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29Y1 -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29Y1
KR200290429Y1 KR2020020018032U KR20020018032U KR200290429Y1 KR 200290429 Y1 KR200290429 Y1 KR 200290429Y1 KR 2020020018032 U KR2020020018032 U KR 2020020018032U KR 20020018032 U KR20020018032 U KR 20020018032U KR 200290429 Y1 KR200290429 Y1 KR 20029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oothpaste
pressing
brush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미
Original Assignee
손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미 filed Critical 손영미
Priority to KR2020020018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29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 손잡이에 치약튜브를 내장시키고, 이를 누름구를 통하여 짜면서 치약을 솔부분에 보내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외관적으로도 보기가 좋은 휴대용 칫솔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치아를 깨끗하게 하는 솔(1)이 부착된 솔몸체(2)의 내부에는 치약튜브가 짜여지는 경우에 치약이 솔(1)부분으로 보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약통로(3)가 형성되어 있고, 솔몸체(2)에는 고무링(6)을 끼운 상태에서 내부에 치약튜브(7)가 삽입되어 있는 손잡이(8)가 결합 연결되고, 이와 같은 손잡이(8)의 뒷부분에는 누름구(9)의 봉(10)이 통과할 수 있는 덮개(18)가 끼워지고, 누름구(9)의 봉(10) 앞부분에는 손잡이(8)에 내장되어 있는 치약뷰트(7)를 눌러서 짤 수 있도록 하는 누름롤(13)이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누름구(9)의 봉(10) 뒷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르도록 하는 누름몸체(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8)에는 고정핀(15)이 설치된 뒷커버(16)가 덮여지고, 솔몸체(2)와 손잡이(8)의 앞부분에는 앞커버(17)가 덮여져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칫솔{A POTABLE TOOTHBRUSH}
본 고안은 출장이나 여행시 간단하게 휴대하여 사용하도록 한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몸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분에 치약튜브를 내장시키고, 이와 같은 칫솔 손잡이 부분에는 치약튜브를 눌러서 짜줄수 있는누름구를 연결시키어 치약튜브가 내장되는 칫솔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면서 외관적으로도 보기가 좋은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칫솔과 치약이 분리되어 있어 여행이나 출장시 칫솔과 치약을 모두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출장이나 여행시 칫솔사용이 불편하였고, 이를간안하여 근래에는 치약튜브가 내장되는 칫솔에 대한 관심이 있어왔는데,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266603호에서는 치약튜브가 내장되는 휴대용 칫솔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공보에서 나타난 휴대용 칫솔의 경우에는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단순히 치약튜브를 칫솔부분과 연결되는 케이싱에 삽입시킨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치약튜브를 눌러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휴대용 칫솔에서 내장되는 치약튜브를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고 누름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치약튜브를 눌러 짜면서 사용하도록 하면 휴대용 칫솔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나타난 종래 휴대용 칫솔의 불편함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인데,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약튜브가 내장된 휴대용 칫솔을 사용할때, 치약튜브를 직접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짜지 않고 누름구를 눌러서 간편하게 치약을 치약부분에 보내도록 함으로서, 보다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 한편, 외관적으로도 보기가 좋은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에서 그 외관을 분해상태로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솔 2.... 솔몸체
3.... 치약통로 7.... 치약튜브
8.... 손잡이 9.... 누름구
10.... 봉 13.... 누름롤
14.... 누름몸체 16.... 뒷커버
17.... 앞커버 18.... 덮개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아를 깨끗하게 하는 솔이 부착된 솔몸체의 내부에는 치약튜브가 짜여지는 경우에 치약이 솔부분으로 보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약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솔몸체에는 고무링을 끼운 상태에서 내부에 치약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손잡이가 결합 연결되고, 이와 같은 손잡이의 뒷부분에는 누름구의 봉이 통과할 수 있는 덮개가 끼워지고, 누름구의 봉 앞부분에는 손잡이에 내장되어 있는 치약튜브를 눌러서 짤 수 있도록 하는 누름롤이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누름구의 봉 뒷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르도록 하는 누름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에는 고정핀이 설치된 뒷커버가 덮여지고, 솔몸체와 손잡이의 앞부분에는 앞커버가 덮여져 있는 휴대용 칫솔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런데,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에서 그 외관을 분해상태로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치아를 깨끗하게 하는 솔(1)이 부착된 솔몸체(2)내부에는 치약튜브(7)가 누름구(9)로서 짜여질때 솔(1)부분으로 치약을 보내기 위한 치약통로(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솔몸체(2)의 뒷부분에는 수나사(4)가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암나사(5)가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8)부분이 서로 돌려져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솔몸체(2)와 손잡이(8)사이에는 치약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링(6)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손잡이(8)는 내부가 비어있어 그 내부에 치약튜브(7)가 삽입 끼워지지고, 이와 같은 손잡이(8)는 치약튜브(7)의 길이에 맞추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8)의 맨 뒷부분에는 훅크(12)가 형성되어 이와 같은 훅크 (12)가 체결되는 홈(11)이 형성된 덮개(18)가 손잡이(8)의 뒷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덮개(18)에는 중앙부분에 홈(10')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누름구(9)의 봉(10)이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봉(10)의 앞부분에는 핀(13')등으로 누름롤(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봉(10)의 뒷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를수 있도록 한 누름몸체(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8)의 뒷부분에는 뒷커버(16)가 꽉끼워지는데, 이와 같은 뒷커버(16)에는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을 핀형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 즉, 양복 안주머니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15)이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설명한 솔몸체(2)와 손잡이(8)의 앞부분에는 앞커버(17)가 덮여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도 1 과 도 2에서 나타내고 있어 이를 토대로 본 고안인 휴대용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고무링(6)을 사이에 두고 솔(1)이 부착되어 있은 솔몸체(2)의 수나사(4)부분을 손잡이(8)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5)부분에 돌려서체결시킨다.
그 다음에는, 솔몸체(2)가 연결된 손잡이(8)의 내부 비어있는 공간에 치약튜브(7)를 삽입시키는데, 이러한 치약튜브(7)의 앞부분 구멍부분이 손잡이(8)의 앞부분으로 솔몸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치약통로(3)와 연결되도록 꽉끼워서 치약튜브(7)를 손잡이(8)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누름구(9)의 봉(10)을 손잡이(8)의 훅크(12)가 홈(11)이 끼워져 손잡이(8)의 뒷부분에 연결되는 덮개(18)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홈(10')에 통과시키고, 덮개(18)를 손잡이(8)에 연결시키기 전에, 이와 같은 봉(10)의 앞부분에 핀(13')으로 2개의 누름롤(13)을 조립하는데, 이러한 덮개(18)는 손잡이(8)에서 치약튜브(7)를 교환하는 경우에 손잡이(8)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훅크방식(11)(12)으로 손잡이(8)의 뒷부분에 연결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누름구(9)의 누름몸체 (14)를 누르면, 누름몸체(14)와 동시에 봉(10)이 덮개(18)를 통하여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봉(10)의 앞부분에 손잡이(8)의 내부에 위치되는 누름롤(13)도 동시에 전진하면서 손잡이(8)에 내장된 치약튜브(7)를 뒷부분에서 부터 사용자가 누르는 만큼 짜주게 되기 때문에, 치약튜브(7)에서 짜여지는 치약은 솔몸체(2)의 치약통로(3)를 통하여 솔(1)부분으로 보내지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누름구(9)의 누름몸체(14)를 누른후에는, 칫솔 사용시 누름구(9)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뒷커버(16)를 손잡이(8)에 끼워서 덮은 다음, 칫솔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치솔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솔몸체(2)와 손잡이(8)의 앞부분에 앞커버(17)를 덮은 다음, 손잡이(8)의 뒷부분에 덮여진 뒷커버(16)의 고정핀(15)을 원하는 위치 예를 들어, 출장중인 경우에는 양복 저고리의 안쪽에 간편하게 끼워서 보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손잡이(8)의 앞,뒷쪽에 뒷커버(16)와 앞커버 (17)가 덮여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칫솔의 외관이 보기가 좋고 사용도 편리한 것임을 알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휴대용 칫솔에 따르면, 칫솔 손잡이에 치약튜브를 내장시키고 이와 같은 치약튜브를 사용자의 손가락이 아니고 누름구를 눌러서 간편하게 짜면서 치약을 솔부분에 보내도록 함으로서,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의 사용을 보다 편라하게 하고, 손잡이와 그 앞,뒷부분에 커버들이 덮여지고 간편하게 만년필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주는 것이다.

