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998Y1 -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 Google Patents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998Y1
KR200288998Y1 KR2020020015507U KR20020015507U KR200288998Y1 KR 200288998 Y1 KR200288998 Y1 KR 200288998Y1 KR 2020020015507 U KR2020020015507 U KR 2020020015507U KR 20020015507 U KR20020015507 U KR 20020015507U KR 200288998 Y1 KR200288998 Y1 KR 200288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fire
main body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만
Original Assignee
윤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만 filed Critical 윤용만
Priority to KR2020020015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998Y1/ko

Link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전에 사용되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전에 사용되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발신기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연결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접속커넥터를 마련하여 발신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연결케이블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도록 한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는, 화재발생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화재사실을 외부로 알림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발신스위치와, 발신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신기 확인램프와, 전화 또는 인터폰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연결잭와, 발신스위치, 발신기 확인램프 및 전화연결잭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연결케이블과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마련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정면에 결합되어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와;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소화전의 경보장치에 설치되는 발신기의 회로기판에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배선과 발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fire service for transmitter of alarm device}
본 고안은 소화전에 사용되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전에 사용되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발신기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연결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접속커넥터를 마련하여 발신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연결케이블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도록 한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경보장치는 소화전과 일체로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수동으로 작동되고, 작동됨과 동시에 경종에서 경보음이 발생되어 주위에 화재 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방재센터로 신호를 보내 외부에 화재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모든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화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소방용 경보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소방용 경보장치(2)는 발신기(22), 경종(24), 항시표시등(26), 소화전 기동램프(28) 등으로 이루어지고, 발신기(22)에는 발신스위치(36), 발신기 확인램프(38) 및 전화연결잭(37)이 일체로 형성되어 경보장치의(2)의 일부에 각기 설치되며, 방재센터와 연결되어 건물로 들오는 외부배선(3)에 발신기(22), 경종(24), 항시표시등(26), 소화전 기동램프(28) 등이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 것이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발신기(22)는, 화재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회로기판(33)이 형성된 본체(30)와, 본체(30)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회로기판(미도시)을 보호하는 보호캡(50)과, 본체(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30)는, 경보장치(2)의 전면패널(20)에 설치되도록 다수의 나사홀(32)이 형성된 베이스(30a)와, 베이스(30a)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배선(4)이 인입되는 인입홀(31)과, 인입홀(31)을 통하여 인입된 내부배선(4)을 회로기판(33)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크류 단자(35)가 구비된 접속단자(34)와, 사용자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스위치(36)와, 발신스위치(36)의 위치를 나타내는 발신기 확인램프(38)와, 화재발생시 방재센터와 전화 또는 인터폰으로 통화하기 위한 전화연결잭(37)이 마련된다.
그리고, 커버(40)는, 본체(3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4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전화연결잭(37)을 개폐하는 덮개(42)와, 평상시에는 발신스위치(36)를 보호하고,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파손또는 이탈되어 사용자가 발신스위치(36)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투명재질의 보호판(43)이 마련된다.
이러한, 발신기(2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30)의 베이스(30a)에 형성된 나사홀(32)에 나사와 같은 결합체를 이용하여 경보장치(2)의 전면패널(20)에 고정시키고, 경보장치(2)로 인입된 내부배선(4)을 베이스(30a)에 형성된 인입홀(31)을 통하여 인출시킨 후, 배선 단부의 피복을 벗기고, 이를 접속단자(34)의 각 스크류 단자(35)에 연결하여 발신기(22)의 회로기판(33)과 내부배선(4)을 연결한다.
