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96Y1 -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 Google Patents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96Y1
KR200290896Y1 KR2020020019204U KR20020019204U KR200290896Y1 KR 200290896 Y1 KR200290896 Y1 KR 200290896Y1 KR 2020020019204 U KR2020020019204 U KR 2020020019204U KR 20020019204 U KR20020019204 U KR 20020019204U KR 200290896 Y1 KR200290896 Y1 KR 200290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heat
storage material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2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상철
Original Assignee
오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철 filed Critical 오상철
Priority to KR2020020019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96Y1/en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온수와 난방수의 가열이 용이한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축열재를 이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부로 기밀 부착되는 상부커버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부커버의 내부로 단열재가 구비되는 축열재수용부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온수물통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온수물통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온수유입관과, 상기 온수물통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온수흡열관과, 상기 온수흡열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온수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온수생성부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상기 온수물통과 대칭되어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난방수물통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난방수물통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난방수유입관과, 상기 난방수물통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난방수흡열관과, 상기 난방수흡열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난방수배출관으로 구성되는 난방수생성부와;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온수물통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 중앙으로 구비되는 전열선고정부와, 상기 전열선고정부의 하단으로 부착되는 전열선으로 구비되는 가열부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that is easy to heat hot water and heating water with a simple stru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boiler us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A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case for accommod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and an upper cover which is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upper cover; The hot water bucket forming the inner and outer three sides of the housing case, the hot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bucke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the hot wat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bucket and wound to the upper portion provided A hot water generating unit comprising a heat absorption tube and a hot water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absorption tube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A heating water container symmetrical with the hot water bucket to form an inner and outer three sides inside the housing case, a heating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A heating water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absorbing tube, the heating water absorbing tube being wound upward,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tube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The heating unit is moun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and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wire fixing portion provi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bucket and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case.

상기와 같은 보일러를 제공함으로서,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심야전기를 사용하여 난방비가 절감되며 사용에너지에 비한 열효율이 높고 그에 따라 에너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By providing the boiler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heating cost is reduced by using the midnight electricity, the thermal efficiency is high compared to the energy used, and thus the energy is significantly reduced.

Description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본 고안은 축열재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온수와 난방수의 가열이 용이한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that is easy to heat hot water and heating water in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축열식 전열 보일러는 전력사용량이 적은 심야시간의 전력을 사용하여 축열을 한 다음에 작동시간에 사용하여 저렴한 전기요금으로 난방 및 온수공급을 하는 보일러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regenerative heat transfer boilers are widely used as boilers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t low electricity rates using heat storage in the late hours using low-power electricity at night.

그런데, 종래의 축열식 전열 보일러는 물을 축열재로 사용하여 축열 및 잠열의 효과가 떨어져 장시간동안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t storage type heat transfer boi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effect of heat storage and latent heat is reduced by using water as a heat storage material.

아울러, 축열재로 사용되는 물은 축열과정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열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used as the heat storage material ha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nergy in the heat storage process and accordingly the thermal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PCM(Phase Change Material)을 축열재로 하여 물이 충진된 수조의 내부로 배관을 내설하여 이 배관으로 가열된 축열재를 유동하여 수조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가 안출되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rawbacks, a boiler is installed in a tank filled with water using PCM (Phase Change Material) as a heat storage material, and a boiler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e tank by flow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heated by the pipe. It is designed.

그런데. 상기한 보일러는 수조의 내부로 가열된 축열재가 유동되는 배관을 형성하여 수조의 내부의 물을 가열함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적절한 축열은 이루어지나 열전달과정에 많은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고 아울러 물의 가열이 급속도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간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boiler forms a pipe through which the heated heat storage material flows into the water tank to heat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so that proper heat storage is achieved at a low cost, but a large amount of energy is lost in the heat transfer process, and the water is rapidly h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se of use is significantly lowered because it is not made.

아울러, 수조와 축열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 단열시킴으로서,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생산 및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separately insulating the cas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tank and the heat storage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production cost is required and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accordingly.

