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173Y1 -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173Y1
KR200290173Y1 KR2019980008109U KR19980008109U KR200290173Y1 KR 200290173 Y1 KR200290173 Y1 KR 200290173Y1 KR 2019980008109 U KR2019980008109 U KR 2019980008109U KR 19980008109 U KR19980008109 U KR 19980008109U KR 200290173 Y1 KR200290173 Y1 KR 200290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an
cold air
cover
refrigera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304U (ko
Inventor
김동석
이송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8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1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173Y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로 뿜어내기 위한 송풍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송풍팬 커버는, 냉동실의 후면에 설치되는 증발기 커버의 송풍팬 전방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본체에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냉동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토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냉기 유도 부재를 더 가지며, 다수의 통풍공도 냉기 유조도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가 송풍팬 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냉기 유도 부재를 따라 송풍팬의 회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기 때문에 통풍공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력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로 뿜어내기 위한 송풍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히트 펌프의 열 교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수납된 식품류 등의 수납물을 보다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통상 그의 내부 공간이 냉동실과 냉장실의 두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냉동실은 식품을 냉동 상태로 장기 보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 온도가 대략 대략 영하 20℃ 정도로 유지된다. 반면, 냉장실은 식품을 냉동시키지는 않은 채 그 신선도를 상당 기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 온도가 대략 3 내지 6℃로 유지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구조를 가지는 본체는 그 내부가 냉동실(10a) 및 냉장실910b)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전면에는 냉동실(10a)과 냉장실(10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 1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10b)의 내부에는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16)들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압축기(18)와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냉동실의 후측에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20)의 상측에는 냉기를 냉동실(10a)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22)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20)의 전방에는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증발기 커버(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팬(22)의 전방에는 특별히 송풍팬(22)의 수리가 가능하도록 송풍팬 커버(26)가 증발기 커버(24)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 커버(26)는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가 냉동실(10a)로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공(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장고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응축기(미도시)와 캐필러리 튜브(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되어 증발기(20)로 보내지고, 증발기(20)에서는 증발 잠열을 빼앗아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된 공기, 즉 냉기는 송풍팬(22)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 커버(26)의 통풍공(26a)을 통해 냉동실(10a)로 토출되고, 다시 냉기 유로(10c)를 통해 냉장실(10b)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풍팬 커버는 평판 상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단순한 구조로서, 통풍공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력이 약하고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송풍팬에 의해 냉동실로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냉장고의 냉각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 본체 32a ; 통풍공
34 ; 냉기 유도 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는, 냉동실의 후면에 설치되는 증발기 커버의 송풍팬 전방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본체에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냉동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토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냉기 유도 부재를 더 가지며, 다수의 통풍공도 냉기 유조도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냉기 유도 부재는 송풍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의 부재일 수도 있고, 또는 송풍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되고 본체 후면의 송풍팬의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호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는 본체(32)와 냉기 유도 부재(34)를 가진다.
본체(32)는 대략 정방형의 평판으로, 증발기 커버의 송풍팬 전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냉기 유도 부재(34)는 본체(32)의 후면에 부착되는 나선형의 부재로서, 그 회전 방향은 송풍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체(32)에는 냉기 유도 부재(34)를 따라 다수의 통풍공(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착되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본체(32)의 통풍공(32a)을 통해 냉동실로 토출된다.
이때 냉기는 나선형의 유도 부재(34)를 따라 유도된다. 이는 곧 송풍팬의 회전 방향과도 일치되므로 냉기의 토출력은 보다 증대되고, 와류의 발생 또한 저감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커버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32')와 냉기 유도 부재(34')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 2 실시예에서는 냉기 유도 부재(34')가 본체(32')의 송풍팬의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호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른 점이다. 여기서, 호형 부재의 만곡 방향 역시, 송풍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본체(32')의 통풍공(32a')은 호형 부재 사이에 역시 호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역시,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호형 부재를 따라 유도되면서, 통풍공(32a)을 통해 냉동실로 토출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가 송풍팬 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냉기 유도 부재를 따라 송풍팬의 회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기 때문에 통풍공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력이 증대되며, 또한, 와류의 발생이 줄어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냉동실의 후면에 설치되는 증발기 커버의 송풍팬 전방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본체에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냉동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토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냉기 유도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다수의 통풍공도 상기 냉기 유도 부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도 부재는 송풍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유도 부재는 송풍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되고 본체 후면의 송풍팬의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호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KR2019980008109U 1998-05-16 1998-05-16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KR200290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109U KR200290173Y1 (ko) 1998-05-16 1998-05-16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109U KR200290173Y1 (ko) 1998-05-16 1998-05-16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04U KR19990041304U (ko) 1999-12-15
KR200290173Y1 true KR200290173Y1 (ko) 2002-11-18

Family

ID=6951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109U KR200290173Y1 (ko) 1998-05-16 1998-05-16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1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46B1 (ko) * 2006-07-03 2007-09-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팬 커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04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4899A (ko) 백커버 겸용 응축기가 구비된 냉장고
KR200290173Y1 (ko) 냉장고의 송풍팬 커버
KR100451710B1 (ko) 축냉실을갖는냉장고
KR0141798B1 (ko) 중앙에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
KR20000004490A (ko) 냉장고의 야채보관실 냉각장치
KR100386505B1 (ko) 김채 전용 냉장고
JP3427062B2 (ja) 冷蔵庫
CN217785564U (zh) 一种冰箱
JP3389565B2 (ja) 冷蔵庫
KR100549076B1 (ko) 냉장고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KR0117030Y1 (ko) 분리형 냉장고
JP3392715B2 (ja) 冷蔵庫
KR200332580Y1 (ko) 2중구조 증발관
KR200350968Y1 (ko) 냉장고의 응축기
KR200345577Y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200290167Y1 (ko) 냉장고의 냉기 분산장치
KR200333204Y1 (ko) 냉장고 방열용 에어덕트시스템
KR200184117Y1 (ko) 냉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KR19990041003U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KR19990012948U (ko) 냉장고의 콘덴서 진동 방지구조
KR20000014017U (ko)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KR19980073158A (ko) 냉장고의 급속냉각보관장치
JP2017138050A (ja) 冷蔵庫
KR980009098U (ko) 제상수를 이용한 압축기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