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95Y1 - 치과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과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95Y1
KR200289195Y1 KR2020020017876U KR20020017876U KR200289195Y1 KR 200289195 Y1 KR200289195 Y1 KR 200289195Y1 KR 2020020017876 U KR2020020017876 U KR 2020020017876U KR 20020017876 U KR20020017876 U KR 20020017876U KR 200289195 Y1 KR200289195 Y1 KR 200289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pper member
intaglio
handle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 베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리콤 filed Critical (주) 베리콤
Priority to KR2020020017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95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상위부재, 하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하위부재, 상기 상위부재와 하위부재의 전단부(치열의 앞부분에 대응)로부터 각각 연장되어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두 손잡이부와 힌지 구조로서 상호 연결되어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어서, 구강내로 착용시 개글 반응을 야기시키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부의 힌지 구조에 절취부위가 들어있어서 있어서, 상위부재 또는 하위부재(손잡이부를 포함)를 연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의 사용시에도 구강내 점막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치과용 트레이 {Dental Tray}
본 발명은 치과용 트레이(dental tray)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음각부를 각각 포함하는 상위부재와 하위부재의 앞부분(전단부)을 상호 연결하여 착용시 개글(구역질) 반응을 억제하고, 손잡이부와 연장부 사이의 힌지 구조에 절취부위가 포함되어있어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상위부재와 하위부재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의 식생활은 서구화되어가고 있고 각종 기호식품의 발달로 인해, 충치의 발생, 치아의 황변 현상들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유아기의 치아 건강은 추후 성인이 되었을 때의 치아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여성의 치아 건강은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치아 건강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치과병원나 보건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개인용 치과 트레이(dental tray)이다.
치과 등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치과 트레이는 치아의 형상(양각)에 대응하는 형상(음각)이 각인되어있는 도구로서, 음각부에 불소나 미백 조성물 등의 약제를 담고 치아에 착용하여, 충치 예방, 치아 미백 등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트레이의 상용화된 대표적인 예로는 도 1의 것을 들 수 있다. 종래의 트레이(100)는, 상악(upper jaw)의 치열(dentition)이 배치되는 상위부재(110), 하악(lower jaw)의 치열이 배치되는 하위부재(120), 이들 부재(110, 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0) 및 이들 부재(110, 120)로부터 연장되어있는 손잡이부(140, 142)로 구성되어있다. 상위부재(110)와 하위부재(120)는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있고, 치열(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게 되는 음각부(150, 152)에 불소나 미백 조성물 등의 약제가 담겨지게 된다. 음각부(150, 152)에 불소나 미백 조성물을 담은 상태에서, 각각의 음각부(150, 152)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접고 각각의 손잡이(140, 142)를 함께 한 손으로 잡으면, 연결부(130)가 휘면서 입안으로 삽입하기 용이한 구조로 변형된다. 이러한 상태의 트레이(100)를 입에 삽입하고 상악 및 하악상의 치아를 맞물면, 각각의 치열이 상위부재(110)의 음각부(150)와 하위부재(120)의 음각부(152)에 삽입됨으로써, 불소나 미백 조성물 등의 약제가 치아에 고르게 도포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트레이(100)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착용후의 개글(구역질) 반응을 들 수 있다. 이는, 착용을 위해 휘어진 연결부(130)가 구강 안쪽으로 깊숙이 삽입되면서 착용 시 개글 반응을 야기시키기 때문이다. 또다른 문제점은, 필요에 따라 한쪽 부재만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부위(예를 들어, 연결부)에 분리 잔재가 남아 구강을 자극 내지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치과용 트레이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착용 후에 개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구조의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상위부재와 하위부재의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후 착용된 상태에서 구강의 점막을 자극 내지 손상시키지 않는 구조의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트레이(100)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트레이(200)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a의 트레이(200)의 측면 투시도이고;
도 4는 트레이(200)로부터 분리된 상위부재(21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트레이(2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트레이
110, 210: 상위부재
120, 220: 하위부재
130, 230: 연결부
140, 142, 240, 242: 손잡이부
150, 152, 250, 252: 음각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과용 트레이는,
상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상위부재;
하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하위부재;
상기 상위부재와 하위부재의 전단부(치열의 앞부분에 대응)로부터 각각 연장되어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두 손잡이부와 힌지 구조로서 상호 연결되어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는, 각각의 음각부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위부재와 하위부재를 접고, 손잡이부를 눌러 구강내로 삽입 후 상악과 하악의 치아를 맞물면, 상위부재와 하위부재 이외에는 구강내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개글 반응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의 힌지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곳에 절취부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상위부재 또는 하위부재(손잡이부를 포함)를 연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 부위가 구강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착용 후에 구강의 점막을 자극 내지 손상시키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에 단면상으로 삼각형의 요철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있고, 상기 연결부에 단면상으로 사각형의 요철이 아래쪽을 향하도록형성되어있다. 상기 각각의 요철은 트레이를 접었을 때 안쪽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므로, 손잡이부의 요철은 트레이 자체를 쥐기 쉽게 만들고, 연결부의 요철은 트레이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음각부가 치열과 밀착되기 용이하게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는 일체의 형태로서 손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의 구강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는 발포 폴리올레핀 소재로 되어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구강내 치열과의 밀착율이 높다. 발포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며, 발포 비율은 5 내지 20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배 정도이다. 발포 비율이 너무 낮으면 재질이 경직하게 되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구강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너무 높으면 일정한 형태 유지가 어려워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트레이의 얇은 곳(힌지는 제외함)의 두께는 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이며, 두께가 너무 얇으면 형태 유지성이 낮아져서 불소 등의 약제를 담기가 어렵고, 너무 두터우면 형태 변화가 어려워 구강내 투입이 어렵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내용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200)는, 상악의 치열(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되어있는 음각부(250)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부재(210), 상위부재(210)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있는 손잡이부(240), 상위부재(210)와 대칭 구조로 되어있고 상응하는 음각부(252)와 손잡이부(242)를 포함하는 하위부재(220), 상위부재(210)의 손잡이부(240)와 하위부재(220)의 손잡이부(242)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230)로 구성되어있다.
상위부재(210)의 전단부는 치열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단부쪽을 의미한다. 상위부재(210)의 음각부(250)와 하위부재(220)의 음각부(252)는 반드시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해당 치열에 대응하는 구조로 각인된 형태로 되어있을 수 있다.
각 손잡이부(240, 242)에는 단면상으로 삼각형인 요철(260)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있어서, 접어서 손으로 쥐어 구강내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되어있다. 트레이(200)의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있는 도 3을 참조하면, 요철(260)의 형상을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데, 요철(260)의 상단면(261)은 라운딩 되어있고, 양 측면(262)은 약 45도 정도 기울어져 있어서 오목한 형상을 가진 요철(260)의 안쪽을 손으로 잡기가 편리하다.
연결부(230)에도 역시 요철(270)이 형성되어있는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단면상으로 양 측면(272)이 약 45도로 테이퍼(기울어짐) 되어있는 사각형의 요철(270)이다. 이러한 구조의 잇점은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40, 242)와 연결부(230) 사이의 힌지 구조(232)는 그것의 일부가 절취(234)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상위부재(210)의 형상이 도 4에 도시되어있다. 분리된 상위부재(210) 또는 하위부재(220)는 그에 따른 개별적 용도에 사용될 수 있으며, 분리부위가 손잡이부(240)에 위치하므로 구강내에 착용된 상태에서 구강의 점막을 자극 내지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하면에는 상위부재(210)와 하위부재(220)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표시(280)가 되어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200)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있다. 우선, 상위부재(210)의 음각부(250)와 하위부재(220)의 음각부(252)에 각각 불소나 미백 조성물(300) 등을 채운 상태에서, 음각부(250, 252)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트레이(200)를 접고 양 손잡이부(240, 242)를 손으로 쥐면, 구강내로 삽입하기 쉬운 구조로 변형된다. 이때, 연결부(230)의 요철(270)은 양 손잡이부(240, 242)의 요철(260, 280)과 서로 맞물리면서, 전체적으로 트레이(100)는 "ㄷ"자형의 접힌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악 치아(400)와 하악 치아(402)를 맞물면, 치아(400, 402)의 외면을 따라 약제 조성물(300)이 도포되게 된다. 손잡이부(240, 242)의 요철(260, 280)과 연결부(230)의 요철(270)이 서로 맞닫아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부(240, 242)와 연결부(230) 사이의 힌지(232)가 역으로 접히면서, 상위부재(210)와 하위부재(220)에 복원력(반발력)을 제공하여, 트레이(100)가 치아(400, 402)에 더욱 밀착되게 한다.
이상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치과용 트레이는 ,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된 상태의 사용시에도 구강내 점막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Claims (4)