그리고, 수조의 내부에서 축열재의 유동에 의해 물이 급탕되지 않으므로, 보조의 히팅장치를 수조의 일측에 구비해야 하는 등 별도의 부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is not heated by the flow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inside the tan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heating cost is required, such as providing an auxiliary heating device on one side of the tank.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온수와 난방수의 가열이 용이한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that is easy to heat hot water and heating water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열선과 축열재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that is prevented direct contact between the heating wire and the heat storage material.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축열재의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형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아울러 배관에 내재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condensat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ase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and als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air in the pip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수 및 난방수의 유량과 온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transfer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is automatically adjusted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hot water and heating water by the user's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축열재를 이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상부로 기밀 부착되는 상부커버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부커버의 내부로 단열재가 구비되는 축열재수용부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온수물통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온수물통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온수유입관과, 상기 온수물통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온수흡열관과, 상기 온수흡열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온수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온수생성부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상기 온수물통과 대칭되어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난방수물통과, 상기 수용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난방수물통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난방수유입관과, 상기 난방수물통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난방수흡열관과, 상기 난방수흡열관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난방수배출관으로 구성되는 난방수생성부와;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온수물통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 중앙으로 구비되는 전열선고정부와, 상기 전열선고정부의 하단으로 부착되는 전열선으로 구비되는 가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A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case for accommod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and an upper cover which is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upper cover; The hot water bucket forming the inner and outer three sides of the housing case, the hot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bucke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the hot wat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bucket and wound to the upper portion provided A hot water generating unit comprising a heat absorption tube and a hot water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absorption tube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A heating water container symmetrical with the hot water bucket to form an inner and outer three sides inside the housing case, a heating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A heating water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absorbing tube, the heating water absorbing tube being wound upward,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tube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and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wire fixing unit provi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bucket and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eating unit. It is.

또한, 상기 전열선고정부와 전열선을 내포하도록 상부커버에 열매체수용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의 내부로 열매체유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containing case is provided in the upper cover so as to contain the heating wire fixing portion and the heating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medium oil is provided inside the heat medium receiving case.

또한,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에서 그 내측으로 수증기배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배출관과 난방수배출관의 관로상으로 에어배출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team discharge valve is provid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cover to an inside thereof, and an air discharge valve is provided on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의 내부로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전기신호를 받고 수용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와, 온수유입관과 난방수유입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의 전기신호를 받아 급수량을 조절하는 급수펌프와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provided inside the heat medium housing case, the control box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hot water inlet pipe and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is provided in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sisting of a water supply pump and an on-off valve for adjusting the water supply in response to the electric signa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결합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축열재수용부10: heat storage receptacle

11 : 수용케이스 12 : 상부커버 13 : 단열재11: housing case 12: top cover 13: insulation

14 : 수증기배출밸브14: water vapor discharge valve

20 : 온수생성부20: hot water generating unit

21 : 온수물통 22 : 온수유입관 23 : 온수흡열관21: hot water bucket 22: hot water inlet pipe 23: hot water absorption tube

24 : 온수배출관 25 : 에어배출밸브24: hot water discharge pipe 25: air discharge valve

30 : 난방수생성부30: heating water generation unit

31 : 난방수물통 32 : 난방수유입관 33 : 난방수흡열관31: heating water container 32: heating water inlet pipe 33: heating water absorption heat pipe

34 : 난방수배출관 35 : 에어배출밸브34: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5: air discharge valve

40 : 가열부40: heating unit

41 : 전열선고정부 42 : 전열선 43 : 열매체수용케이스41: heating wire declaration 42: heating wire 43: heat medium housing case

44 : 열매체유44: heat medium oil

50 : 제어부50: control unit

51 : 온도감지센서 52 : 컨트롤박스 53 : 급수펌프51: temperature sensor 52: control box 53: feed water pump

