이미지
202b. 오른쪽 눈이 보게 될 이미지
301. 일반 2D원본이미지(오른쪽 이미지)
302. 원근법에 의한 등고선식 위치 이동시킬 이미지(왼쪽 이미지)
303a∼303f. 원근에 의한 가상의 등고선
401. 입체 복권
402. 볼록 렌즈
본 고안에 따르면, 복권의 시각적 디자인을 위하여 도입하는 임의의 이미지(101)에 있어서, 상기 복권(도2)은 도입되는 이미지를 입체구현이 가능한 좌(202a), 우측용이미지(202b) 2장으로 구성된 입체화보를 복권 전면 일측에 나란히 인쇄하여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화보가 도입되어 도안된 복권의 예시도로써, 복권의 전면 일측에 사람의 양 눈이 각각 보게 될 좌측이미지(202a)와 우측이미지(202b)를 패러렐뷰(Parallel View)방식으로 입체구현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복권의 크기와 도안형식에 대응하여 일측에 좌, 우 나란히 도안하여 인쇄한다.
상기한 입체화보(202a, 202b)는 입체카메라에 의한 실사의 촬영 또는 컴퓨터그래픽상의 가상카메라를 통하여 생성할 수 있고 도 3의 원근법에 의한 등고선식 위치 이동방식으로 일반 2D이미지를 3D 입체이미지로 전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자가 입체의 원리를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원근법에 의한 등고선식 위치 이동방식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 원리도로써, 사람이 사물을 바라볼 때에 두 눈 사이 약 65mm의 간격차로 각각의 눈에 다른 이미지가 결상되는 원리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원본이미지(301)를 오른쪽 시선용으로 사용하고 이 원본이미지를 복사하여 이미지의 실질적 원근에 따른 가상의 등고선(303a∼303f)을 그어 303a에서부터 303f까지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미지 전체의 원근에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순차적인 위치를 이동시킴으로 왼쪽 시선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가상등고선의 조밀성과 이동거리의 조정으로 입체감의 조정이 가능하고 입체카메라에 의한 실사 촬영에 뒤지지 않는 입체구현이 가능하며 실사의 촬영이 아닌 이미지의 편집이기에 촬영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우주이미지, 가상의 이미지, 만화, 회화, 위험한 장소 이미지 등 장르에 구애됨이 없이 입체구현에 필요한 모든 2D이미지를 입체화보로 전환하여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권 도안용 입체화보의 선정에 용이함을 제공 한다. (도 2의 202a, 202b가 본 방식으로 제작되었음)
상기한 복권(도2)을 두 눈 30∼40cm앞에 들고서 오른쪽 눈은 복권의 오른쪽이미지를 왼쪽 눈은 왼쪽이미지를 약 3∼5초간 응시하면 3개의 이미지가 눈 앞 복권 면에 결상되는데 이때 중간에 있는 이미지가 일반 인쇄물에서 느낄 수 없는 깊이 있는 입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패러렐뷰(Parallel View) 방식 )도 4는 패러렐뷰 방식에 적용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볼록렌즈(402) 가 부착된 입체뷰어로, 렌즈를 통하여 좌, 우이미지를 각각의 눈에 보여줌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확대된 이미지로 입체구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보조도구로 상기 복권의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 복권은 특수한 인쇄 공정이 필요한 것이 아닌 기존의 복권 제작 공정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추가비용 없이 복권 제작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복권을 단순한 추첨의 수단만이 아닌, 사용자에게 호기심과 감동의 관심 대상이 되는 특성을 갖은 과학적인 입체화보의 제공으로 복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세계 최초의 컨텐츠형 복권이란 지명도와 더불어 복권의 특화된 차별화로 거대해진 복권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행심만을 조장한다는 복권의 비판적 여론을 일부분 희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한다.또한, 기존의 입체산업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했던 입체컨텐츠(입체화보)를 대중적인 복권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공급함으로써 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응용제품의 개발(입체뷰어)등, 입체산업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 한다.

Claims (1)

  1. 복권의 전면에 시각적 디자인을 위하여 도입하는 임의의 이미지(101)에 있어서, 상기 입체복권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선에 대응하는 좌측(202a)용 이미지와 우측(202b)용 이미지 2장으로 구성된 입체화보(201)를 복권(추첨식,즉석식)의 전면 일측에 좌,우 나란히 일렬로 인쇄(도2)하여 제작한 패러렐뷰(Parallel View)방식 또는 보조도구(도4)에 의하여 입체구현 되는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KR2020020005602U 2002-02-25 2002-02-25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KR200291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02U KR200291284Y1 (ko) 2002-02-25 2002-02-25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02U KR200291284Y1 (ko) 2002-02-25 2002-02-25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284Y1 true KR200291284Y1 (ko) 2002-10-14

Family

ID=7311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02U KR200291284Y1 (ko) 2002-02-25 2002-02-25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2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khua Principles of Logo Design: a practical guide to creating effective signs, symbols, and icons
Carbon et al. Da Vinci's Mona Lisa entering the next dimension
KR200291284Y1 (ko) 입체화보 기능을 갖는 복권
CN103246073B (zh) 一种动态立体图像的合成系统
JP3181972U (ja) カードおよびカード読取り具
JP2010264658A (ja) 立体視可能な印刷物
Kongdee et al. The Creation of Digital image in Thai Cultural using AI generated
Rivotti et al. Composition Principles for Quality Depiction and Aesthetics.
CN102467747A (zh) 建筑装修动画3d效果处理方法
Sulianta Formation of Pixel Using Digital Imaging to Create Stereogram
Samara Design Elements: Understanding the rules and knowing when to break them-Updated and Expanded
JP4369310B2 (ja) カード
JP3670174B2 (ja) カード
JP4662238B2 (ja) 立体視用印刷物の製造方法、立体視用印刷物、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46074B (zh) 一种动态立体图像的合成方法
Schwartz Computers and Appropriation Art: The Transformation of a Work or Idea for a New Creation
Lee et al. The Study on the Graphic Design of Media art: Focusing on Projection Mapping
Huang Virtual Reality-based Visualization of Optical Illusion in the Art and Design Field
Kim Japanese Postmodernity and Flat Architecture
Tsuruno Natural Expression of Physical Models of Impossible Figures and Motions
Costello Visual Communication
Neumann et al. Enhancing Perceived Depth in Images Via Artistic Matting
Boyd Davis Media Space: an analysis of spatial practices in planar pictorial media.
Buchroithner et al. The art of autostereoscopic relief representation in cartography
El Hajj The future of digital 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