  1. 상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상위부재;
    하악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이 각인된 음각부를 가진 하위부재;
    상기 상위부재와 하위부재의 전단부(치열의 앞부분에 대응)로부터 각각 연장되어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두 손잡이부와 힌지 구조로서 상호 연결되어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힌지 구조는 적어도 한 곳에 절취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위부재 또는 하위부재(손잡이부를 포함)를 연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단면상으로 삼각형의 요철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있고, 상기 연결부에는 단면상으로 사각형의 요철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발포 비율은 5 내지 20 배인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트레이.
KR2020020017876U 2002-06-12 2002-06-12 치과용 트레이 KR200289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76U KR200289195Y1 (ko) 2002-06-12 2002-06-12 치과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76U KR200289195Y1 (ko) 2002-06-12 2002-06-12 치과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95Y1 true KR200289195Y1 (ko) 2002-09-13

Family

ID=7312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76U KR200289195Y1 (ko) 2002-06-12 2002-06-12 치과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1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6069A (en) Double tray dental apparatus
US10201399B2 (en) Mouth guard
KR101176227B1 (ko) 얇은 가요성 장벽층 및 내골격 치료 또는 접착 조성물을포함하는 구강 치료 장치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6634884B2 (en) Fluid absorbing bite block
KR20100053620A (ko) 향상된 해부학적 특징을 갖는 비-맞춤식 치과 치료 트레이 및 마우스 가드
US20070087310A1 (en) Dental matrices and clamps therefor
CA1147178A (en) Tooth-pick having one folded end and associated pocket container box
USD943831S1 (en) Combined dental floss and brush device
US4483676A (en) Interproximal dental instrument
KR200289195Y1 (ko) 치과용 트레이
USD301072S (en) Combined dental flosser and toothpick
USD434564S (en) Anterior lingual toothbrush
USD359122S (en) Dental sculpting tool
US3834025A (en) Tool for taking impressions of toothless jaws
USD374288S (en) Set of synthetic posterior masticatory denture teeth
KR100597336B1 (ko) 치과 인상용 트레이
USD417311S (en) Dental floss dispenser
JP3718447B2 (ja) 口腔用清掃具
KR200254084Y1 (ko) 치과용 전악 교합인상 채득기
KR200378557Y1 (ko) 아동용 치아 트레이
USD299056S (en) Dental diagnostic tool for fractured teeth
JPH04372Y2 (ko)
KR200348359Y1 (ko) 장애인용 칫솔
BR202018007718Y1 (pt) Instrumento matrizador de restauração odontológ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