54 : 개폐밸브54: on-off val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분해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보일러는 PCM 등의 축열재가 수용되는 축열재수용부(10)의 내부로 온수생성부(20)와 난방수생성부(30)가 대칭되어 구비되고, 상기 축열재수용부(10)의 내부 중앙으로 가열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The boiler has a hot water generating unit 20 and a heating water generating unit 30 symmetrically provided inside the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0 in which heat storage material such as PCM is accommodated, and a heating part toward an inner center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0. 40 is provided and is comprised.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축열재수용부(10)는 축열재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11)와,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상부로 기밀 부착되는 상부커버(12)와, 상기 수용케이스(11)와 상부커버(12)의 내부로 구비되는 단열재(13)와, 상기상부커버(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증기배출밸브(14)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the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0 is an accommodating case 11 for accommod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an upper cover 12 that is hermetically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and the accommodating case 11 and It is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13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2, and a steam discharge valve 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ver 12.

아울러, 상기 수용케이스(11)의 하부로 개폐관(15)이 구비됨으로서, 축열재를 용이하게 배출하거나 축열재가 굳어진 후에 응축수를 용이하게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tube 15 is provided below the housing case 11, the heat storage material can be easily discharged or the condensed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ase 11 after the heat storage material is hardened.

여기서, 상기 축열재수용부(10)는 그 내부로 PCM 등의 축열재가 적절히 수용되는 공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케이스(11)와 상부커버(12)가 긴밀히 부착됨으로서 내부에 충진된 축열재가 누설되지 않고 적절히 구비되는 것이다.Here, the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0 serves as a space in which heat storage material such as PCM is properly accommodated, and the heat storage material filled inside is leaked by the accommodating case 11 and the upper cover 12 closely attached thereto. It is not provided properly.

그리고, 상기 단열재(13)는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 충진된 축열재가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된 후에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단열을 시켜주어 보다 나은 축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insulator 13 is thermally insulated so that the heat storage materia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is not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after being heated by the heating part 40. To make it happen.

아울러, 상기 수증기배출밸브(14)는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 응축이나 결로현상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축열재의 가열에 의해 수증기로 변해 배출되는 밸브로서, 이와 같은 응축수의 배출에 의해 축열재의 축열 및 잠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eam discharge valve 14 is a valv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e to condensation or condensation, etc., inside the accommodating case 11 is converted into water vapor by heating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and discharged. The heat storage and latent heat of ash is more efficient.

또한, 상기 온수생성부(20)는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온수물통(21)과,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온수물통(21)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온수유입관(22)과, 상기 온수물통(21)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온수흡열관(23)과, 상기 온수흡열관(23)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2)의 상측에 구비되는 온수배출관(24)과, 상기 온수배출관(24)의 관로상에 구비되는 에어배출밸브(25)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bucket 21 to form an inner and outer three side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se 11, the outer side of the hot water bucket 2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It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let pipe 22, the hot water absorbing tube 23,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t water tank 21 and woun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hot water absorbing tube 23, the upper cover 12 It is composed of a hot water discharge pipe 2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nd the air discharge valve 25 provided on the conduit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4.

여기서, 상기 온수생성부(20)는 급탕 등의 온수를 용이하게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온수물통(21)이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서 내외 삼면을 형성하여 축열재의 가열에 의해 1차적으로 그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배출중에 보다 빠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20 serves to easily generate hot water such as hot water supply, the hot water tank 21 is formed inside and outside three sides of the housing case 11 by he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1 In turn, the water inside it is kept heated so that faster heating occurs during discharge.

그리고, 상기 온수유입관(22)은 온수물통(21)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온수흡열관(23)은 상기 온수물통(21)이 축열재에 둘러싸여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배출중에 한번 더 세밀하게 가열되어 빠른 시간내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t water inlet pipe 22 serves to introduce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bucket 21, and the hot water absorbing tube 23 is primarily heated by the hot water bucket 21 surrounded by the heat storage material. The fine water is heated once more during the discharge so that it can be heated to the proper temperature in a short time.

