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67Y1 -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 Google Patents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67Y1
KR200290467Y1 KR2020020019897U KR20020019897U KR200290467Y1 KR 200290467 Y1 KR200290467 Y1 KR 200290467Y1 KR 2020020019897 U KR2020020019897 U KR 2020020019897U KR 20020019897 U KR20020019897 U KR 20020019897U KR 200290467 Y1 KR200290467 Y1 KR 200290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measuring spoon
spoon
powd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욱 filed Critical 전정욱
Priority to KR2020020019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6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와 같은 분말 형태를 담을 수 있는 분말통에 들어있는 계량스푼을 분말통의 계량대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서, 분말통을 개봉하여 사용시에 분말 및 계량스푼을 위생적으로 사용, 유지할 수 있도록 분말통에 계량스푼을 걸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Spoon hanging structure of powder container}
본 고안은 분유를 비롯한 분말을 담을 수 있는 분말통에 착탈식으로 사용 보관할 수 있는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량스푼을 위생적이고 실용적으로 사용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계량스푼 걸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유통 상부를 예를 들어 분해하여 본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말통(1)의 상부는 계량대(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탈리캡(8)이 형성되고, 최종 상부엔 뚜껑(9)으로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분유 스푼은 각 분유 사용법에 정해진 조유 농도를 맞추기 위하여 1스푼 기준으로 일정량의 분유가 계량되도록 적용하여 계량스푼을 분말통 내에 내용물인 분유와 함께 포함하여 판매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계량스푼은 유아에게 분유를 수유하고자 할 때 정확한 조유농도를 위하여 분유의 일정량을 스푼으로 계량하여 분말통 상부에 분말통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계량대에 접촉하여 분유의 양을 수평으로 떠서 정해진 횟수만큼 젖병에 담는데 이용된다.
이때 계량스푼은 분말통내에서 별도로 보관하는 곳이 없어서 분말통 내에서 분유와 함께 보관됨으로서 계량스푼이 분유에 파묻혀서 계량스푼을 사용시마다 분유속에 손을 넣어 계량스푼을 꺼내어 사용하므로서 개량스푼의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보관되는 분유를 위생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말통에 계량스푼 걸이 구조를 형성하여 스푼 손잡이에 홈이 형성된 계량스푼을 탈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게함으로서 위생적으로 분말통 내의 분유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분유통의 계량대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량스푼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분말통 2. 계량대
3. 계량스푼 4. 고정부
5. 스푼 손잡이 6. 홈
7. 분말 8. 탈리캡
9. 뚜껑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분유와 같이 분말(7) 형태를 계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계량대(2)와 계량스푼(3)을 탈부착식으로 이용가능하게 만든 분말통(1)의 계량스푼(3) 걸이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통(1)에 있어서, 본 고안의 분말통(1)은 스푼 손잡이(5)에 홈(6)을 가진 계량스푼(3)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고정부(4)를 상기 분말통 상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4에서와 같이 계량스푼(3)으로 분말(7)을 사용함에 따라 분말통(1) 내에서 계량스푼(3)의 손잡이가 분말(7)에 닿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이 점점 더 형성되며, 상기 분말통 상부의 고정부(4)에 계량스푼(3) 손잡이에 형성된 홈(6)이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분말통(1) 내에 깊숙히 손을 넣어 계량스푼(3)을 꺼내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없애며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계량스푼(3) 고정부(4)는 상기 분말통(1) 계량대(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분말통(1) 상부의 테두리에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4)는 분유통(1)의 상면 또는 계량대(2)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분유를 사용하면서 분유통(1) 내에 깊숙히 손을 넣는 불편을 없애주며 특히 스푼 손잡이(5)에 홈(6)을 형성하므로서 편안함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4)는 계량스푼(3)의 분말 계량에 불편함이없도록 계량대(2)의 가장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분말통의 상부에 위치한 계량대에 스푼 손잡이에 홈을 가진 스푼을 걸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면 분말통 내의 분유와 스푼 손잡이가 접촉하는 기회를 줄임으로서, 분말과 스푼의 손잡이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분말이 점점 감소할 때 분유통 내에 손을 깊숙히 넣어 계량스푼을 꺼내는 불편을 해소시키므로서 분말을 계량하는데 편안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계량스푼(3)과 계량대(2)를 구비한 분말통(1)의 계량스푼(3) 걸이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말통(1)에 계량스푼(3)이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통(1)의 계량스푼(3)의 걸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계량스푼(3)의 고정부(4)는 계량대(2)에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에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량스푼(3)의 손잡이 단부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통(1)의 계량스푼(3)의 걸이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계량스푼(3)의 고정부(4)는 분말통(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에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량스푼(3)의 손잡이 단부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통(1)의 계량스푼(3)의 걸이 구조
KR2020020019897U 2002-07-03 2002-07-03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KR200290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97U KR200290467Y1 (ko) 2002-07-03 2002-07-03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97U KR200290467Y1 (ko) 2002-07-03 2002-07-03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67Y1 true KR200290467Y1 (ko) 2002-09-28

Family

ID=7312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97U KR200290467Y1 (ko) 2002-07-03 2002-07-03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278B2 (en) 2006-10-27 2011-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278B2 (en) 2006-10-27 2011-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27156D1 (de) In der hand gehaltener behälter
KR20030069977A (ko) 합성 용기
KR200386849Y1 (ko) 계량 스푼 수납구를 갖는 용기 캡
KR20130005718A (ko) 분말 용기와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US8459490B1 (en) Easy grip mixing bowls
US5597190A (en) Can holder
US6383457B1 (en) Toilet plunger sanitizing and storage container system
KR20030072440A (ko)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KR200290467Y1 (ko)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 구조
US5683007A (en) Cup having angled handle
US5660292A (en) Cup having improved handle
WO1992020586A1 (en) Food, beverage and accessories plate
CA2625050A1 (en) Measuring bowl having handle
JP3129314U (ja) 食事用自助具セット
KR200311207Y1 (ko)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구조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0260333Y1 (ko) 햄버거용 포장 케이스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KR200343792Y1 (ko) 잔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갖는 티백구조
EP2815684B1 (en) Portable washing station
KR200285207Y1 (ko) 계량대 홀더를 가지는 분유용기
JP3017315U (ja) お 椀
KR100589330B1 (ko) 컵 홀더
JP3079014U (ja) 食器および食器とスプーンのセット
KR200356833Y1 (ko) 식품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