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126Y1 -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126Y1
KR200289126Y1 KR2020020016164U KR20020016164U KR200289126Y1 KR 200289126 Y1 KR200289126 Y1 KR 200289126Y1 KR 2020020016164 U KR2020020016164 U KR 2020020016164U KR 20020016164 U KR20020016164 U KR 20020016164U KR 200289126 Y1 KR200289126 Y1 KR 200289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neck
bent
teeth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운
Original Assignee
김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운 filed Critical 김대운
Priority to KR2020020016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126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 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1)의 목부(3)와 손잡이 칫솔대(5)를 별개체로 구성하고 칫솔목부(3)에 복수의 제지홈(4a)(4b)(4c)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회동판(4)을 일체로 형성하여 칫솔 대(5)의 선단부(5a)의 설치홈(5b)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유착하며 손잡이 대(5)의 중공부(5c)에는 상기 회동판(4)을 제지하는 스톱퍼(6)를 노브(6n)로 조작할 수 있게 스프링(6s)과 플럭(6p)으로 설치하여 칫솔목부(3)를 좌우 직각으로 절곡가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칫솔에 의하여 구강의 치아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칫솔질하여 보다 청결하게 이를 닦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TOOTHBRUSH WITH A BENDABLE NECK}
본 고안은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가변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식사 전, 또는 후에 이를 닦는다. 치과 전문기관이 장려하고있는 칫솔질 방법에 대하여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칫솔이 이의 표면 또는 내면에 직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윗니(UT)는 아래쪽으로, 아랫니(DT)는 위쪽으로 닦는 것을 권유하고 있다.
치열은 직렬이 아닌 반원호상의 곡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이러한 치열에 대하여 칫솔이 양호하게 치아의 내면에 접촉되게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대부분 칫솔의 형태나 칫솔 목부의 형태에 관하여 여러가지로 제안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의 기본 형태는 칫솔과 손잡이 대가 직선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인체의 팔과 손목의 레버동작에 따른 칫솔의 상하동작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서 별로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위 직선형의 칫솔을 사용하여 이를 상하로 닦으려면, 팔(a)의 동작은 거의없이 칫솔을 잡은 손목(h)을 수평상태로 하여 제자리에서 손목만을 좌우로 스핀동작을 하여서 칫솔이 구강내에서 국부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이때 오른손잡이의 경우, 구강의 왼쪽 치아에 대하여는 부자연스럽지만 반복된 연습에 의해서 상하의 칫솔질의 동작의 불편함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강의 오른쪽에 대해서는 칫솔을 잡은 손목과 칫솔이 같은 방향으로 겹치기 때문에 손목이 심하게 꺾어야 하고 이 상태에서는 손목의 스핀동작이 어려워서 칫솔을 치아에 대고 상하로 칫솔질하기 매우 어려우며, 더욱이 치아의 내면에 대해서는 더욱 힘이 들어 대부분 대각선 방향으로 칫솔질하거나, 아니면 편하게 수평의 좌우로 칫솔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치간과 칫솔의 비 접촉으로 인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제거가 어렵고치아에 프로그가 진행되어 결국 충치의 원인으로 되어 치아의 건강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인체의 팔과 손목의 동작이 용이한 조건에서 상하로 칫솔질할 수 있는 칫솔목보다 손잡이 대에서 좌우 직각으로 가변되는 인체 공학적 칫솔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목부가 칫솔대의 좌우로 어느쪽으로 절곡되어도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구적 수단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인체의 팔과 손목의 동작이 용이한 조건에서 칫솔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인체공학적 칫솔을 개발하였다.
즉 칫솔질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몸의 어깨에 연결된 팔(a)은 어깨부분과, 팔굽과, 손(h)목에서 관절운동이 가능하다. 구강의 치열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칫솔을 상하로 움직이려면 손목을 수직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손목만을 스핀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보다 물리적으로 동작이 용이하고 편하다. 이는 손목과 팔목의 관절운동이 합성되기 때문에 힘이 덜들고 손목의 스핀운동이 없기 때문에 손목이 편하고 상하 운동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따라서 칫솔을 잡은 손목이 상하로 운동하여 치아를 상하로 닦으려면 필연적으로 이러한 인체공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때 칫솔의 손잡이 대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것이 수평상태에서 스핀 운동하는 것보다 매우 편하기 때문에 손잡이대에 대하여 칫솔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에 치아를 상하로 닦기 가장 적합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 칫솔목부를 손잡이 대에서 좌우 직각으로 절곡 가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즉, 칫솔의 목부와 손잡이 대를 별개체로 구성되어 있고 칫솔의 목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가변 및 고정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제지홈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회동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판은 상기 칫솔 대의 선단 유착부에 형성된 설치홈에 좌우로 회동하여 직각으로 절곡가능하게 유착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대의 내부에는 상기 회동판을 고정시키는 스톱퍼가 노브에 의해서 조작가능하게 스프링과 플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 대의 유착부에서 칫솔은 좌우 직각으로 절곡시킨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칫솔을 사용하는 중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칫솔의 목부가 흔들리거나 변각되는 되는 일이 없이 칫솔의 절곡상태를 견고하고 안전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칫솔의 손잡이대를 잡고 칫솔의 상하 동작이 용이하므로 치과전문기관에서 권장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이를 닦을 수 있다.