아울러, 상기 온수배출관(24)은 온수흡열관(23)을 통해 완전히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배출밸브(25)는 상기 온수배출관(24)의 관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열효율을 보다 상승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4 serves to discharge the hot water completely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absorbing pipe 23 to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valve 25 is formed in the pipeline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4). It serves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air is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또한, 상기 난방수생성부(30)는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온수물통(21)과 대칭되어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난방수물통(31)과,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난방수물통(31)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난방수유입관(32)과, 상기 난방수물통(31)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난방수흡열관(33)과, 상기 난방수흡열관(33)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2)의 상측에 구비되는 난방수배출관(34)과,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의 관로상에 구비되는 에어배출밸브(35)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water generating unit 30 is a heating water container 31 symmetrical with the hot water tank 21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se 11 to form an inner and outer three sides, and the heating i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case 11 A heating water inlet pipe 32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container 31, a heating water absorption heat pipe 33 connected to an inner 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and wound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heating water absorption heat. It is composed of a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connected to the pipe 33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12, and an air discharge valve 35 provided on the pipeline of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여기서, 상기 난방수생성부(30)는 난방배관 등으로 가열된 난방수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난방수물통(31)이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서 내외 삼면을 형성하여 축열재의 가열에 의해 1차적으로 그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배출중에 보다 빠른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Here, the heating water generating unit 30 serves to easily generate and discharge the heating water heated by the heating pipe, etc.,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forms the inside and outside three surfaces inside the housing case (11). Thus, by he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the water inside thereof is primarily maintained in a heated state, so that faster heating occurs during discharge.

그리고, 상기 난방수유입관(32)은 난방수물통(31)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난방수흡열관(33)은 상기 난방수물통(31)이 축열재에 둘러싸여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배출중에 한번 더 세밀하게 가열되어 빠른 시간내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2 serves to introduce water into the interior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and the heating water absorption tube 33 is surrounded by the heat storage material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1. Subsequently, the heated water is heated once more during discharge to ensure that it is heated to the appropriate temperature in a short time.

아울러,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은 난방수흡열관(33)을 통해 완전히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배출밸브(35)는 상기 난방수배출관(34)의 관로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열효율을 보다 상승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serves to discharge hot water completely heated through the heating water absorption heat pipe 33, and the air discharge valve 35 is a pipe line of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It is to discharge the air formed inside automatically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또한, 상기 가열부(40)는 상부커버(12)의 중앙 하부에서 온수물통(21)의 상부를 관통하여 열매체수용케이스(43)가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 중앙으로 전열선고정부(41)가 구비되며, 상기 전열선고정부(41)의 하단으로 전열선(42)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part 40 is provi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bucket 21 in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cover 12, the heating medium receiving case 43 is provided vertically, the inner center of the heating medium receiving case 43 As a heating wire selecting portion 41 is provided, the heating wire 4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wire selecting portion 41 is configured.

여기서, 상기 가열부(40)는 공지의 전원과 연결되어 심야의 전기를 사용하여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 충진된 축열재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Here, the heating part 40 is connected to a known power source to serve to heat the heat storage material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se 11 by using electricity at night.

그리고, 상기 전열선고정부(41)는 전열선(42)이 용이하게 고정되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전열선(42)은 전원의 연결로 발열되어 축열재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wire fixing portion 41 is to ensure that the heating wire 42 is easily fixed and at the same time stable mounting, the heating wire 42 is to generate heat by the connection of the power to serve to heat the heat storage material.