Claims (1)

  1. 치아를 깨끗하게 하는 솔(1)이 부착된 솔몸체(2)의 내부에는 치약튜브가 짜여지는 경우에 치약이 솔(1)부분으로 보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약통로(3)가 형성되어 있고, 솔몸체(2)에는 고무링(6)을 끼운 상태에서 내부에 치약튜브(7)가 삽입되어 있는 손잡이(8)가 결합 연결되고, 이와 같은 손잡이(8)의 뒷부분에는 누름구(9)의 봉(10)이 통과할 수 있는 덮개(18)가 끼워지고, 누름구(9)의 봉(10) 앞부분에는 손잡이(8)에 내장되어 있는 치약튜브(7)를 눌러서 짤 수 있도록 하는 누름롤(13)이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누름구(9)의 봉(10) 뒷부분에는 사용자가 누르도록 하는 누름몸체(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8)에는 고정핀(15)이 설치된 뒷커버(16)가 덮여지고, 솔몸체(2)와 손잡이(8)의 앞부분에는 앞커버(17)가 덮여져 있는 휴대용 칫솔
KR2020020018032U 2002-06-14 2002-06-14 휴대용 칫솔 KR20029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32U KR200290429Y1 (ko) 2002-06-14 2002-06-14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32U KR200290429Y1 (ko) 2002-06-14 2002-06-14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29Y1 true KR200290429Y1 (ko) 2002-09-27

Family

ID=7308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32U KR200290429Y1 (ko) 2002-06-14 2002-06-14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62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62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KR102035299B1 (ko) 2018-02-12 2019-10-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68827A (en) Tooth cleaning and gum massaging device
US6227209B1 (en) Article for oral care
KR200290429Y1 (ko) 휴대용 칫솔
CA2470154A1 (en) Fabric lotion applicator
JP3754260B2 (ja) 化粧用ブラシ
CN106073142B (zh) 带牙膏的牙刷
KR20180002437U (ko)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USD522202S1 (en) Handheld grip for a cleaning tool
US20180078026A1 (en) Structure of toothbrush
JP3207780U (ja) 歯ブラシ構造
EP3718503A1 (en) Oral cleaner
KR200323829Y1 (ko) 치약을 일체화한 치솔
US20030194261A1 (en) Tooth paste dispensing toothbrush
KR200225530Y1 (ko) 칫솔장치
CN211431469U (zh) 一种牙膏牙刷一体化式牙刷
USD449448S1 (en) Combined refillable paste dispensing toothbrush and cap
KR20060032727A (ko)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KR200275434Y1 (ko) 치약이 딸린 치솔
US20220110440A1 (en) Toothbrush with toothpaste pellets
CN210353635U (zh) 一种自带刷头的化妆品容器
CN201011931Y (zh) 简易便携牙刷
KR200275432Y1 (ko) 치약이 딸린 치솔
KR20170097399A (ko)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CN2538198Y (zh) 一种自带牙膏的牙刷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