또한 치아에 대하여 상하로 닦는 동작이 용이하고 치간에 칫솔이 용이하게 접촉되므로 보다 청결하게 닦을 수 있어 치아의 건강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2는 동 측단면도
도3은 치과전문기관이 장려하는 칫솔질 방향의 모식도
도4는 직선형 칫솔대의 칫솔질의 동작 설명도
도5는 본 고안의 절곡칫솔의 칫솔질의 동작 설명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칫솔 2 : 두부 3 : 목부
4 : 회동판 4a,4b,4c : 제지홈 4p : 지지축
5 : 손잡이 대 5a : 유착부 5b : 설치홈,
5h : 축공 5c : 중공실 6 : 스톱퍼
6n : 노브 6s : 스프링 6d : 플럭
본 고안은 도 1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2a)가 식모된 칫솔두부(2)와 목부(3)와 손잡이 대(5)로 구성된 칫솔(1)에 있어서, 칫솔의 목부(3)와 손잡이 대(5)를 별개체로 구성하고 목부(3)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제지홈(4a)(4b)(4c)이 직각 중심방향으로 둘레에 형성된 회동판(4)을 일체로 형성한다. 손잡이 대(5)의 선단 유착부(5a)의 둘레에 180도 범위의 좌우로 회동판(4)의 설치홈(5b)을 형성하여 설치홈(5b)에 상기 회동판(4)을 삽입하여 회동판(4)의 축공(4h)과 칫솔 대(5)의 선단 유착부(5a)의 축공(5h)에 지지축(4p)을 관통하여서 칫솔(1)의 목부(3)가 좌우 직각으로 가변할 수 있게 유착한다. 칫솔의 손잡이 대(5)의 내부 중공실(5c)에는 노브(6n)가 형성된 스톱퍼(6)를 스프링(6s)과 플럭(6p)으로 내장하여 플럭(6p)의 나사부(6d)가 중공실(5c)의 하단 나사부(5d)에 나삽 결합하고 노브(6n)는 칫솔대(5)에 형성된 안내홈(5e) 외부로 돌출되어 노브에 의하여 스톱퍼를 조작할 수 있게 하며 스톱퍼(6)의 상단부(6t)는 회동판(4)의 제지홈(4b)에 결합되어 칫솔 목부(3)를 직선이나 좌우 직각으로 절곡 가변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칫솔(1)의 목부(3)와 손잡이 대(5)가 직선적인 봉상(棒狀)을 이루고 있을 대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6)의 상단부(6t)가 회동판(4)의 하부측 제지홈(4b)에 결합되어 칫솔(1)은 좌우 어느쪽으로도 절곡되지 않는다. 또한 그대로 직선형으로 하여 이를 닦을 수도 있다.
또한 칫솔을 절곡하여 이를 닦고자 할 경우에는 도1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먼저 노브(6n)를 아래로 조작하여 스톱퍼(6)가 회동판(4)의 제지홈(4b)에서 스톱퍼(6)의 상단부(6t)가 빠져나와 해정되게 한다음 칫솔(1)의 목부(3)를 좌우 임의 방향의 직각으로 절곡시킨다. 목부(3)가 좌측으로 절곡한 경우에는 회동판(4)의 제지홈(4a)에 스톱퍼(6)의 상단부(6t)가 스프링(6s)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되고칫솔(1)의 목부(3)를 우측으로 절곡한 경우에는 회동판(4)의 제지홈(4c)에 스톱퍼(6)의 상단부(6t)가 결합되어 절곡상태로 고정된다. 스프링(6s)은 항상 스톱퍼(6)에 대하여 탄발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노브(6n)을 당겼다 놓기만 하면 스톱퍼(6)는 복귀되어 회동판(4)의 제지홈(4a)(4b)(4c)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칫솔이 절곡된 손잡이 대(5)를 세워서 잡고 직각으로 절곡된 칫솔(3)이 치아에 접촉되게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하여 청결하게 이를 닦는다. 이를 닦을 때 절곡유지된 칫솔(1)은 벌어지거나 유동이 없으므로 직각절곡형 칫솔로 이를 닦는 것과 같다
사용 후에는 칫솔을 절곡된 상태로 둘 수도 있고 다시 절곡동작의 반대 순서로 칫솔 목부를 손잡이 대와 직선으로 뻗게하여 둘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 및 설명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설계변경하거나 부품을 가감하는 변형도 특허청구의 범위에 저촉되는 것임을 부언하다.