따라서, 본 보일러는 온수물통(21)과 난방수물통(31)의 적절한 배치로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온수흡열관(23)과 난방수흡열관(33)에 의해 2차적으로 보다 세밀하게 가열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온수 및 난방수의 가열이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oiler is a secondary heater by the hot water heat absorbing pipe 23 and the heating water absorbing heat pipe 33 in detail by the primary arrangement of the hot water bucket 21 and the heating water tank 31. By being configured to be heated, the heating of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occurs more easily.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결합 종단면도를 살펴보면,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upling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본 보일러는 축열재(2)가 내부로 충진되는 수용케이스(11)의 상부로 상부커버(12)가 장착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대칭되게 온수물통(21)과 난방수물통(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물통(21)(31)으로 유입관(22)(32)이 구비되고, 상기 물통(21)(31)의 내측에서 그 상부로 감기어 흡열관(23)(33)이 구비되며, 상기 흡열관(23)(33)의 상부 끝에서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관(24)(34)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The boiler is equipped with an upper cover 1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in which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filled therein, the hot water bucket 21 and the heating water bucket symmetrically in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31) is provided, the inlet pipes (22) and (32) are provided to the water tank (21) 3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 (31) The endothermic tubes 23 and 33 are wound around the exhaust pipes 23 and 33, and discharge pipes 24 and 34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ndothermic tubes 23 and 33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

그리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 중앙으로 열매체유(44)가 충진된 열매체수용케이스(43)가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로 전열선고정부(41)와 전열선(4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heat medium accommodating case 43 filled with the heat medium oil 44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and the heat transfer fixing part 41 and the electric heating wire 42 are provid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case 43. )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열매체유(44)는 전열선(42)의 발열을 축열재(2)로 용이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42)의 열이 상기 축열재(2)에 직접적으로 닿아 축열재(2)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Here, the heat medium oil 44 serves to easily transfer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42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2, and the heat of the heating wire 42 directly touches the heat storage material 2 to accumulate he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ife of the ashes 2 from being shortened.

그리고, 상기 흡열관(23)(33)은 다소 가는 배관으로 감기어 구비되어 축열재(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보다 적절히 흡열되어 유동되는 물이 용이하게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absorbing pipes 23 and 33 may be configured to be wound with a somewhat thin pipe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more properly absorbed and flows easily.

아울러, 상기 유입관(22)(32)은 물통(21)(31)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장착됨으로서, 본 보일러의 조립 및 제작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가열로 액상으로 변화하는 축열재(2)나 유동되는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let pipes 22 and 32 are tightly coupled to the water tanks 21 and 31 so that the heat storage material 2 which changes into the liquid phase of the heating furnace while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the boiler is smooth.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lowing water does not leak.

그리고, 상기 온수물통(21)을 지나 상부커버(12)로 구비되는 흡열관(23)(33)의 상부측과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상부와 수증기배출밸브(14)는 상기 온수물통(21)에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봉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absorbing tube (23) 33 provided as the upper cover 12 through the hot water tank 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medium receiving case 43 and the steam discharge valve 14 is the hot water bucket ( 21,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tight seal so that no leakage occurs.

또한, 상기 수용케이스(11)와 상부커버(12)는 그 내부로 단열재(13)가 적절히 구비되어, 전열선(42)에 의해 축열재(2)가 가열된 후에 외부로의 방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using case 11 and the upper cover 12 are properly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13 therein, so that the heat radiation to the outside after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heated by the heating wire 42 is configured to Will be.

따라서, 본 보일러는 충진액의 누출이 적절히 방지되는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온수 및 난방수가 가열되고 아울러 충진된 고가의 축열재(2)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 수명이 극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boiler is configured such that hot water and heating water are more easily heated in the state where leakage of the filling liquid is properly prevented, and the expensive heat storage material 2 filled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ereby maximizing its life.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를 살펴보면,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공지의 전원으로 전열선(42)이 가열되어 방열을 하게 되면,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 충진된 고상의 축열재(2)가 액상으로 변화면서 축열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eating wire 42 is heated and radiated by a known power source,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filled with the solid state heat storage material 2 fill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to generate heat storage.

이때, 상기 전열선(42)의 발열은 축열재(2)와 직접 맞닿지 않고 열매체유(44)에 전달되고, 상기 열매체유(44)에 의해 전달된 열은 열매체수용케이스(43)를 통과하여 그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상기 축열재(2)에 열을 전달하게 되어 액화시키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42 is transmitted to the heat medium oil 44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2, and the heat transferred by the heat medium oil 44 passes through the heat medium accommodation case 43.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o liquefy.