이후, 배선의 연결을 완료한 후에 본체(30)의 전면 및 배면에 커버(40) 및 보호캡(50)을 결합하면 발신기(22)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22)는, 경보장치(2)의 내부배선(4)을 본체(30)의 회로기판(33)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베이스(30a)에 형성된 인입홀(31)을 통하여 배선의 일부를 인출시킨 후, 배선의 피복을 벗기고, 배선의 단부를 접속단자(34)의 각 스크류 단자(35)에 연결시켜야함으로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작업 또한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보장치(2)의 좁은 내부공간에서 각각의 배선을 발신기(22)의 접속단자에 각각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고장 발생시 해당되는 배선을 찾기 위해서는 경보장치(2)의 배선 설계도면을 참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화전의 경보장치에 설치되는 발신기의 회로기판에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형성하여 손쉽게 배선과 발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화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소방용 경보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화전 2 : 경보장치
3 : 외부배선 4 : 내부배선
24 : 경종 26 : 항시표시등
28 : 소화전 기동램프 200 : 발신기
210 : 본체 210a : 베이스
214 : 발신스위치 215 : 발신기 확인램프
216 : 전화 연결잭 217 : 회로기판
218 :연결단자 230 : 커버
240 : 보호캡 140 : 연결케이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는, 화재발생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화재사실을 외부로 알림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발신스위치와, 상기 발신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신기 확인램프와, 전화 또는 인터폰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연결잭와, 상기 발신스위치, 발신기 확인램프 및 전화연결잭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연결케이블과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마련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는,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패턴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거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탄성지지되어 타측이 가압됨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200)는, 화재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회로기판(217)이 형성된 본체(210)와, 본체(210)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회로기판(217)을 보호하는 보호캡(230)과, 본체(2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본체(2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발신기(2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며, 상기 경보장치(2)의 전면패널(20)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체에 의해 고정되도록 다수의 나사홀(21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커버(220)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홈(212) 및 탄성돌기(213)가 형성되는 베이스(210a)와, 상기베이스(210a)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발신스위치(214)와, 발신스위치(214)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신스위치(21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신기 확인램프(215), 화재 발생시 방재센터와 전화 또는 인터폰으로 통화하기 위한 전화연결잭(216)과, 상기 발신스위치(214), 발신기 확인램프(215) 및 전화연결잭(216)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외부배선(3)과 연결되는 연결케이블(140)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142)가 결합되는 연결단자(218)가 마련된 회로기판(217)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218)는, 발신기(200)의 구성부들 즉, 발신스위치(214), 발신기 확인램프(215), 전화연결잭(216) 등의 구성부와 연결케이블(14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케이블(140)에 마련된 커넥터(142)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221)과,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단(220)은 상기 핀(221)들이 관통되어 상기 회로기판(217)의 패턴(224)에 연결될 때 상기 핀(221)들을 지지하고, 수직단(222)은 상기 연결케이블(140)의 상기 커넥터(142)가 거치되어 고정되는 걸림턱(223)이 형성된 결합부재(219)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140)의 상기 커넥터(142)는, 상기 결합부재(219)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하면에 상기 결합부재(219)에 고정된 다수의 핀(221)이 삽입되는 삽입공(143)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19)에 형성된 걸림턱(223)에 거치되도록 중앙부가 탄성지지되어 걸림턱(223)에 거치되는 걸림돌기(144)가 형성되어 타측이 가압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23)에서 상기 걸림돌기(144)가 이탈되는 결합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30)는, 상기 본체(21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체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베이스(210a)에 형성된 걸림홈(212)에 거치되는 고정턱(23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210a)의 탄성돌기(213)가 삽입되는 고정홈(2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210a)의 전화연결잭(216)에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잭홀(234)이 형성되고, 잭홀(23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잭홀(234)을 개폐하는 회전덮개(235)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평상시 발신스위치(214)를 보호하고,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파손 또는 이탈되어 사용자가 발신스위치(214)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투명재질의 보호판(236)이 마련된다.
