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677Y1 -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677Y1
KR200290677Y1 KR2019980024357U KR19980024357U KR200290677Y1 KR 200290677 Y1 KR200290677 Y1 KR 200290677Y1 KR 2019980024357 U KR2019980024357 U KR 2019980024357U KR 19980024357 U KR19980024357 U KR 19980024357U KR 200290677 Y1 KR200290677 Y1 KR 20029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voltage
turned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08U (ko
Inventor
곽종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4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6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백라이트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여 시동성 개선용으로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백라이트부,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백라이트 출력 전압 유무를 검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전원 온시 백라이트 전압을 검출할 때 까지 상기 발광 소자를 온 시키고, 상기 백라이트가 점등이 되어 백라이트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발광 소자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 backright on/off}
본 고안은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라이트 유니트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여 시동성 개선용으로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는 캠코더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백라이트부는 점등을 위한 시동성 개선용으로 그 주변에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동성 개선용 발광 다이오드는 점등 시간을 약 5초 정도 고정되어 백라이트가 켜져 있는 데도 점등되어 있거나 백라이트 시동성이 좋지 않아 백라이트가 점등되지 않은 때도 꺼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는 전원 온(ON)시 백라이트가 점등되기 까지 발광 다이오드를 켜주고 백라이트가 점등이되면 발광 다이오드를 오프(OFF)시키는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동성 개선용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부;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백라이트 출력 전압 유무를 검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전원 온시 백라이트 전압을 검출할 때 까지 상기 발광 소자를 온 시키고, 상기 백라이트가 점등이 되어 백라이트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발광 소자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인버터트랜스 구동부(110), 인버터트랜스(120), 백라이트부(130),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3)로 이루어진 정류부(140), OP앰프(IC1)와 저항(R1,R2)로 이루어져 기준전압(Vcc)과 입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50), 상기 비교부(150)에서 발생되는 전압 상태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스위칭되는 스위칭부(160), 스위칭부(160)의 스위칭 전압에 의해 점멸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된다.
먼저, 인버터 트랜스(120)는 인버터트랜스구동부(110)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파에 의해 펄스성 교류 전압을 발생한다. 백라이트부(130)는 커패시터(C1)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인가 받아 백라이트를 구동하며, BL1으로 입력된 교류 전압은 전압 강하되어 BL2로 출력된다. 이때 백라이트부(130)는 저온이나 어두운곳에 오랜동안 방치될 경우 전원을 인가받더라도 점등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BL2지점에 전압이 출력되지 않을 때도 있다.
정류부(140)는 백라이트부(130)의 지점(BL2)으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3)를 통해 정류하여 직류로 형성한다.
비교기부(150)는 정류부(140)로부터 발생하는 직류 전압과 저항(R1,R2)으로 분배한 기준전압(Vcc)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 상태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초기에 백라이트가 점등이 않될시 백라이트부(130)의 BL2지점으로부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오피앰프(IC1)는 (-) 단자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Vcc)이 (+)단자 입력 전압보다 높게 되어 로우 전압 상태가 출력되며, 반대로 백라이가 점등시 백라이트부(130)의 BL2지점으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므로 오피앰프(IC1)는 정류에 의한 (+) 단자 입력 전압이 (-) 단자 입력 기준 전압(Vcc)보다 높게 되어 하이 전압 상태가 출력된다.
스위칭부(160)는 비교부(150)에서 출력되는 전압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TR1)를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LED)를 온/오프칭 시킨다. 예를 들면 비교부(150)에서 로우 상태의 전압이 베이스에 인가되면 턴온(Turn On)되어 컬렉터에 전류가 흘러 발광 다이오드를 온 시키며, 비교부(150)에서 하이 상태의 전압이 베이스에 인가되면 턴오프(Turn Off)되어 컬렉터에 전류가 차단되어 발광 다이오드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비교부(150)는 전원 온시 백라이트 전압을 검출할 때 까지 발광 다이오드(LED)를 온시키고, 백라이트가 점등이 되어 백라이트 전압이 검출되면 발광 다이오드(LED2)를 오프시킨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캠코더나 카메라등의 백라이트가 구비된 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백라이트가 온되면 바로 발광 다이오드(LED)가 오프되어 전류 소모를 줄 일수 있고, 시동성 문제로 백라이트가 늦게 온 될 때 발광 다이오드가 계속 온 상태로 있어 신속하게 백라이트를 구동 시킬 수있다.

Claims (1)

  1. 시동성 개선용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부;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백라이트 출력 전압 유무를 검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전원 온시 백라이트 전압을 검출할 때 까지 상기 발광 소자를 온 시키고, 상기 백라이트가 점등이 되어 백라이트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발광 소자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점등 감지용 절환 장치.
KR2019980024357U 1998-12-07 1998-12-07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KR20029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357U KR200290677Y1 (ko) 1998-12-07 1998-12-07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357U KR200290677Y1 (ko) 1998-12-07 1998-12-07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08U KR20000011708U (ko) 2000-07-05
KR200290677Y1 true KR200290677Y1 (ko) 2003-01-24

Family

ID=4939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357U KR200290677Y1 (ko) 1998-12-07 1998-12-07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6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08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474B1 (ko)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가 조절되는 led 장치
JP401316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334915A (en) Operating circuit arrangement for a discharge lamp
KR19990007136A (ko) 조명장치
US20030122506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KR200290677Y1 (ko) 백라이트점등감지용절환장치
US5841238A (en) Dimmer protection for compact fluorescent
JP2007059247A (ja) Led照明装置
JP2000306683A (ja) Led点灯回路
JP2020077596A (ja) 照明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KR910000831B1 (ko) 형광등 자동 조광장치
KR102068141B1 (ko) Led 센서등
JP3915156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0173744B1 (ko) 인버터 스탠드의 램프교환시기 판단방법
JPH11326043A (ja) 人工光検出装置
JP4635037B2 (ja) 電子式自動点滅器
KR950024619A (ko) 전자식 안정기의 램프상태 감지회로와 이를 이용한 안정기 제어장치 및 전자식 안정기
KR0180202B1 (ko) 인버터를 이용한 스탠드용 조명램프의 밝기 조절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20240178745A1 (en) Alternating current control system
KR101796919B1 (ko) 엘이디 조명 입력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 점등 시스템
KR200187562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스타터
JPH11307280A (ja) 非常用照明装置
KR0114674Y1 (ko) 110v/220v자동절환회로
KR200189910Y1 (ko) 램프의 자동 점등/소등회로
JPH076892A (ja) 調光用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