상기와 같이 축열재(2)가 액화되어 충진된 상태에서 유입관(22)(32)을 통해 물통(21)(31)으로 물이 유입되어 1차적으로 적절히 가열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s 21 and 31 through the inflow pipes 22 and 32 in the state where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liquefied and filled, thereby being in a state where it is properly heated first.

이와 같이 상기 물통(21)(31)에 의해 가열된 물은 흡열관(23)(33)을 지나면서 급속히 가열되어 적절한 온도로 배출관(24)(3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As such, the water heated by the buckets 21 and 31 is rapidly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absorbing pipes 23 and 33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s 24 and 34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또한, 본 보일러의 가동이 끝난 후에 물통(21)(31)과 흡열관(23)(33)과 축열재(2)가 맞닿는 표면에 응축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 응축수로 말미암아 축열재(2)의 안정적인 가열이 방해를 받게 됨으로, 상부커버(12)에 수증기배출밸브(14)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boiler is finished, condensation condensation occurs on the surface where the water tanks 21, 31, the heat absorbing pipes 23, 33, and the heat storage material 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table heating of) will be hindered, so that the upper cover 12 is provided with a steam discharge valve (14).

여기서, 상기 수증기배출밸브(14)는 축열재(2)가 가열되면서 수용케이스(11)의 내부에 있는 응축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로 만들게 되고 이 수증기가 일정한 압력을 가지면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Here, the steam discharge valve 14 is configured to heat the condensed water in the housing case 11 while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heated to make water vapor, and to discharge automatically when the water vapor has a constant pressure.

따라서, 본 보일러는 상기 축열재(2)에 의해 상기 물통(21)(31)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가열된 상태의 물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흡열관(23)(33)을 통해 배출관(24)(34)으로 배출되면서 완전히 급속 가열되어 적정한 온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보다 용이하게 온수 및 난방수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oiler i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eat absorbing pipe (23, 33)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at the water of the state that is primarily he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cket (21) (31) by the heat storage material (2) ( 24) (34) while being completely heated rapidly to have a proper temperature, the hot water and the heating water is made easier with a simple structure.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를 살펴보면,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본 보일러는 축열재(2)가 내부로 충진되는 수용케이스(11)의 상부로 상부커버(12)가 장착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대칭되게 온수물통(21)과 난방수물통(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물통(21)(31)으로 유입관(22)(32)이 구비되고, 상기 물통(21)(31)의 내측에서 그 상부로 감기어 흡열관(23)(33)이 구비되며, 상기 흡열관(23)(33)의 상부 끝에서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관(24)(34)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The boiler is equipped with an upper cover 1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in which the heat storage material (2) is filled therein, the hot water bucket 21 and the heating water bucket symmetrically in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31) is provided, the inlet pipes (22) and (32) are provided to the water tank (21) 3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1) (31) The endothermic tubes 23 and 33 are wound around the exhaust pipes 23 and 33, and discharge pipes 24 and 34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ndothermic tubes 23 and 33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의 하부 중앙으로 수용케이스(11)의 중앙에 열매체수용케이스(43)가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로 전열선(4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housing case 4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case 11 at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cover 12, and the heating wire 42 is provided inside the heat medium housing case 43. .

아울러,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로 온도감지센서(51)가 구비되고, 유입관(22)(32)의 관로상으로 급수펌프(53)와 개폐밸브(54)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51)와 급수펌프(53) 및 개폐밸브(54)에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박스(5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어부(50)가 본 장치에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51 is provid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case 43, and a water supply pump 53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54 are provided on a conduit of the inlet pipes 22 and 32. The control unit 50, which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52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51, the feed water pump 53 and the on-off valve 54 in an electrical signal is configured in the device.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센서(51)는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52)로 전기 신호상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트롤박스(52)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1)와 급수펌프(53) 및 개폐밸브(54) 그리고 전열선(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51)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열선(42)과 급수펌프(53) 및 개폐밸브(54)의 전원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Here, the temperature sensor 51 is to serve to sen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t medium housing case 43 to send to the control box 52 in the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box 52 is the temperature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51 and the feed water pump 53 and the on-off valve 54 and the heating wire 42,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51, the heating wire 42 and the feed water pump 53 and opening and closing It serves to interrupt the power supply of the valve 54.