본 고안은 칫솔을 손잡이 대에 대하여 좌우 직각으로 절곡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손잡이 대를 세워서 잡아도 칫솔은 수평방향을 유지하기 때문에 칫솔 대를 잡은 손을 상하로 동작하여 칫솔로 하여금 구강의 치아에 대하여 상하로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인체 공학상 손과 팔을 상하로 움직이므로 칫솔질이 매우 편하다.
또한 노브의 조작에 의한 회동판의 해정으로 칫솔목부를 좌우 직각의 절곡이 가능하므로 구강의 좌우 양측 어금니를 간편하게 닦을 수 있고 치아의 내측면을 닦을 경우에도 그에 적합하게 칫솔을 임의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또한 칫솔질할 때 손잡이가 구강에 대한 장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칫솔의 포장시에는 칫솔과 손잡이 대를 직선형으로 하여 작은 부피로 수납하여 종래의 칫솔처럼 포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칫솔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편한 동작으로 이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어 치아를 건강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칫솔(1)의 목부(3)에 형성된 회동판(4)을 칫솔대(5)의 유착부(5a)에 좌우 180도 범위로 형성된 설치홈(5b)에 손잡이 대(5)의 축공(5h)과 회동판(4)의 축공(4h)에 지지축(4p)을 끼워 칫솔 목이 좌우로 절곡가능하게 유착하고 상기 회동판(4)의 제지홈(4a)(4b)(4c)에 결합하여 제지시키는 스톱퍼(6)를 손잡이 대(5)의 중공부(5c)에 스프링(6s)으로 탄동되게 플럭(6p)고정설치하여 손잡이 대(5)의 안내홈(5e)으로 돌출된 스톱퍼(6)의 노브(6n)로 회동판(4)을 해정시키어 칫솔목부를 좌우 직각으로 절곡가변 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목이 좌우 직각으로 가변되는 칫솔.
KR2020020016164U 2002-05-27 2002-05-27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KR200289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64U KR200289126Y1 (ko) 2002-05-27 2002-05-27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64U KR200289126Y1 (ko) 2002-05-27 2002-05-27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368A Division KR20030092174A (ko) 2002-05-27 2002-05-27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126Y1 true KR200289126Y1 (ko) 2002-09-13

Family

ID=7312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64U KR200289126Y1 (ko) 2002-05-27 2002-05-27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TWI388311B (zh) 具有可調質心的口腔保健用具
US6334232B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US20060168744A1 (en) Electric toothbrush for implementing the bass brushing technique
US20070283519A1 (en) Toothbrush with rotating head
JP2000507464A (ja) バス刷掃法を実行するための曲げ可能なヘッドを備えた歯ブラシ
US20020073496A1 (en) Toothbrush with bristle pick
US20090113650A1 (en) Toothbrush
JP2004514524A (ja) 長手方向の剛毛補強措置を施された歯ブラシ
KR200289126Y1 (ko)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CN2607847Y (zh) 牙刷
JP2628132B2 (ja) 口腔清掃用具
KR20030092174A (ko) 칫솔목이 직각으로 절곡 가변되는 칫솔
JP4681727B2 (ja) 歯間ブラシ
KR200433060Y1 (ko) 45도 각도 회전 치솔
KR200345613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간칫솔
KR101008695B1 (ko) 치간칫솔
KR200194839Y1 (ko) 칫솔
KR101215921B1 (ko) 쌍둥이 칫솔
KR200205473Y1 (ko) 치간솔이 부착된 치솔
KR200348352Y1 (ko) 수동식 회전칫솔
JP2011078556A (ja) 歯ブラシ
KR20010011588A (ko) 치간칫솔
KR20220072165A (ko) 기능성 칫솔
RU2013978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