상기 보호캡(240)은, 상기 베이스(210a)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217)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단자(218)가 보호캡(2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공(24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의 작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방용 경보장치(2)의 발신기(2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보장치(2)의 전면패널(20)에 발신기(200)의 베이스(210a)를 나사 등의 결합체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이후, 발신기(200)의 본체(21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커버(230) 및 보호캡(240)을 결합시키고, 연결케이블(140)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142)를 상기본체(210)에 마련된 연결단자(218)에 연결하면, 상기 회로기판(217)에 의해 상기 발신스위치(214), 발신기 확인램프(215), 전화연결잭(216) 등이 상기 연결케이블(14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142)와 상기 연결단자(218)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단자(218)에 마련된 각각의 핀(221)들이 상기 커넥터(142)의 삽입공(143)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142)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144)가 상기 결합부재(219)의 걸림턱(223)에 거치되어 상기 커넥터(142)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는, 소화전의 경보장치에 설치되는 발신기의 회로기판에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의 단부에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배선과 발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화재발생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화재사실을 외부로 알림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소방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발신스위치와, 상기 발신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신기 확인램프와, 전화 또는 인터폰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연결잭와, 상기 발신스위치, 발신기 확인램프 및 전화연결잭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연결케이블과 결합되는 연결단자가 마련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패턴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거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가 탄성지지되어 타측이 가압됨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20020015507U 2002-05-21 2002-05-21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0288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07U KR200288998Y1 (ko) 2002-05-21 2002-05-21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07U KR200288998Y1 (ko) 2002-05-21 2002-05-21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998Y1 true KR200288998Y1 (ko) 2002-09-13

Family

ID=7305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507U KR200288998Y1 (ko) 2002-05-21 2002-05-21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9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61B1 (ko) * 2010-04-12 2010-11-04 조희철 소화전용 발신기
KR20190001903U (ko) * 2018-01-18 2019-07-26 모은영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102253149B1 (ko) * 2020-08-25 2021-05-14 조송연 화재 발신기 비상통화장치
KR20210001439U (ko) 2019-12-18 2021-06-28 박은민 소방용 발신기의 고정구조
KR20210104277A (ko) 2020-02-17 2021-08-25 홍문기 화재발신기
KR20230142111A (ko) 2022-04-01 2023-10-11 우용성 경보 설비용 발신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61B1 (ko) * 2010-04-12 2010-11-04 조희철 소화전용 발신기
KR20190001903U (ko) * 2018-01-18 2019-07-26 모은영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0490138Y1 (ko) * 2018-01-18 2019-11-04 모은영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210001439U (ko) 2019-12-18 2021-06-28 박은민 소방용 발신기의 고정구조
KR20210104277A (ko) 2020-02-17 2021-08-25 홍문기 화재발신기
KR102253149B1 (ko) * 2020-08-25 2021-05-14 조송연 화재 발신기 비상통화장치
KR20230142111A (ko) 2022-04-01 2023-10-11 우용성 경보 설비용 발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436A (en) Remotely programmable, vandal-resistant voice communications unit
KR200288998Y1 (ko)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200490138Y1 (ko) 결합분리형 소방용 경보장치의 발신기
KR100460541B1 (ko) 소방용 경보장치
JPH10284855A (ja) 電気機器用筐体における防水装置
CN215264992U (zh) 一种声光报警装置及报警设备
KR200155283Y1 (ko) 소방용 경보장치
RU2491734C2 (ru) Стан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машнего перегов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444819B1 (ko)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KR200184205Y1 (ko) 화재발신기
RU244660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стан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машнего перегов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285896Y1 (ko) 소방용 경보장치의 배선 연결구조
JPH07236211A (ja) 住宅情報通信装置用中継器
CN219555038U (zh) 一种防水电视结构
KR102206117B1 (ko) 모듈화 구조를 갖춘 화재발신 장치
KR20090011238U (ko) 화재 발신기
KR200155282Y1 (ko) 소방용 경보장치
KR200407862Y1 (ko) 비상호출장치
JP3381530B2 (ja) ドアホン子器
JPH0678063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20210104277A (ko) 화재발신기
KR200207156Y1 (ko) 소방용 경보장치의 배선 연결구조
KR200355586Y1 (ko) 누름판 복구스위치를 구비한 화재발신기
JPS63292852A (ja) 電話コンセント
JP4824399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