아울러, 상기 컨트롤박스(52)는 사용자가 키를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온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고 이 설정온도에 맞추어 본 보일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52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via a key to selectively se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oiler i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그리고, 사용자의 컨트롤박스(52) 조작에 의해 온수 및 난방수의 배출 및 순환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properly discharge and circulate hot water and heating water by operating the control box 52.

따라서, 본 보일러는 제어부(50)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정 온도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본 장치를 가동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에너지의 손실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oiler operates the apparatus by selectively designat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the control unit 50, so that more efficient use is made and unnecessary or excessive energy loss is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온수와 난방수의 가열이 용이함으로,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심야전기를 사용하여 난방비가 절감되며 사용에너지에 비한 열효율이 높고 그에 따라 에너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facilitates the heating of hot water and heating water,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heating cost is reduced by using midnight electricity, and the thermal efficiency is high compared to the energy used, and thus the energy is significantly reduced. Have

또한, 본 고안은 전열선과 축열재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됨으로서, 축열재의 수명이 현저히 증대되고 그에 따라 축열재의 재충진 및 교체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irect contact of the heating wire and the heat storage material is prevented, the life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i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by the refill and replacement costs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고안은 축열재의 수용케이스의 내부로 형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아울러 배관에 내재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서, 축열재의 열흡수가 현저히 향상되고 그에 따라 단시간에 난방효과가 발휘되며 온수와 난방수의 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condensate formed in the storage case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and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air contained in the pip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heat absorption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thereby exhibiting a heating effect in a short time and providing hot water.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heating water.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수 및 난방수의 유량과 온도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서, 사용상의 간편성이 제공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온도의 난방 및 온수배출이 이루어져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djusts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heating water by the user's operation, providing ease of use and discharge o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heating and hot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prevent unnecessary loss of energy Effect.

Claims (4)

축열재(2)를 이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In a boiler us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2); 상기 축열재(2)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11)와,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상부로 기밀 부착되는 상부커버(12)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1)와 상부커버(12)의 내부로 단열재(13)가 구비되는 축열재수용부(10)와;It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case 11 for receiv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2, and an upper cover 12 that is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the accommodating case 11 and the upper cover 12 A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0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13 therein;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온수물통(21)과,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온수물통(21)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온수유입관(22)과, 상기 온수물통(21)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온수흡열관(23)과, 상기 온수흡열관(23)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2)의 상측에 구비되는 온수배출관(24)으로 구성되는 온수생성부(20)와;The hot water tank 21 to form the inner and outer three surface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se 11, the hot water inlet pipe 22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tank 21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and The hot water absorbing tube 23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t water tank 21 and wound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hot water discharge tube 24 connected to the hot water absorbing tube 23 and provided above the upper cover 12. Hot water generating unit 20 consisting of;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로 상기 온수물통(21)과 대칭되어 내외 삼면을 형성하는 난방수물통(31)과,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서 상기 난방수물통(31)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난방수유입관(32)과, 상기 난방수물통(31)의 내측에 연결되어 그 상부로 감기어 구비되는 난방수흡열관(33)과, 상기 난방수흡열관(33)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2)의 상측에 구비되는 난방수배출관(34)으로 구성되는 난방수생성부(30)와;A heating water container 31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hot water container 21 to form the inner and outer three surfaces inside the housing case 11, an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case 11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It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2, the heating water absorbing heat pipe 33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water container 31 is wound to the upper portion provided, and the heating water absorbing heat pipe 33 A heating water generation unit 30 including a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12; 상기 상부커버(12)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온수물통(21)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내부 중앙으로 구비되는 전열선고정부(41)와, 상기 전열선고정부(41)의 하단으로 부착되는 전열선(42)으로 구비되는 가열부(40)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The heat transfer fixing part 41 is moun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12 and penetr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21 to the inner center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Heat-type boiler using a heat storag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eating unit 40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42 attached to the botto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열선고정부(41)와 전열선(42)을 내포하도록 상부커버(12)에 열매체수용케이스(43)가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로 열매체유(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The heating medium receiving case 43 is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2 so as to contain the heating wire fixing part 41 and the heating wire 42, and the heating medium oil 44 is provided inside the heating medium receiving case 43. Heat-type boiler using heat storag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상부커버(12)의 일측에서 그 내측으로 수증기배출밸브(14)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배출관(24)과 난방수배출관(34)의 관로상으로 에어배출밸브(25)(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A steam discharge valve 1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cover 12 to the inside thereof, and air discharge valves 25 and 35 are provided on a pipe line between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4 and the heating water discharge pipe 34. Heat-type boiler using heat storag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열매체수용케이스(43)의 내부로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5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51)의 전기신호를 받고 수용케이스(11)의 외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52)와, 온수유입관(22)과 난방수유입관(32)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박스(52)의 전기신호를 받아 급수량을 조절하는 급수펌프(53)와 개폐밸브(54)로 구성되는 제어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A temperature sensor 51 provided inside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case 43, a control box 52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11 in response to an electric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51, and hot water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in the inlet pipe 22 and the heating water inlet pipe 32 and includes a water supply pump 53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54 for adjusting the water supply amount by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box 52. Heat-type boiler using heat storag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20019204U 2002-06-25 2002-06-25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KR2002908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4U KR200290896Y1 (en) 2002-06-25 2002-06-25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4U KR200290896Y1 (en) 2002-06-25 2002-06-25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96Y1 true KR200290896Y1 (en) 2002-10-04

Family

ID=7312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204U KR200290896Y1 (en) 2002-06-25 2002-06-25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9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633A (en)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원일테크 Fireplace having boiler with heat pipe device
KR101088143B1 (en) 2009-01-30 2011-12-02 김유철 Boiler using thermal transfer o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633A (en)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원일테크 Fireplace having boiler with heat pipe device
KR101088143B1 (en) 2009-01-30 2011-12-02 김유철 Boiler using thermal transfer o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6929B2 (en)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tankless hot water system
FI76205C (en) Systems comprising a heat accumulator and a heat exchanger
JP3750189B2 (en) Liquid heating device
KR200405016Y1 (en) A heating device of boiler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KR200290896Y1 (en) An electric heating type boiler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KR100779726B1 (en) Electric boiler using carbon fiber heater
KR20120001443A (en) Electronic boiler using microwave
KR101652268B1 (en) Direct heating type electric boiler
KR20020040230A (en) Heat exchanger for hot water equipment using night electric
KR200265356Y1 (en) An electrical boiler using oil to cycle meterial
JPH085146A (en) Electricity economizing type and instantly heating type electric hot water vessel
KR930006978Y1 (en) Electric boiler
KR100637255B1 (en) An electric boiler
KR100422411B1 (en) Hot-Water Heating Combination Midnight Electric Boiler Using Heating Oil and Fossil Energy
KR100362469B1 (en) device for producing thermal energy
KR102333319B1 (en) electric boiler using the principle of induction heating
KR200371896Y1 (en) Heat-pipe heat system with electric-power or alternative energy
KR200370866Y1 (en) An electric boiler
CN217441970U (en) Heat energy supply and phase change energy storage device
KR200195442Y1 (en) Device for producing thermal energy
JP2010038422A (en) Boiler
KR200174696Y1 (en) A electricity boiler for a cattle shed
CN106839430B (en) Microwave water heater
KR900006506Y1 (en) Steam boiler
CN2196109Y (en) Distilled wate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